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산업·현대·포스코·대우 등 비정규직 많은 건설사 촉각

[폴리뉴스 송경남 기자] 새 정부 핵심정책 중 하나인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에 대해 건설업계가 예의 주시하고 있다. 건설업은 특성상 다른 산업에 비해 비정규직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30일 금융감독원에 올라온 올해 1분기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상위 10개 건설사의 비정규직 비율은 10~40%대 수준이다.

주택 분양 증가로 현장 계약직이 일시적으로 늘어난 현대산업개발이 41.1%로 가장 높았고 ▲현대건설(37.2%) ▲포스코건설(35.8%) ▲대우건설(33.3%)은 30%를 넘는다. 이어 ▲롯데건설(27.5%) ▲현대엔지니어링(26.8%) ▲대림산업(19.6%) ▲SK건설(16.9%) ▲삼성물산(16.1%) ▲GS건설(12.8%) 등의 순이다.

건설사에 비정규직이 많은 것은 수주산업의 특성에서 기인한다. 일감이 일정하지 않고 프로젝트 단위로 사업이 진행되다 보니 비정규직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진 것이다.

A건설사 관계자는 “수주산업이라 공사 수주와 완공에 따라 인력 충원과 감축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며 “현장 중심, 프로젝트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돼 일용직 현장 근로자와 전문직·계약직 근로자가 많을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건설업 비정규직 비율은 타 산업보다 높은 수준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6년 3월 기준 전체 산업의 비정규직 근로자는 약 615만6000명이다. 이중 건설업이 약 65만9000명으로 전체의 10.7%를 차지한다. 건설업에 종사하는 전체 근로자가 131만8000명임을 감안하면 2명 중 1명은 비정규직인 셈이다.

건설업 비정규직 근로자는 같은 일을 하고도 다른 임금체계를 적용받는다. 고용노동부의 ‘2015년도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건설업에 종사하는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 임금총액은 188만 원으로, 정규직 294만 원의 60% 수준이다. 여기에 공기단축과 비용절감을 위해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는 경우도 허다하다.

정부가 추진하려는 ‘비정규직 제로화’는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정부는 공공부문의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기준을 민간부문도 강제로 따르라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지만 모든 산업계는 좌불안석이다.

생명·안전 관련 업무와 상시·지속 업무는 민간에서도 비정규직을 쓸 수 없도록 하거나 대기업의 비정규직 비율이 일정비율을 넘으면 부담금을 부과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정책 의지가 강할수록 업계에 미치는 파장은 커진다. 이 때문에 비정규직이 많은 건설사들은 공공부문에 이어 나올 민간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기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B건설사 관계자는 “민간부문에 대한 기준이 구체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업계의 입장을 말하기는 곤란하지만 예의 주시하고 있다”며 “다만 적정공사비도 못 받는 현재의 상황에서 비정규직을 대거 정규직으로 전환하면 인건비가 급증해 중소건설사의 경우 공사 수행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건설업에서 비정규직을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적절한 대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C건설사 관계자는 “고급 기술사 등 고액 연봉을 받는 일부 전문 인력과 해외 현장에서 근무하는 인력 등은 오히려 계약직 등 비정규직을 더 선호하는 경우가 있다”며 “피플 비즈니스(People Business)라 불리는 건설업의 특성을 감안해 정부와 업계가 머리를 맞대고 최상의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