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최근 시장에서 돌고 있는 포스코의 일진머티리얼즈 인수설에 대해 일축했다.
9일 서울 강남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제23회 철의 날 기념행사’에 참석한 최 회장은 일진머티리얼즈 인수 여부를 묻는 기자들 질문에 “그거(일진머티리얼즈 인수)는 이미 안 한다고 했지 않았냐”며 공식 부인했다.
앞서 지난 달말 증권업계 및 투자은행(IB) 업계 등에서는 일진머티리얼즈 최대주주인 허재명 대표이사(사장)가 자신의 지분 53.3%를 포함한 경영권을 매각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흘러 나왔다.
이후 매각주관사인 씨티글로벌마켓증권은 같은시기 국내·외 인수 후보군에 ‘티저 레터(간략한 내용이 담긴 투자설명서)’를 발송한데 이어 이달 초 투자제안서(IM)를 인수 후보 기업들에게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은행(IB) 업계 등에 따르면 일진머티리얼즈의 잠재적 인수자는 롯데케미칼, LG화학 등 화학 대기업과 칼라일그룹·KKR·블랙스톤·TPG·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MBK파트너스·한앤컴퍼니 등 국내외 대형 사모펀드 운영사다.
여기에 최근 포스코도 일진머티리얼즈 인수전에 참가할 것이라는 소문이 증권가 등을 통해 돌기 시작했다.
포스코가 집중·추진 중인 리튬 사업과 일진머티리얼즈의 전지박 사업의 연관성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날 최 회장이 직접 인수의사가 없다고 밝히면서 포스코의 일진머티리얼즈 인수설은 사그라들 전망이다.
한편 이같은 소식이 들리자 일진머티리얼즈는 전일 대비 0.36% 하락한 8만2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지역상권법)’제정을 놓고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붙고 있습니다. 이 법은 지역상생구역이나 자율상권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스타벅스 같은 대기업 계열 점포의 출점을 제한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대상은 유통산업발전법(유통법)과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 등에 포함되지 않아 규제를 받지 않는 대기업입니다. 법안이 시행될 경우대기업이 운영하는 직영 점포의 신규 매장을 열기 위해서는 지역상인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임대료 상승에 따른 소상공인의 내몰림 현상(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막고자 마련됐습니다. 복합 쇼핑몰이 들어오면 주변 임대료가 뛰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유통업계는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과도한 중복 규제라고 반발에 나섰습니다. 또 재산권과 영업의 자유를 침해하는데다 대기업 프랜차이즈보다 자영업체의 고용률이 낮아질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상권의 특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법안의 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소상공인과 대기업 모두'상생'을 이룰 수 있는정책이 절실한 때입니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日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 “안전성 불확실” 최근 일본이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물탱크에 보관하고 있던 방사능 오염수 125만톤을 30년에 걸쳐 방류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방사성 물질 농도를 법정 기준치 이하로 낮추고 천천히 방류할 것이니 상관없다고 합니다. 오염수에는 유전자 변형, 생식기능 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삼중수소(트리튬)가 들어 있습니다. 삼중수소가 바다에 뿌려지면 한국 중국 등 인근 국가 수산물에 흡수돼 이를 섭취한 인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 스트론튬90은 극소량으로도 골육종이나 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일본은 안하무인입니다. 한 고위관료는 “중국과 한국 따위에는 (비판을) 듣고 싶지 않다”고 발언했습니다. 미국은 “국제 안전 기준에 따른 것”이라며 일본에지지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작 후쿠시마 사고 이후 현재까지 사고 부근 농수산물 수입을 금지하고 있으면서 말입니다. 그런데 우리 정부는 지난해 10월 “일본의 ALPS장비 성능에 문제가 없고 오염수 방류가 큰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보고서를 냈다고 합니다. 안심할 수 있는 안전대책, 기대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