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권새나 기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부인 김건희씨의 이른바 '7시간 통화 녹음' 방송 보도가 예상 밖의 결과를 불렀다. 방송 이후 김씨에 대한 여론이 일부 긍정적으로 돌아선 데 이어 윤 후보의 지지율이 상승하는 등 '역풍'이 일고 있다.
방송 이후 김건희 팬클럽 카페 가입자 폭증
'김건희 여사 팬클럽 카페(건사랑)' 가입자 수는 21일 오후 5시 기준 4만6000명을 돌파했다. 지난달 19일 만들어진 해당 카페는 15일까지 가입자가 200여명에 불과했다. 그러나 16일 오후 MBC '스트레이트' 방송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해당 카페 메인에는 김씨 사진을 영화 '아토믹 블론드', '원더우면' 포스터에 합성한 이미지가 게시됐다. 모두 여성이 활약하는 내용의 영화들이다.
또 자유 게시판에는 "사이다 발언 통쾌하다", "힘내세요", "건사랑이 나라 사랑이다" 등 김씨를 응원하는 글이 연이어 올라왔고, 가입자들은 자체적으로 굿즈(기획상품)를 제작해 판매에 나섰다.
"똑같은 사람들이구나 하는 '인간미' 느낀 것"
김씨의 인기 상승과 관련, 서민 단국대 교수는 '인간미'를 언급했다. 서 교수는 지난 19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 '빨대포스트'를 통해 "김씨는 자기 낚으려고 접근한 사람한테 지갑에 있는 돈 다 털어주는 허당"이라고 했다.
서 교수는 "근데 신기하게도 이런 허당의 모습이 방송을 타니까 김씨 인기가 확 올라간다"라며 "건카콜라니, 건크러쉬니, 건희형 등 '김건희를 대통령으로' 이런 글들이 인터넷에 도배된다. 김씨 팬클럽 가입자도 폭증하고 윤 후보 지지율도 올랐다"고 말했다.
그는 "허당에 걸걸한 상남자 말투에 좌파 선봉장이니 뭐니 마이너스 될 말만 했는데 왜 사람들은 폭발적인 반응을 보일까"라며 "방송되진 않았지만 녹취록 중엔 김씨가 윤 후보 보고 '인물이 좋나, 힘이 세나, 배 튀어나오고, 코 골고, 많이 먹고, 방구 달고 다니고 당신 같으면 같이 살겠어요?', '말이라도 잘 들으니까 내가 데리고 살지(라고 했다.)' 나도 우리 마누라한테 이 말 들어봤다"라고 했다.
이어 "저를 비롯한 수많은 시청자들이 MBC '스트레이트' 방송을 보면서 느낀 게 바로 이거다. 이 사람들 나랑 같은 거 먹고, 나랑 비슷한 생각하고, 나처럼 아옹다옹하면서 살아가는 나랑 똑같은 사람들이구나 바로 인간미를 느낀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석열 지지율, 지난 여론조사 대비 4.1%p 상승
이 가운데 윤 후보 지지율도 덩달아 상승했다. 코리아정보리서치가 뉴스핌 의뢰로 지난 17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차기 대선 후보 지지율’을 조사한 결과, 윤 후보는 44.4%의 지지를 받았다. 지난 8일 같은 조사 대비 4.1%p 상승한 결과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35.8%)와는 8.6%p 오차범위 밖 격차를 보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이번 조사가 진행된 당일은 김씨의 7시간 통화 녹음이 공개된 다음 날이다. 일각에선 가까스로 올린 지지율에 해당 방송이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지만 오히려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 정치권 안팎에서는 해당 방송 이후 민주당이 오히려 역풍을 맞았다는 평가도 나온다.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유족의 소송 대리인 정철승 변호사는 "내가 김건희씨 통화내용을 먼저 들었다면 방송하지 않는 게 좋겠다고 조언했을 것 같다"며 "김씨가 어찌 그리 멍청할 수 있나 생각했는데, 방송을 보니 서울의 소리가 멍청했다. 서울의 소리가 김씨에게 당했다. 판도라의 상자가 아니었다"고 말했다.
류근 시인도 지난 16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소문난 잔치 불러놓고 결국 김건희 실드"를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건희 악재를 호재로 바꿔주는 이적행위를 시전했다. MBC가 XXX을 한 것”이라며 비난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지역상권법)’제정을 놓고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붙고 있습니다. 이 법은 지역상생구역이나 자율상권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스타벅스 같은 대기업 계열 점포의 출점을 제한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대상은 유통산업발전법(유통법)과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 등에 포함되지 않아 규제를 받지 않는 대기업입니다. 법안이 시행될 경우대기업이 운영하는 직영 점포의 신규 매장을 열기 위해서는 지역상인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임대료 상승에 따른 소상공인의 내몰림 현상(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막고자 마련됐습니다. 복합 쇼핑몰이 들어오면 주변 임대료가 뛰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유통업계는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과도한 중복 규제라고 반발에 나섰습니다. 또 재산권과 영업의 자유를 침해하는데다 대기업 프랜차이즈보다 자영업체의 고용률이 낮아질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상권의 특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법안의 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소상공인과 대기업 모두'상생'을 이룰 수 있는정책이 절실한 때입니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日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 “안전성 불확실” 최근 일본이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물탱크에 보관하고 있던 방사능 오염수 125만톤을 30년에 걸쳐 방류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방사성 물질 농도를 법정 기준치 이하로 낮추고 천천히 방류할 것이니 상관없다고 합니다. 오염수에는 유전자 변형, 생식기능 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삼중수소(트리튬)가 들어 있습니다. 삼중수소가 바다에 뿌려지면 한국 중국 등 인근 국가 수산물에 흡수돼 이를 섭취한 인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 스트론튬90은 극소량으로도 골육종이나 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일본은 안하무인입니다. 한 고위관료는 “중국과 한국 따위에는 (비판을) 듣고 싶지 않다”고 발언했습니다. 미국은 “국제 안전 기준에 따른 것”이라며 일본에지지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작 후쿠시마 사고 이후 현재까지 사고 부근 농수산물 수입을 금지하고 있으면서 말입니다. 그런데 우리 정부는 지난해 10월 “일본의 ALPS장비 성능에 문제가 없고 오염수 방류가 큰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보고서를 냈다고 합니다. 안심할 수 있는 안전대책, 기대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