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황성완 기자] 유웅환 SK텔레콤 ESG 혁신그룹장은 27일 여의도 CCMM빌딩에서 열린 폴리뉴스와 상생과통일포럼 주최인 제17차 경제포럼에 토론 패널로 참석해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47%로 감축하고 2050년까지 제로 배출(ZERO Emission)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 그룹장은 토론에서 SK텔레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전략과 목표를 발표했다.
유 그룹장은 "기후 위기 대응 방안과 관련해 오는 2030년에서 2050년까지 '넷 제로(Net Zero)'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재생에너지와 관련해 RE100(글로벌 에너지 전환 캠페인)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의지를 전했다.
유 그룹장은 "ESG와 관련해 'E'부분에서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47%를 감축하며, 2050년까지 ZERO Emission(무공해)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또 'S'부분과 관련해 "오는 2030년까지 사회적 가치 실행을 위해 매출의 10%를 늘리고 'G' 부분에선 기업 투명성을 100%로 유지할 계획"이라고 주장했다.
유 그룹장은 "SK텔레콤은 지난해 1조9500억원 규모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으며 비즈니스와 관련된 사회성과를 2362억원을 달성해 지난해보다 60.2% 증가했다"고 전했다.
또 티맵 안전운전 교통사고 예방 서비스, 인공지능(AI) 케어 서비스, 보이스 스팸 방지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진행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기후 위기 대응 방안과 관련해 오는 2030년에서 2050년까지 '넷 제로(Net Zero)'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재생에너지와 관련해 RE100(글로벌 에너지 전환 캠페인)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 그룹장은 "네트워크 인프라 최적화를 통해 배출량을 감축시키고 미얀마 쿡스토브 프로젝트를 UN(유엔 연합)과 같이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SK텔레콤은 '해피 해빗 프로젝트'와 '해피 에코 얼라이언스'도 진행한다"며 "두 가지 프로젝트는 환경부와 외교부 등 정부 기관과 스타벅스와의 협력을 통해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유 그룹장은 "스타벅스 등 44개 기관에 재사용 가능한 컵을 보급해 플라스틱을 줄이는 프로젝트를 하고 있다"며 환경 문제에 대해 노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코로나19상황의 인공지능 기술 활용과 사회안전망 제공을 위해 노력한다"며 코로나19 케어 콜과 치매 예방 프로그램, 인공지능 케어 서비스, 응급상황 케어 콜 등을 시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디지털 정보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10만명 이상에게 이 같은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유 그룹장은 "SK텔레콤은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상생 협력 생태계를 위해 인공지능과 ESG 펀드를 합쳐 250억원을 조성하고 중소 벤처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파트너사 상생 협력 프로그램으로 환경과 장애우 관련 기업과 기타 기업 등 21개의 기업들에게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ESG 관련 스타트업 지원을 27일 부터 시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지역상권법)’제정을 놓고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붙고 있습니다. 이 법은 지역상생구역이나 자율상권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스타벅스 같은 대기업 계열 점포의 출점을 제한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대상은 유통산업발전법(유통법)과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 등에 포함되지 않아 규제를 받지 않는 대기업입니다. 법안이 시행될 경우대기업이 운영하는 직영 점포의 신규 매장을 열기 위해서는 지역상인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임대료 상승에 따른 소상공인의 내몰림 현상(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막고자 마련됐습니다. 복합 쇼핑몰이 들어오면 주변 임대료가 뛰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유통업계는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과도한 중복 규제라고 반발에 나섰습니다. 또 재산권과 영업의 자유를 침해하는데다 대기업 프랜차이즈보다 자영업체의 고용률이 낮아질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상권의 특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법안의 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소상공인과 대기업 모두'상생'을 이룰 수 있는정책이 절실한 때입니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日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 “안전성 불확실” 최근 일본이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물탱크에 보관하고 있던 방사능 오염수 125만톤을 30년에 걸쳐 방류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방사성 물질 농도를 법정 기준치 이하로 낮추고 천천히 방류할 것이니 상관없다고 합니다. 오염수에는 유전자 변형, 생식기능 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삼중수소(트리튬)가 들어 있습니다. 삼중수소가 바다에 뿌려지면 한국 중국 등 인근 국가 수산물에 흡수돼 이를 섭취한 인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 스트론튬90은 극소량으로도 골육종이나 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일본은 안하무인입니다. 한 고위관료는 “중국과 한국 따위에는 (비판을) 듣고 싶지 않다”고 발언했습니다. 미국은 “국제 안전 기준에 따른 것”이라며 일본에지지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작 후쿠시마 사고 이후 현재까지 사고 부근 농수산물 수입을 금지하고 있으면서 말입니다. 그런데 우리 정부는 지난해 10월 “일본의 ALPS장비 성능에 문제가 없고 오염수 방류가 큰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보고서를 냈다고 합니다. 안심할 수 있는 안전대책, 기대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