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들은 챙겨주는 건 확실하지. 그래서 미투가 별로 안 터지잖아 여기는. 미투 터지는 게 다 돈을 안 챙겨주니까 터지는 것 아냐."
"보수는 돈 주고 해야지 절대 그러면 안돼. 나중에 화 당해요 화. 여자들이 무서워서. 아니 여자가 좋으면 한번 손 만질 수도 있잖아. 어디 연애나 하겠어 남자들?"
다 아시다시피 16일 MBC 스트레이트가 공개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부인 김건희 씨의 통화 녹음파일 중 일부 내용이다. 결론은 기승전'돈'이다. 신자유주의가 점령한 제국의 모든 길은 '화폐'로 통한다. 현대인 모두 피도 눈물도 없는 '쩐'의 전쟁을 치르고 있는 셈이다.
하여 돈에 대한 담론은 엄청나게 깊고 넓다. 더러 청정지역이 없진 않지만 대개는 파괴적이다. 살인과 음모, 배신과 중독 등. 돈에도 족보가 있고 품격이 있다. '자본'은 그냥 평범한 돈이 아니다. 현 자본주의를 탄생시킨 '원시축적'에는 인간의 피냄새가 진득하다. 어떠튼 자본은 오직 '자기증식'만을 위해 움직이는 돈이다. 자기증식의 속성은 옛 이미지, '바벨탑'을 떠올리면 된다. '쌓음' 외에 그 어떤 것도 필요없다. 피도 눈물도 없다! 무조건 쌓기만 하라! 이것이 자기증식의 명령이다.
이 맹목의 질주에는 더 이상 계급 계층 젠더의 차이 따위는 없다. 특히 '왜'라고 물어서는 안된다. 생존을 위한 '필요need'와 소비를 향한 '욕구desire'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현대인들은 오래 전 '필요'를 잊었다. 사람들을 움직이는 건 어디까지나 '욕구'다.
그래서 정승처럼 벌어 개처럼 쓴다(?)는 옛말이 현실화됐다. 엄청 힘들게 벌어 너무나 허망하게 써버린다. 고급승용차, 명품, 성형 그리고 아파트. 이것들이 나라는 존재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이를 통해 어떤 삶을 살 것인지에 대해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주체는 사라지고 '소비'만 남았다. 오직 소비! 그리고 이 소비의 핵심은 타자와의 차별성이다. 남이 감히 넘볼 수 없는 차별성이 주는 기쁨. 이때의 기쁨은 행복이 아니라 쾌락이다. 쾌락의 끝은 슬픔에 닿아 있다. 쾌락은 비교를, 비교는 경쟁을, 경쟁과 투쟁은 늘 결핍과 부족을 재생산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마이더스의 손'이라는 신화를 기억한다. 손만 닿으면 돈이 된다. 왕대박! 근데 마이더스는 굶어 죽었다!
쾌락과 슬픔은 죽음의 레일 위를 끝없이 달리는 쌍두마차의 운명과 닮았다. 서로 더 많은 돈을 차지하기 위해 먹고 튀고 등치고 투쟁하고 물어뜯고 사기치고.... 그래서 '야수'자본주의라는 말도 생겼나보다.
그래서 한쪽이 이기면 고급 룸살롱 폭탄주, 탬버린 짤짤이쇼 노래방 광란의 몸짓, 여기까지는 음주가무. 다음은 성(性)스러운 코스다. 성접대 성상납 성폭력 성문란... 온갖 성스러운 행사가 이어질 것이다.
이것이 '쩐의 전쟁'을 치른 후 이르게 되는 보상이요, 대가요, '돈 맛'이요 '돈의 향기'이다.
요컨대 '돈의 향기'를 풍만하고도 그윽하게 내뿜은 빅이벤트가 'MBC 스트레이트'이지 싶다. 김 여사의 "돈 주고 해야지"라는 압축된 단 한마디는 '돈의 절정'에 이른 현대인의 진면목이다. 진보든 보수든, 성이든 성이 아니든 그 척도는 오로지 '화폐'다. 2022년 3월에 대한민국 대통령을 뽑는다. 선택의 기준이 '돈'이 될까 무섭다.
"돈 주고 해야지"
이 '시대의 비명'처럼 두고두고 허공을 떠돌며 현 '시대정신'을 조롱하게 될 지 모를 일이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지역상권법)’제정을 놓고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붙고 있습니다. 이 법은 지역상생구역이나 자율상권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스타벅스 같은 대기업 계열 점포의 출점을 제한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대상은 유통산업발전법(유통법)과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 등에 포함되지 않아 규제를 받지 않는 대기업입니다. 법안이 시행될 경우대기업이 운영하는 직영 점포의 신규 매장을 열기 위해서는 지역상인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임대료 상승에 따른 소상공인의 내몰림 현상(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막고자 마련됐습니다. 복합 쇼핑몰이 들어오면 주변 임대료가 뛰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유통업계는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과도한 중복 규제라고 반발에 나섰습니다. 또 재산권과 영업의 자유를 침해하는데다 대기업 프랜차이즈보다 자영업체의 고용률이 낮아질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상권의 특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법안의 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소상공인과 대기업 모두'상생'을 이룰 수 있는정책이 절실한 때입니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日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 “안전성 불확실” 최근 일본이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물탱크에 보관하고 있던 방사능 오염수 125만톤을 30년에 걸쳐 방류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방사성 물질 농도를 법정 기준치 이하로 낮추고 천천히 방류할 것이니 상관없다고 합니다. 오염수에는 유전자 변형, 생식기능 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삼중수소(트리튬)가 들어 있습니다. 삼중수소가 바다에 뿌려지면 한국 중국 등 인근 국가 수산물에 흡수돼 이를 섭취한 인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 스트론튬90은 극소량으로도 골육종이나 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일본은 안하무인입니다. 한 고위관료는 “중국과 한국 따위에는 (비판을) 듣고 싶지 않다”고 발언했습니다. 미국은 “국제 안전 기준에 따른 것”이라며 일본에지지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작 후쿠시마 사고 이후 현재까지 사고 부근 농수산물 수입을 금지하고 있으면서 말입니다. 그런데 우리 정부는 지난해 10월 “일본의 ALPS장비 성능에 문제가 없고 오염수 방류가 큰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보고서를 냈다고 합니다. 안심할 수 있는 안전대책, 기대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