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정찬 기자]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는 4차 재난지원금 전 국민 지급방안에 대해 조사한 결과 국민 10명 중 7명 정도가 ‘전 국민에게 지급해야 한다’는 의견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3차 재난지원금이 피해자 중심의 선별 지원으로 정해진 데 따라 4차 재난지원금의 경우 전 국민 지급에 대한 공감도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 국민 지급에 ‘공감한다’는 응답이 68.1%(매우 공감 38.8%, 어느 정도 공감 29.3%)로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 30.0%(전혀 공감하지 않음. 18.0%, 별로 공감하지 않음. 12.0%)보다 높았다(잘 모르겠다 1.9%).
‘4차 재난지원금을 전 국민에게 지급해야 한다’는 응답은 광주/전라(공감 77.3% vs. 비공감 20.7%) 거주자 4명 중 3명 정도인 77.3%가 ‘공감한다’고 응답해 다른 지역 대비 높았다. 이어 부산/울산/경남(74.6% vs. 23.1%)과 인천/경기(71.4% vs. 28.2%), 대전/세종/충청(70.3% vs. 29.7%), 대구/경북(64.3% vs. 31.5%), 서울(53.9% vs. 42.4%) 순으로 비공감 대비 공감이 많았다. 특히 대전/세종/충청에서는 ‘매우 공감’ 48.6%, ‘어느 정도 공감함’ 21.7%로 적극 공감 응답이 평균 대비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70세 이상(공감 75.6% vs. 비공감 22.9%)과 20대(73.0% vs. 23.8%)에서는 ‘공감’ 응답이 70%대였고 50대(69.9% vs. 25.7%)와 60대(68.3% vs. 30.1%), 40대(66.7% vs. 33.3%)에서도 공감이 다수였다. 30대(55.6% vs. 44.4%)는 상대적으로 비공감이 많았다. 30대에서 ‘전혀 공감 않음’ 34.9%, ‘별로 공감 않음’ 9.5%로 적극 비공감 응답이 평균 대비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념성향별로 전진보성향자에서는 76.6%가 ‘공감한다’고 응답해 평균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중도성향자(62.1% vs. 35.7%)와 보수성향자(60.6% vs. 38.5%)에서도 ‘공감’ 응답이 60%대로 집계됐다. 그러나 진보성향자에서는 ‘매우 공감함’ 51.1%, ‘어느 정도 공감함’ 25.5%로 적극 공감 응답이 평균 대비 많았지만, 보수성향자에서는 ‘전혀 공감하지 않음’ 30.9%, ‘별로 공감하지 않음’ 7.6%로 적극 비공감 응답이 평균 대비 많아 차이를 보였다.
이번 조사는 지난 6일 전국 18세 이상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무선(80%)·유선(20%) 무작위 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했다. 응답률은 8.9%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다.
청와대를 출입하면서 여론조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청와대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정치-외교-안보-통일 등의 현안을 정확하게 보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최근 유통업계에 ‘최저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업계는 최근 급변하는 유통시장에서 생존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시장 주도권을 놓고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인데요 폴리뉴스에서 알아봤습니다.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최근유통업계에 ‘최저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업계는 최근 급변하는 유통시장에서 생존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시장 주도권을 놓고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쿠팡이 유료 회원이 아니어도 무료 로켓배송을 하겠다며 먼저 경쟁 신호탄을 쏘았습니다. 배송비 면제로 사실상 최저가 혜택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이에 이마트는 쿠팡과 롯데마트몰, 홈플러스몰보다 구매 상품이 비싸면 그 차액을 자사 포인트로 적립해준다며 응수했습니다. 롯데마트도 맞불을 놨습니다. 이마트가 최저가를 선언한 생필품 500개 품목을 동일한 가격으로 판매합니다. 포인트도 5배 더 줍니다. 마켓컬리도 과일, 채소 등 60여종의 신선식품을1년 내내 최저가에 판매한다며 전쟁에 참가했습니다. 이에 질새라 편의점까지 가세했습니다. CU와 GS25는 6종의 친환경 채소를 대형 마트보다 싸게 판매합니다. 업계는 이를 통해 마케팅은 물론오프라인 매장으로 고객유도효과도노리고 있습니다. 이마트의 보상받은 차액 ‘e머니’는 오프라인에서 쓸 수 있고, 롯데마트는 오프라인 매장에서만 포인트 적립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제 살 깎아먹기식 출혈경쟁은 결국납품업체로 부담이 전가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