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반기문, 어떤 리더십 가지고 있는지 검증할 부분 많다”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의원(사진=폴리뉴스 이은재 기자)
▲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의원(사진=폴리뉴스 이은재 기자)
[폴리뉴스 김희원 기자]내년 연말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은 ‘제3지대’ 정계개편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요동치고 있다. 손학규 전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이 탈당을 감행하며 ‘새판짜기’를 선언해 더욱 본격화되는 분위기다.

제3지대론은 더불어민주당 힘만으로 정권교체를 이루겠다는 바람을 흔드는 것이기 때문에 민주당으로서는 내심 긴장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의원(3선, 경기 구리시, 정책위의장)은 제3지대론에 대해 “대선 때만 되면 항상 나오던 이야기다”고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윤 의원은 지난 20일 ‘폴리뉴스’ 김능구 대표와의 ‘정국진단’ 인터뷰에서 “우리 한국의 정치지형이 완전하게 지역대립 구도를 벗어나 있지 않아서 그런 지역구도하에서 제3지대가 독자적인 세력 기반을 갖추기가 참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윤 의원은 ‘이대문(이대로 가면 민주당 대권주자는 문재인)’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민주당의 대선 경선이 역동성을 갖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일각의 시각에 대해서는 “저는 굉장히 역동적인 대선 경선이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윤 의원은 “내년 대선후보 경선은 우리 국가가 추구해야할 미래 가치가 뭐냐를 놓고 격렬한 논쟁이 수반되는 경선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며 “우리 국민들이 과연 어떤 가치를 선택하게 될지, 지금은 지지율이 누가 높으니까 그리로 갈 것이다, 그렇게 예측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미래 가치의 싸움이 벌어지게 되면 완전히 새로운 대선후보 경선의 양상을 국민들이 보게 될 것”이라며 “새누리당과 국민의당도 대선 경선이 있을 것이고 제3지대에서도 여러 가지 움직임이 있을 수도 있는데 그분들께 어떤 미래 가치가 있겠느냐. 그런 것을 더 잘할 수 있는 사람들이, 더 젊고 싱싱한 사람들이 미래의 대한민국을 놓고 벌이는 경선판, 한번 맛들이면 다른 것을 찾기는 힘들 것”이라고 자신했다.

윤 의원은 여권의 유력 대선주자로 거론되고 있는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에 대해서는 “반기문 총장께서는 외교관으로서는 가장 영예로운 자리에 갔다오시는 분이고 평생 외교만 해왔기 때문에 외교에 있어서는 정말 대단한 능력 가지신 분이기는 하다”며 “그런데 국내의 어려운 문제들, 산적한 민생 과제들을 이해관계를 조정해가면서 풀어나가는 데에는 어떤 리더십을 가지고 계신지 검증할 부분이 많다”고 밝혔다.

다음은 윤호중 의원과의 인터뷰 내용 중 일부다.

-오늘(20일) 손학규 전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이 정계복귀를 선언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새누리당의 주류를 제외한 비주류들이 합류하는 제3지대론이 다시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제3지대 가능성은 있다고 보나.
대선 때만 되면 제3지대론 또는 빅텐트론 등은 항상 나오던 이야기다. 그런데 지금까지 제3지대론 또는 제3정당론이 성공을 해본 적은 없다. 물론 지금까지 성공하지 못했기 때문에 앞으로도 성공할 수 없을 것이라고 단정적으로 이야기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그만큼 어려운 일이라는 이야기다. 특히 우리 한국의 정치지형이 완전하게 지역대립 구도를 벗어나 있지 않아서 그런 지역구도하에서 제3지대가 독자적인 세력 기반을 갖추기가 참 어려운 것이 현실인 것은 사실이다.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의원(사진 윤호중 의원측 제공)
▲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의원(사진 윤호중 의원측 제공)

-민주당은 지난 총선에서 전통적 텃밭인 호남에서 대참패를 당했다. 호남 민심을 회복하지 않으면 대선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해결책이 있나.
그래서 저희도 호남특별 기구를 만들어서 호남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계속 표하고는 있다. 호남분들의 생각이 제가 뭐라고 단정할 수는 없겠다. 그러나 호남분들의 생각은 그동안 정말 열렬히 지지해줬음에도 불구하고 두 차례 연달아 대통령 선거에서 패배한 것에 대한 질책이 아직 다 끝나지 않은 거라고 봐야 할 것 같다. 야당이 정권교체를 할 수 있는 수권 능력을 제대로 보여줬을 때 채찍질을 멈추고 애정이 시작되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한다.

