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더 많이 내는 부유층도 포용돼야” 강조
“서생적 문제의식·상인 현실 감각 조화 중요”

박찬대 최고위원 최종 후보와 이재명 당대표 최종 후보 (사진 출처:이재명tv 캡쳐)
▲ 박찬대 최고위원 최종 후보와 이재명 당대표 최종 후보 (사진 출처:이재명tv 캡쳐)

[폴리뉴스 한지희 기자] ‘어대명’ 주인공 이재명 의원이 “민주당에 소위 부자라고 불리는 지지자가 더 많다”고 발언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 자리에 친이재명계 의원인 박찬대 최고위원 최종 후보도 함께했다.

당대표 최종 후보인 이재명 의원은 29일 주말 순회 일정을 소화하기 위해 춘천으로 향했다. 이 의원은 춘천 가는 길을 그의 유튜브 채널 ‘이재명tv’에서 실시간으로 방송에서 지지층과 소통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그 중 ‘인천 서구 주민’으로부터 ‘당 대표가 되어도 중산층을 위한 정치 말고 서민들을 위한 정치해 달라’는 지지층의 요청에 이같이 말한 것이다.

이 의원은 “민주당이 서민과 중산층을 위한 정당이라고 한다”며 “사실은 나는 서민 아닌데 내가 중산층인가 이런 분들이 많다”고 운을 띄웠다.

그는 “이게 아마 사회 구조가 항아리형이 아니고 호리병형이라, 중간에 중산층은 없고 서민만 많은 사회 구조가 됐다”며 “이게 우리가(민주당이) 서민과 중산층이 아니라 진보적 대중정당으로 가야 되는 거 아니냐 요새 그런 얘기 많이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자 기준이 있는 게 아니다. 스스로 부자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우리 사회의 일정 포지션을 차지한다”라며 “그럼 ‘서민과 중산층의 적이 부자인가’ 이런 게 있는데 제가 아는 바로는 고학력 고소득자들 소위 부자라고 불리는 분들이 우리 지지자에 더 많다”고 전했다.

이어 “저학력에 저소득층이 국민의힘 지지가 많다”며 “안타까운 현실인데 언론 때문에 그런다”고 꼬집었다

이 의원은 “근데 저는 (민주당이) 부자를 배제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요즘은 민주주의를 넘어 공화주의로 이런 얘기도 많다. ‘함께 조화롭게 살아야 된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세금 많이 내는 부자들을 존중하는 사회가 돼야 되지 않느냐(라고 생각한다)”라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코로나 때문에 소비 진작을 하려고 국가 재난 지원금을 주는건 복지 정책이 아니다. 불쌍한 사람을 주는 게 아니다”라며 “본질적으로 경제 정책이다”라고 전했다.

이어 “’경제 정책의 혜택을 왜 부자는 배제하냐’(는 의문이 들 수 있다). 복지 정책이 아닌데”라며 “그래서 저는 ‘다 지급하자. 부자가 세금 더 많이 내지 않았냐. 세금도 더 많이 냈는데. 경제 정책 혜택을 왜 박탈하냐. 이건 복지 정책이 아닌데’ 그래서 그때 한 판 세게 부딪혔다”고 회고했다.

지난해 6월 문재인 정부 당시 2차 추가경정 예산 편성을 통한 재난지원금과 관련해 이재명 의원은 ‘전국민’을 주장했고, 정부여당은 ‘소득 하위 70%’만 선별해서 지급하자는 안을 제안하면서 의견 차가 생긴 것이다.

당시 정부는 현금성 지급은 소득 하위 70%에만 지급하고 전 국민에겐 신용카드 캐시백을 공략한 적 있다.

그러나 이 의원은 “현장은 다급한데 정치 속도가 너무 느리다”며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을 고집하지 않겠다 물러난 바 있다.

박찬대 최고위원 최종 후보와 이재명 당대표 최종 후보 (사진 출처:이재명tv 캡쳐)
▲ 박찬대 최고위원 최종 후보와 이재명 당대표 최종 후보 (사진 출처:이재명tv 캡쳐)

이 의원은 “저는 진보적이되 대중정당으로 가는게 맞다. 이제 중산층과 서민이라고 하는 부분을 좀 한번 (다시) 생각을 좀 해볼 때가 되지 않았냐(고 생각하고), 학자들이 그런 얘기 많이 한다”라며 “이게 자칫 잘못하면 부자를 배제하는 그런 느낌이 안 드는 뭔가 찾아야 될 것 같긴 하다”고 생각을 전했다.

박찬대 의원은 “중산층의 기준도 우리나라하고 또 다른 선진국하고 다르다. 우리는 오로지 경제적인 척도만 가지고서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 의원은 “이제 당의 정강 정책에 관한 것이라 제가 이렇게 쉽게 얘기하기는 어렵다”고 회의적 태도를 취했다.

그러면서 “흔들리지 않는 항심이라고 한다. 거기에 기초해서 균형이 중요한데, 이것은 막스 베버가 얘기 했다”며 “서생적 문제의식과 상인의 현실 감각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