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BS 보도화면 캡처
▲ 사진=KBS 보도화면 캡처
총리, 국정원장 인사, 민심 외면 넘어 역행

세월호 참사에 대한 무능하고 부실한 대응에 책임을 지고 사퇴한 국무총리와 국정원장 후임 인선이 파행을 거듭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에 대한 대국민 사과를 단행한 이후 민심 수습 카드로 안대희 전 대법관을 국무총리로 내정했지만 안대희 총리 내정자는 전관예우 논란으로 자진사퇴하고 말았다. 6.4 지방선거가 끝나고 내각과 청와대 인선에 이목이 집중된 상태에서 먼저 이루어진 홍보수석 인사에서 윤두현 YTN플러스 사장이 임명되었지만 민경욱 대변인에 이어 현직 언론인을 곧바로 청와대에 등용하는 인사 방식에 대한 논란과 YTN 정치부장, 보도국장 등을 역임하면서 지나치게 편향된 태도를 보였다는 점에서 부적절한 인사라는 지적이 잇달았다. 

뒤이어 단행된 국무총리와 국정원장 인사는 더 큰 논란과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문창극 국무총리 내정자는 중앙일보 출신의 언론인으로 국정 경험이 전무한 인사란 점에서 국정 전반을 개혁해야 할 적임자이냐는 지적과 함께 중앙일보 재직 시절 지나치게 극우 편향적인 칼럼을 집필했던 장본인이란 점에서 국민통합에 역행한다는 시각이 제기되었다. 또한 이병기 국정원장 내정자는 새누리당 전신인 한나라당의 불법대선 자금 사건인 소위 ‘차떼기 전달책’으로 검찰 조사를 받았던 인물로 지난 대선에서 불법 선거개입 논란에 휩싸였던 국정원을 개혁할 수 있는 적임자가 아니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취임 이후 얼마 되지도 않아서 윤창중 대변인의 추문으로 위기에 직면한 적이 있으며 이후에도 크고 작은 인사 실패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 그때마다 대통령의 소위 수첩인사 논란으로 제기되는 인사의 편협성과 함께 김기춘 비서실장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문제 등이 부각되곤 했다. 

민심 외면한 인사 반복될 경우, 더 큰 위기 부를 수도

문창극 국무총리 내정자의 경우 국민 정서와 전혀 맞지 않은 황당한 사고를 지닌 인물이란 사실이 언론의 과거 행적 검증을 통해 낱낱이 드러나고 있다. ‘일본 식민지 지배를 받은 것이 하느님의 뜻’ 이고 ‘남북으로 분단된 것도 하느님의 뜻’이라고 했으며 이미 국가 차원의 사과가 이루어지고 기념일로 제정된 제주의 4.3 사건을 ‘공산주의자의 폭동’이라고 규정하는 등 피해자와 유족들의 가슴에 대못을 박는 언행을 해온 사실이 드러났다. 어떤 검증과정을 거쳤기에  이런 인물을 골랐느냐는 국민들의 분노와 반발 그리고 야당의 반대는 말할 것도 없고 새누리당에서조차 도저히 총리의 역할을 맡을 수 없는 인물이란 평가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안대희 전 대법관에 이어 문창극 내정자마저 중도에 사퇴하거나 청문회를 통과하지 못한다면 박근혜 대통령의 2기 내각 구상은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대통령과 정부, 여당은 6.4 지방선거에서 드러난 민심이 대통령과 여당에게 기회를 더 주어야 한다는 측면도 있었지만 그동안 파행을 거듭해온 국정운영에 대한 경고와 심판의 메시지도 함께 있었다는 점을 잊지말아야 할 것이다. 선거는 끝났고 결과적으로 그리 나쁜 성적표를 받은 것은 아니니 다시 지금까지처럼 해오던 방식대로 하면 된다는 식이라면 더 큰 위기를 불러올 수도 있음을 상기시키고자 한다. 무엇보다 대통령의 가장 지근거리에 있으면서 국정파행의 책임이 결코 적다고 할 수없는 김기춘 비서실장이 여전히 이번 국무총리와 국정원장 인선에도 깊숙이 관여했다는 것에 대해 대다수 국민들이 납득하기 어려울 것이다. 대통령의 국정운영 스타일이 바뀌지 않는 한 당장 야당과 국민들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기를 바라는 것이 무리라고 한다면 중요 인선과정에서 그나마 민심과 닿아있는 집권 여당의 의견이라도 경청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해 둔다. 국가운영 방식을 개조하겠다는 대통령의 언급이 무게가 실리려면 무엇보다도 집권 초기부터 반복되는 인사시스템의 난맥상부터 바로잡아서 인사(人事)가 망사(亡事)라는 세간의 지탄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