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위 25도 이상에서 발생한 첫 슈퍼태풍…서진하며 '급격한 발달'
다소 약화했다가 북진하며 다시 힘 키워…다른 태풍 삼키기도
북서태평양 고수온 영향…기후변화로 '강하게 북상하는 태풍' 늘 듯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상륙한 6일 오전 부산 수영구 민락수변공원 주변이 월파 피해를 입어 처참한 모습이다. 2022.9.6 
▲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상륙한 6일 오전 부산 수영구 민락수변공원 주변이 월파 피해를 입어 처참한 모습이다. 2022.9.6 

[폴리뉴스 한유성 기자] 약 1년 만에 국내에 상륙한 태풍인 힌남노는 여러모로 이례적인 태풍으로 평가된다. 기상청 예보관들 사이에서도 "이런 태풍은 처음 본다"라는 말이 반복해서 나왔다.

힌남노는 태생부터 특이했다. 지난달 28일 오후 9시 힌남노가 열대저압부에서 태풍으로 발달한 곳은 일본 도쿄 남동쪽 1천280㎞ 해상이다. 이곳 위도와 경도는 '북위 26.9도, 동경 148.5도'로 힌남노는 '북위 25도 이상에서 발생한 첫 슈퍼태풍'이다.

태풍은 해수면 온도가 26도 이상인 곳에서 발생한다. 수증기가 응결할 때 나오는 잠열이 태풍 에너지원인데 해수면 온도가 26도 이상이어야 태풍이 발생할 만큼 바닷물이 증발한다.

다만 적도는 전향력이 0이므로 태풍이 발생하지 못하고 남·북위 5도 이상에서만 태풍이 나타난다. 즉 '북위 5도 이상인 북서태평양 저위도의 따뜻한 바다'가 태풍의 '고향'이며 여기서 만들어지는 태풍들이 세력이 세다. 힌남노는 이러한 '법칙'을 깨고 탄생했다.

현재 일본 남쪽 해상까지 북서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29~30도로 높은 가운데, 우리나라 남해상 해수면 온도도 26~28도로 평년 온도를 1도 정도 웃돈다. 높은 해수면 온도는 힌남노가 '초강력 태풍'으로 세력을 키우고 '매우 강한 태풍'으로 세력을 유지하며 우리나라까지 북상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원래 가을에 해수면 온도는 제일 높다. 우리나라에 큰 손해를 끼쳤던 태풍 상당수가 '가을태풍'인 이유다. 하지와 추분 사이 북태평양 적도 인근 태양고도가 높아 햇볕이 매우 강하게 내리쬐면서 해수면 온도가 연중 가장 높아진다.

다만 현재 높은 해수면 온도는 이례적으로 길게 이어지는 라니냐도 한 원인일 것으로 추측된다. 라니냐는 위도와 경도가 각각 '남위 5도부터 북위 5도'와 '서경 170~120도'인 태평양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ENSO)의 해수면 온도가 3개월 이동평균으로 평년보다 0.5도 낮은 상황이 5개월 이상 지속하는 현상을 말한다.

라니냐가 발생하면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무역풍이 강해지면서 동태평양 따듯한 물이 서태평양으로 옮겨간다. 동태평양은 따뜻한 해수층이 얇아지면서 해수면 온도가 평소보다 낮아지고 서태평양은 따뜻한 해수층이 두꺼워지면서 수온이 오른다.

힌남노는 지난달 30일 오후 9시 일본 오키나와 동쪽 560㎞ 해상서 중심기압과 최대풍속이 각각 915hPa(헥토파스칼과) 55㎧를 기록하며 '초강력 태풍'으로 발달해 1일 오후 3시 대만 타이베이 남동쪽 550㎞ 해상에 이를 때까지 초강력 태풍으로 '전성기'를 구가했다.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관측값에 따르면 1일 0시 힌남노 1분 평균 최대풍속이 시속 259㎞에 달해 카테고리 5급 태풍에 해당했다. 최대풍속이 시속 240㎞(130노트) 이상을 넘겼으니 '슈퍼태풍'으로도 분류됐다.

힌남노는 올해 발생한 첫 카테고리 5급 태풍이다. 세계적으로 연평균 5.3개씩 카테고리 5급 태풍이 발생하는데 8월 말이 돼서야 처음 카테고리 5급 태풍이 나온 것도 이례적이다.

힌남노가 남서진하는 가운데 세력을 유지한 것도 이례적이다. 힌남노는 지난달 29일과 30일 사이 '급격한 발달'(Rapid Intensification)을 하기도 했다. 기상학적으로 태풍의 '급격한 발달'은 24시간 내 최대풍속이 15㎧ 이상 빨라지는 것을 말하는데, 심지어 힌남노는 서진 중에 자신보다 늦게 나타난 제12호 태풍 무이파를 흡수해 몸집을 더 불리기까지 했다.

힌남노는 대만 동쪽 해상에서 정체하면서 세력이 다소 약화했다. 태풍이 한 곳에 정체하면 스스로 세력을 약화할 수 있다. 정체 시 태풍이 중심 아래쪽 바닷물을 강풍으로 밀어내면 그곳 해수면이 낮아지고 그러면 낮아진 해수면을 채우고자 심층의 차가운 해수가 올라오는 용승현상이 발생한다. 용승으로 해수면 온도가 떨어지면 태풍이 바다에서 열을 공급받지 못해 약해진다.

그런데 힌남노는 특이하게도 북진하면서 다시 힘을 키웠다. 높은 해수면 온도에 더해 힌남노 진로 서쪽과 동쪽에 자리한 티베트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이 팽이를 치듯 힌남노의 저기압성 회전을 강화해줬기 때문이다.

두 고기압 사잇길을 지날 때 힌남노 성장을 방해하는 요소가 사실상 없었다. 이때 대기 상·중·하층 풍속과 풍향 차이가 거의 없어 힌남노는 태풍의 원통구조가 깨지지 않은 채 우리나라까지 북상할 수 있었다.

힌남노는 6일 오전 6시 부산 동북동쪽 10㎞ 지점을 지날 때 중심기압과 최대풍속이 각각 955hPa와 40㎧였다. 중심기압만 보면 1959년 사라나 2003년 매미 만큼 강한 세력으로 상륙했다. 사라와 매미가 상륙했을 때 국내 기상관측소에서 측정한 중심기압 최저치가 각각 951.5hPa와 954hPa다.

6일 오전 10시 예상에 따르면 힌남노는 동해상에서도 한동안 강도를 '강'으로 유지하겠다. 태풍이 중위도까지 올라와 상륙하고 다시 바다로 빠져나간 뒤에도 이 정도 세력을 유지하는 것 역시 매우 이례적이다.

힌남노와 같이 우리나라 주변까지 강한 세력으로 북상하는 태풍은 앞으로 더 많아질 수 있다. 기상청이 최근 내놓은 기후변화에 따른 주변 해역 변화 전망을 보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노력 없이 지금처럼 혹은 더 배출하는 경우'(고탄소 시나리오·SSP5-8.5) 서해, 동해·남해, 동중국해 해수면 온도는 2040년까지 현재보다 1.6도, 1.5도, 1.1도 상승할 전망이다.

이번 세기 후반기에는 '5.3도, 4.9도, 4.0도' 오르겠다. 현재 해수면 온도(평균)는 서해·동해·남해 약 14도, 동중국해 22도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