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장의 가능성을 닫아버린 선택

제1야당 더민주를 이끌어갈 새 대표를 선출하는 전당대회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새로 선출되는 지도부는 특히 대선 후보 경선을 관리하고 대선정국을 책임진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각별하다.

하지만 현재까지 진행된 전당대회의 내용은 그 중요성에 부합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당권경쟁에 나선 주자들 사이에서 최대의 쟁점이 되었던 것은 문재인 전 대표에 대한 입장과 태도였다. 그 대신 제1야당으로서의 정국운영 방향, 대선승리의 전략 같은 중요한 문제들은 뒤로 젖혀져 버렸다. 물론 장차 대선 후보와 함께 호흡을 맞춰야 하는 대표 자리라는 점에서 불가피한 면도 있겠지만, 그러는 사이 더민주의 대선 후보는 문재인 전 대표로 기정사실화 되는 분위기가 더욱 굳어졌다.

이미 시도위원장 선출 결과는 ‘친(親)문재인’ 후보들의 압승으로 끝났다. 그에 따라 최고위원 자리에도 친문 인사들의 대거 포진이 예상된다. 여기에 대표 경선에서는 추미애 후보의 선출이 유력시 되고 있다. 추 후보는 이번 전당대회에서 ‘문재인 후보 지키기’의 의지를 가장 강력하게 밝히며 문 전 대표 지지층에 적극적인 러브콜을 보냈다. 실제로 문 전 대표 측의 핵심 인사들은 추미애 후보 캠프에 참여하며 적극적인 지원에 나섰다. 이변이 없는 한, 김상곤이나 이종걸 후보가 당해내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더민주의 새 지도부 구성에서 친문 색채의 강화는 당의 내부구조를 보았을 때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우선 과거 비주류에 서있던 세력이 대거 빠져나가 국민의당으로 갔다. 비주류는 구심도 없고, 당내 지지기반도 취약해진 상태이다. 여기에다가 탈당 사태 때 입당했던 모바일 당원들이 이제는 권리당원이 되어 적극적으로 투표를 하고 있고, 이는 당내 경선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친문’ 표로 해석되고 있다.

당원들의 지지를 가장 많이 받는 사람들이 지도부가 되고 대선 후보가 되는 것이 당연한 일 아니냐는 말도 가능하겠지만, 여기에는 내년 대선을 앞둔 더민주의 근본적 딜레마가 자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번 전당대회 결과는 내년 대선을 앞두고 더민주에게 절박하게요구되는 역동성을 만들어 내는데 찬물을 끼얹을 가능성이 크다. 현재와 같은 더민주의 구조로는 김부겸, 박원순, 안희정, 이재명 혹은 손학규를 비롯한 그 누구든 문 전 대표와 경쟁다운 경쟁을 벌이는 것이 불가능한 현실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더민주의 대선 후보가 선출되는 과정의 역동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

문 전 대표가 사실상의 단독 레이스를 하든 어떻든, 그래 가지고도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면 굳이 문제가 될 것은 없다. 하지만 문제는 더민주 내에서 역동적인 경쟁의 판이 벌어지지 못해 문 전 대표 혼자서 달리는 모습이 되었을 때 과연 확장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문 전 대표는 고정적인 지지층은 확고하지만, 반대로 확장성에서의 한계는 여전히 그대로인 상태이다. 그런 상태에서 지지를 한 단계 끌어올릴 계기를 마련하지 못한다면 내년 대선에 대한 전망은 밝을 수가 없다.


그런데 더민주의 8.27 전당대회는 지켜보는 사람들에게 대단히 잘못된 신호를 주고 말았다. 대선 승리라는 것이 어느 한 세력 만의 힘으로 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세력의 힘을 모아야 가능한 것이라면, 이렇게까지 독식의 욕심을 부릴 일은 아니었다. 8.27 전당대회 이후 더민주 내부에서는 힘이 하나로 모아지기 보다는 오히려 원심력이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 다른 대선주자들이 뛰어들 엄두를 내기 어렵게 된 상황이 그것이다. 그리고 당 외부로 눈을 돌려보면, 문 전 대표에 의한 대선 승리 가능성에 회의적 시선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할 얘기를 많이 만들어내는 전당대회가 될 것 같다. 왜 이렇게까지 다 차지하려고 집착했을까. 더민주의 전당대회를 보면서 들었던 생각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