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정찬 기자]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보수언론과 야당의 ‘문재인 정부 원전 추진’ 주장에 “(검찰의 원전 수사결과) 별거가 없으니 검찰과 국힘당, 보수언론은 북한 원전 검토 자료라는 전혀 다른 건으로 여론을 자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30일 페이스북에 산업자원부가 북한에 원자력발전소 건설 관련 문건을 폐기했다는 검찰수사에 대해 “산업부 공무원이 444개 자료 삭제행위로 감사 방해했다며, 감사원 및 국힘당, 보수언론에서는 파렴치범으로 몰아세웠다. 감사원은 검찰에 자료통보를 해 거대한 불법행위가 있는 것처럼 호도되도록 만들었다. 어쨌든 공무원을 구속했는데 ‘태산명동에 서일필(泰山鳴動 鼠一匹)로 그칠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북한 원전 검토 자료는 산업부에서는 향후 남북경협이 활성화될 경우 대비해서 박근혜 정부부터 단순하게 아이디어 차원에서 검토한 내부자료라고 한다”며 “박근혜 정부는 통일대박론까지 주장하지 않았던가? 산자부 공무원의 자료 삭제행위는 잘못된 것이다. 그러나 실체가 악의적인 범죄행위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고 얘기했다.
또 윤 의원은 “검찰이 공소장에 적시한 530개 문서 목록 중에 220여개는 박근혜 정부 당시 원전국 문서”라며 “신규원전 추진 자료, 월성원전 1호기 수명연장 무효 소송에 패소한 박근혜 정부의 대책자료, 원전추진 논리자료, 산업부장관 출신 자유한국당 윤상직 국회의원 면담자료, 면담 후속조치결과 자료, 20대 총선 탈핵에너지전환 정책 대응 자료, 당시 황교안 국무총리 보고자료 등 온통 원전 추진 정책 자료”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삭제한 문서 중 현 문재인 정부에 해당하는 것에는 Q&A 자료가 100여개에 불과하다”며 “그것도 대부분 장관과 차관 참고자료, 에너지전환 로드맵 작성을 위한 중간 자료,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자료, 각종 업무보고 자료, 국회의원 질의 답변 자료, 국감 향후 조치 자료, 홍보자료, 언론 기사 대응 자료, 각종 현안 설명자료”라고 했다.
이어 “월성1호기 폐쇄와 경제성 평가에 관련한 문건은 같은 내용으로 다른 버전 문서까지 포함해서 30여개 안팎에 불과하다”며 “월성1호기 폐쇄는 문재인 대통령의 주요 공약이었고 국정과제였다. 월성1호기 폐쇄 추진 현황을 보고하고 협의하면서 지역주민에 대한 설명회를 한수원에 요청해야 한다거나 월성1호기 근로자 고용보장 사항을 포함하자는 내용이 포함된 문서”라고 설명했다.
윤 의원은 월성 1호기 폐쇄 결정에 대해 “산자부 직원의 문서 자료 삭제에 대해 검찰의 수사가 진행되고 있지만 원전의 안전성 시각에서 월성 1호기 폐쇄결정은 잘 된 조치”라며 “월성1호기 폐쇄 덕분에 주민들 몸 속에서 검출되던 삼중수소가 절반으로 줄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월성1호기는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은 원전이었다. 내진설계도 부실하고 내연기능도 부족하고 사용후핵연료 저장수조 차수막은 2012년부터 파손되어 삼중수소가 유출된 원전이었다. 월성1호기는 폐쇄 직전까지 10여년간 평균 연간 1천억원 적자로 가동할수록 손해보는 원전이었다”며 “그래서 안전성 면에서나 경제성 면에서나 월성 원전 1호기 폐쇄는 잘 된 결정이었다”고 주장했다.
청와대를 출입하면서 여론조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청와대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정치-외교-안보-통일 등의 현안을 정확하게 보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최근 유통업계에 ‘최저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업계는 최근 급변하는 유통시장에서 생존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시장 주도권을 놓고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인데요 폴리뉴스에서 알아봤습니다.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최근유통업계에 ‘최저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업계는 최근 급변하는 유통시장에서 생존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시장 주도권을 놓고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쿠팡이 유료 회원이 아니어도 무료 로켓배송을 하겠다며 먼저 경쟁 신호탄을 쏘았습니다. 배송비 면제로 사실상 최저가 혜택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이에 이마트는 쿠팡과 롯데마트몰, 홈플러스몰보다 구매 상품이 비싸면 그 차액을 자사 포인트로 적립해준다며 응수했습니다. 롯데마트도 맞불을 놨습니다. 이마트가 최저가를 선언한 생필품 500개 품목을 동일한 가격으로 판매합니다. 포인트도 5배 더 줍니다. 마켓컬리도 과일, 채소 등 60여종의 신선식품을1년 내내 최저가에 판매한다며 전쟁에 참가했습니다. 이에 질새라 편의점까지 가세했습니다. CU와 GS25는 6종의 친환경 채소를 대형 마트보다 싸게 판매합니다. 업계는 이를 통해 마케팅은 물론오프라인 매장으로 고객유도효과도노리고 있습니다. 이마트의 보상받은 차액 ‘e머니’는 오프라인에서 쓸 수 있고, 롯데마트는 오프라인 매장에서만 포인트 적립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제 살 깎아먹기식 출혈경쟁은 결국납품업체로 부담이 전가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