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도세력이 없어야 살 수 있는 통합신당의 딜레마

범여권 정계개편은 '김근태-정동영 2선퇴진'으로 파란이 일고있다.(ⓒ폴리뉴스)
정동영 전 의장과 김근태 의장을 향한 '2선 후퇴론'이 열린우리당 내부에서 고개를 들고 있다. 통합신당의 성사를 위해서는 두 사람이 뒤로 물러나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같은 주장에는 맥락이 다소 다른 두 가지 흐름이 존재한다.

우선 당내 보수파의 시각이다. 강봉균 정책위의장은 "김근태 의장이 당을 대변하는 역할을 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백의종군하거나, 다른 길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지어 '친북좌파'라는 표현까지 사용하여 김 의장측을 자극시켰다.

통합신당이 열린우리당보다 보수적인 성격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보수성향 의원들은, 열린우리당이 보였던 진보적 색채를 탈색시키기 위해 이같은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시각은 통합신당의 성공을 위해 두 사람의 2선 후퇴 결단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동안 열린우리당을 이끌어온 두 사람이 다시 통합신당을 주도하는 모양이 될 경우, 통합신당은 결국 '도로 우리당'이 될 것이며 성공하기 어렵게 된다는 것이다. 통합신당이 기득권포기를 통해 국민에게 감동을 줄 수 있으려면, 열린우리당의 실패에 대해 책임져야할 사람들의 결단이 요구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그리고 두 사람이 2선으로 물러나야 정운찬 전 총장 같은 제3의 후보들이 신당에 참여하는 상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두 사람이 통합신당을 주도하며 유력한 차기 주자로 건재해 있는한 외부인사들이 참여할 공간은 좁을 수밖에 없다는 얘기이다.

김근태, 정동영 2선후퇴는 '대선후보군 배제'

이같은 요구는 정동영·김근태 두 사람에게는 대단히 민감한 문제일 수밖에 없다. 현재의 상황에서 2선 후퇴는 일시적인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후보군에서의 배제를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두 사람이 통합신당 창당 논의에서 뒤로 밀려날 경우, 다시 입지를 회복하여 대선에 도전할 수 있을지는 이후의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2선 후퇴 문제는 신당의 주도권을 둘러싼 경쟁인 동시에 차기 대선후보 문제를 둘러싼 갈등의 성격을 갖고 있다. 2선 후퇴론자들이 아직은 꺼내놓고 말하고 있지는 않지만, 지지율이 바닥인 두 사람이 대선을 포기하고 외부인사들에게 자리를 내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바탕에 깔려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동영·김근태 두 사람에게는 2선 후퇴 문제가 자신의 정치생명과도 직결될 수 있는 민감한 문제인 것이다.

그러나 통합신당 추진을 둘러싼 환경은 두 사람의 2선 후퇴를 계속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 열린우리당 내부도 그렇지만, 특히 민주당과 고건 전 총리측에서는 통합신당이 '도로 우리당'이 되는 것에 대한 강한 경계심을 갖고 있다. 열린우리당이 다시 주도하는 신당으로 인식될 경우 실패할 수밖에 없다는 판단을 하고 있는 것이다.

신당에서 열린우리당 색채를 배제하기 위해서는 우선 노 대통령과 친노그룹의 참여배제가 있겠지만, 그 다음으로는 열린우리당 양대(兩大)주주의 동반퇴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을 가능성이 커보인다.

그 과정에서 두 사람의 2선 후퇴여부를 둘러싼 대치가 격화되는 상황이 예상된다. 두 사람을 비롯한 열린우리당 중진그룹에서는 대안부재를 거론하며 퇴진불가론을 고수할 것으로 보이지만, 고건 전 총리와 가까운 인사 등을 중심으로 퇴진불가피론이 제기되면서 세 대결 양상이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그렇게 되면 두 사람의 진퇴문제는 노 대통령 문제에 이은 또 하나의 쟁점이 되는 상황이 예견된다.

그런데 두 사람을 배제하면 통합신당의 얼굴은 누가될 것인가. 여기에는 신당의 딜레마가 존재한다. 신당을 열린우리당이 주도하는 모습이 되면 실패가 예고되듯이, 민주당이나 고건 전 총리가 주도하는 모양이 되어도 실패가 예고되는 것은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민주당이 주도하면 '도로 민주당' 소리가 나오면서 노 대통령이 비판한 '지역당' 논란에 휩싸일 위험이 크다. 그리고 고건 전 총리가 주도하는 모양이 되면 신당의 보수적 성격이 강하게 인식되어 여권의 전통적 지지층을 결집시키는데 한계를 드러내게 될 것이다.

결국 통합신당은 특정 세력이 주도하는 모양이 되지 않아야 비로소 성공할 수 있다는 논리가 성립하게 된다. 특정세력이 주도하지 않으면서, 또한 특정한 얼굴이 주도하지 않으면서도 배가 산으로 가지않도록 해야하는 것이 통합신당의 현실이라면, 이것이야말로 신당의 딜레마가 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