-대선 경선을 역동적으로 치르는 것이 민주당에게는 중요한 일이다. 내년 대선 경선을 어떻게 예측하나.
저는 굉장히 역동적인 대선 경선이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문재인 전 대표는 좀 서운하실지 모르지만 아직 대선주자 지지율 20%를 넘지는 못하고 있지 않느냐. 이것을 대세라고 표현하기는 좀 어렵지 않나 싶다. 물론 문 전 대표를 견제하는 쪽에서는 ‘대세론 이대로 가면 위험하다’라는 표현을 하기 위해서 대세론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20%미만의 대세론은 없는 것이다. 과거에 이런 경험도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 같은 경우도 대선 1년 전에 제 기억으로는 2%내지 3%의 지지율이었던 것으로 기억이 난다. 그래서 지금 현재 지지율이라고 하는 것에 안주할 필요도 없고 그렇다고 실망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대세니까 끝가지 갈 것이라는 안이한 생각은 버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얼마든지 뒤집혀질 수도 있고 역동적일 수가 있다. 특히나 우리 당 내에 다른 후보들이 대부분 대중적으로 전혀 알려져 있지 않은 신인들이 아니고 광역단체장이라거나 이런 분들이 많다. 또 대체로 다 젊다. 대부분 50대나, 60대에 이제 접어드신 분들이 대부분이다.
내년 대선후보 경선은 미래 가치를 놓고, 우리 국가가 추구해야할 미래 가치가 뭐냐를 놓고 격렬한 논쟁이 수반되는 경선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 우리 국민들이 과연 어떤 가치를 선택하게 될지, 지금은 지지율이 누가 높으니까 그리로 갈 것이다, 그렇게 예측하기 어렵다. 그래서 미래 가치의 싸움이 막 벌어지게 되면 완전히 새로운 대선후보 경선의 양상을 국민들이 보게 될 것이다. 새누리당과 국민의당도 대선 경선이 있을 것이고 제3지대에서도 여러 가지 움직임이 있을 수도 있는데 그분들께 어떤 미래 가치가 있겠느냐. 물론 없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이를테면 ‘저녁이 있는 삶’ 이런 것도 정말 좋은 정책 어젠다였다. 그런 것을 더 잘할 수 있는 사람들이, 더 젊고 싱싱한 사람들이 미래의 대한민국을 놓고 벌이는 경선판, 한번 맛들이면 다른 것을 찾기는 힘들 것이다.

-여당은 당내 경쟁력 있는 대선후보가 없다보니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얘기가 끊이지 않고 있다. 반 총장이 국정을 맡을 만한 자격과 능력이 있다고 보나.
유엔 사무총장의 경험은 정말 소중한 것이고 우리 국가에도 도움이 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난제들 특히 외교안보 분야의 문제도 분명히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고 어려운 과제이기도 하지만 다음 정권에서 풀어야 할 문제는 경제가 아닌가 싶다. 반기문 총장께서는 외교관으로서는 가장 영예로운 자리에 갔다오시는 분이고 평생 외교만 해왔기 때문에 외교에 있어서는 정말 대단한 능력 가지신 분이기는 하다. 그런데 국내의 어려운 문제들, 산적한 민생 과제들을 이해관계를 조정해가면서 풀어나가는 데에는 어떤 리더십을 가지고 계신지 검증할 부분이 많다.

-이해관계를 푸는 것은 유엔 사무총장이 주로 해왔던 일 아닌가.
국가간 이해관계와 지역간, 계층간 이해관계는 확연히 다르다. 국가간 외교관계는 서로 국제법적 질서라는 것도 있고, 물론 이것을 깨버리고 폭력을 행사하는 전쟁을 하는 당사자들도 있지만 200여개 되는 국가 중에 거의 대부분은 평화를 존중하고 상호 존중하는 국제법적 질서하에서 움직이는 사람들 아니냐. 그런 것과 국내의 이해관계는 굉장히 다르다고 봐야 한다.

-개헌을 매개로 엄청난 정계개편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은 어떻게 보나.
그에 대해서는 제가 특별히 드릴 말씀은 없다.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87년 헌법질서는 너무나 문제가 많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해서는 마땅한 해법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개헌은 시기 문제라든가 그 방향에 대해 생각이 각자 달라서 이에 대한 이해가 조정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제왕적 대통령제하에서 삼권분립이라고 하지만 실제로 입법부, 사법부 위에 군림하는 대통령제다. 이 질서하에서 우리 대한민국의 미래를 개척하기란 참으로 어렵다는 생각은 갖고 있다.

-대선이 끝나고 새로운 대통령이 선출되면 개헌이 되기 어려운데 대선 전에 개헌을 위해 움직일 가능성은 있다고 보나.
그러려면 주요 정당, 적어도 1,2당 사이에 합의가 있어야 개헌 문제에 결론이 내려지지 않겠느냐. 현행 헌법상 개헌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려면 재적 의원 과반 또는 대통령의 발의로 의결에는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국민투표도 거쳐야 하므로 그런 정도의 합의에 이를 수 있을지. 지금 내각제부터 이원집정부제, 분권형 대통령제 등 모두 의견이 다르고 대선 전에 해야 하냐, 대선 후에 해야 하느냐를 놓고도 생각이 다르다. 너무 의견 분포가 다양하다. 대선 전에 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겠느냐. 그러나 그렇게 될까하는데 의문을 갖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