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2차 북미정상회담 장소로 자신의 개인 별장인 ‘마라라고 리조트’ 등 3~4곳을 두고 논의 중이며 시기는 11월 6일 중간선거 이후를 희망한다는 뜻을 밝혔다.
폴리티코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대사의 사임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2차 북미 정상회담이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개최될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좋아할 것이다. 나도 좋다. 좋은 장소라고 생각하지만 지켜보자”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1차 정상회담 장소였던) 싱가포르는 환상적이었지만 아마 다른 장소가 될 것”이라며 “현재 우리는 장소 서너 곳을 논의하고 있다. 시기는 멀지 않아서가 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 소유 별장인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라라고 리조트’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 개최지이기도 하다.
나아가 트럼프 대통령은 “결국 우리는 미국 영토와 그들(북한)의 영토에서 많은 회담을 할 것”이라며 북한 방문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2차 북미정상회담 시기에 대해선 아이오와 주에서 열리는 중간선거 지원 유세를 위해 전용기 에어포스원을 타고 가던 중 기자들에게 “중간선거인 다음 달 6일 이후가 되기를 희망한다”며 “지금 북미정상회담을 하기에는 선거 유세가 너무 바쁘다며 지금은 떠날 수가 없다”고 말했다.
2차 북미정상회담 장소 후보지로 거론되는 곳은 워싱턴과 평양, 판문점, 유럽의 제3국 등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의 워싱턴 방문을 원하고 있지만 김 위원장이 이에 대해 부담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를 출입하면서 여론조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청와대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정치-외교-안보-통일 등의 현안을 정확하게 보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강민혜 기자] 최근 국내 은행과 금융권에서는 핀테크랩 운영이 한창이다. 핀테크(금융에 IT 기술 접목) 스타트업에 무료 업무공간을 제공하고 투자자를 연계하는 등의 지원은 물론 디지털 금융 서비스도 함께 개발한다. 현재 금융권에는 7개의 핀테크랩이 존재한다. KB금융그룹의 ‘KB이노베이션허브’ KB금융과 스타트업이 핀테크 기술과 오픈소스를 연구하고 협업하는 공간이다. 지난해 말까지 업무제휴 79건, KB금융 계열사 투자 134억 원 연계라는 성과를 냈다.KB이노베이션허브가 육성하는 핀테크 스타트업 ‘KB스타터스’도 59개사에 달한다. KB스타터스로 선정된 간편결제 스타트업 ‘페이민트’는 최근 국민은행과 업무협약을 맺고 제로페이 사업에 참여했다. KEB하나은행의 ‘원큐애자일랩’ 지난 2015년 6월 은행권 최초로 탄생한 핀테크 스타트업 멘토링 센터다. 지난해 10월까지 54개 핀테크 기업을 발굴 및 육성했다.하나은행의 AI서비스 ‘하이뱅킹’은 원큐애자일랩 4기 ‘마인즈랩’의 인공지능(AI) 자연어 처리기술을 은행 플랫폼에 적용해 대화형 금융서비스를 구현한 사례다. 우리은행의 ‘위비핀테크랩’ 지난 2016년 8월부터 17개 혁신벤처기업을 육성했다. 외부
[폴리뉴스 김기율 기자] 지상 최대 가전·IT쇼인 CES 2019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오는 8일부터 11일까지(현지시각) 나흘간 진행됩니다. CES(Consumer Electronics Show)는 지난 1967년 미국 뉴욕에서 제1회 대회가 열린 이후 최근 가전업계뿐만 아니라 IT, 자동차 등으로 영역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번 CES에서 현대차는 미래 모빌리티 비전과 전략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또 걸어다니는 자동차 ‘엘리베이트 콘셉트카’의 축소형 모델이 실제로 움직이는 모습을 선보입니다. 기아차는 자동차와 운전자가 교감하는 ‘실시간 감정반응 차량제어(READ) 시스템’을 제시합니다.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자동차가 인식해 실시간으로 실내 공간을 최적화하는 기술입니다.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소개합니다. 완전 자율주행 모드에서 탑승자가 허공에 그린 손짓을 인식하는 ‘가상공간 터치’ 기술과 유리창 디스플레이 등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탑승자의 움직임으로 특정 기능을 작동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된 ‘더 뉴 벤츠 CLA’를 세계 최초 공개합니다. 또 교통체증과 과밀 현상을 해소하는 새 모빌리티 콘셉트인 비전 어바네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