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증권은 증권사 최초로 로보어드바이저 자문형 공모펀드 '하이 ROKI 1 글로벌 로보어드바이저 펀드'를 출시했다. <사진=키움증권></div>
▲ 키움증권은 증권사 최초로 로보어드바이저 자문형 공모펀드 '하이 ROKI 1 글로벌 로보어드바이저 펀드'를 출시했다. <사진=키움증권>

[폴리뉴스 조현수 기자] 증권사를 필두로 금융권에 확산되고 있는 로보어드바이저를 보고 있으면 발전된 정보통신 기술이 금융과 만나 만들어내는 시너지가 실로 엄청나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어떤 식의 콜라보든 중요한 것은 협업했다는 사실 자체가 아니다. 각 주체들이 모여 어떤 시너지를 발휘했느냐가 훨씬 중요하다.

증권사의 로보어드바이저 도입으로 기대되는 시너지와 긍정적 파급효과를 생각할 때, 둘 사이의 콜라보는 그 자체만으로도 이미 혁신이다.

그러나 그 기대는 과연 현실화 가능성이 있는가? 흔히 전문직 중에서도 최상위의 희소성과 고급인력 가치를 가졌다고 여겨지는 ‘투자전문가’의 업무를 인공지능이 제대로 수행해 낼 수 있을지 의구심이 생기는 대목이다.

로보어드바이저란 로봇(robot)과 투자전문가(advisor)의 합성어. 문자 그대로 투자를 대신해주는 인공지능(AI) 로봇이다. 사람이 수년간 전문 교육을 이수하고 실무 경험을 쌓으며 얻은 투자 지식과 지혜를 로봇이 따라갈 수 있을까?

어떤 전문가들은 데이터의 해석만이 투자의 전부가 아니라고도 얘기한다. 시의적절한 ‘판단’과 ‘통찰력’, 위험을 감수하는 ‘결단력’과 데이터에 없는 것을 보는 ‘직관’ 같은 요소 역시 데이터만큼이나 중요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나열한 요소들은 아직 로봇이 따라올 수 없는 인간만의 고유영역이라 여겨진다. 하지만 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그 격차를 점점 좁혀가고 있다. 

금융위와 코스콤이 합작해 운영한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 현황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

테스트베드는 로보어드바이저가 ▲분산투자 ▲투자자 성향 분석 ▲해킹 방지 ▲투자 자문 및 일임 등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규율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1차 테스트베드에는 증권사를 포함한 각종 금융사와 핀테크 스타트업, 로보어드바이저 기술 보유업체에서 35개의 알고리즘을 선보였다. 이 중 13개 알고리즘은 주식투자를 포함해 운용됐다.

지난해 9월 5일부터 지난 16일까지의 테스트베드 기간 동안 각 회사의 로보어드바이저들은 각양각색의 성과를 내놨다.

특이한 것은 위험 1단위에 대한 초과수익 정도로 투자 성공률을 보여주는 ‘샤프지수’에선 위험중립·적극투자 알고리즘이 우세한 반면, 일일 수익률은 안정추구 알고리즘이 상위권을 차지했다는 점이다.(17일 기준)

각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한 알고리즘을 살펴보면 위험중립 투자성향의 ‘MyGPS’라는 로보어드바이저가 변동성 대비 수익률을 뜻하는 샤프지수에서 2.32로 가장 좋은 성적을 나타냈다. 일 수익률 차원에선 안정추구 성향의 ‘QV 글로벌 자산배분’이 1.02%로 가장 뛰어났다.(17일 기준)

물론 샤프지수나 일 수익률 등 지표는 다분히 상대적인 수치로 그 때마다 변동성에 의해 변화할 수 있어 절대적 기준으로 삼을 순 없지만, 그래도 역시 좋은 성적을 거뒀음엔 틀림없다.

증권사들도 발빠르게 로보어드바이저를 도입하고 있다. 

키움증권은 국내 증권사 최초로 로보어드바이저 자문형 공모펀드 '하이 ROKI 1 글로벌 로보어드바이저 펀드'를 출시해 운용 중이다. 한국투자증권은 '키움쿼터백 글로벌 로보어드바이저 펀드'를 퇴직연금 상품에 추가했다.

아직은 로보어드바이저 일임형 투자상품은 찾아볼 수 없으나, 시간이 흐르고 테스트베드 진행으로 얻은 데이터가 충분히 신뢰성을 가질 때가 되면 인공지능이 투자를 총괄하는 진정한 의미의 '로보어드바이저 일임' 상품이 출시될 것이다.

로보어드바이저가 비용 절감 효과 이외에도 안정적인 수익률까지 보장한다면 이는 혁신을 넘어 ‘혁명’ 이라는 이름에 걸맞는 변화가 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