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9월 취업자, 전년 같은 달 대비 67만 1000명 증가
실업률 2.7%로 동월 기준 8년만에 최저치…취약계층 고충 여전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 2021년 9월 고용동향 발표 (사진=연합뉴스)
▲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 2021년 9월 고용동향 발표 (사진=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확산이 이어지는 가운데에도 9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67만명 이상 증가 7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68만 3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67만 1000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3월의 72만 6000명 이후 7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통계청은 이에 대해 국민지원금과 백신 효과 등으로 대면서비스업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거기에 수출 호조, 기저 효과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도소매업과 자영업자, 일용직 등 고용 취약계층의 어려움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수는 지난 3월부터 7개월 연속 증가세다. 취업자 수 증가는 3월 31만 4000명에서 4월 65만 2000명, 5월 61만9천명, 6월 58만2천명, 7월 54만2천명, 8월 51만8000명을 기록하고 있다. 

9월에는 3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 계층에서 취업자가 증가해 60세 이상(32만 3000명), 20대(20만 2000명), 50대(12만 4000명), 40대(1만 8000명) 순이다. 

반면 30대는 1만 2000명 감소했는데 이는 30대 인구 감소에 따른 숫자인 것으로 정부는 분석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28만명), 운수·창고업(16만 3000명), 교육서비스업(9만 8000명) 등에서 취업자가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 위기의 주요 타격 업종인 숙박·음식점업은 7월(-1만 2000명), 8월(-3만 8000명)로 감소세를 지속했으나 9월에는 3만 9000명 증가세로 돌아섰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거리두기 단계가 계속 유지됐으나 사적 모임 기준 등이 일부 완화됐고 국민지원금 지급, 백신접종 등도 숙박·음식점업 취업자 증가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작년 2차 확산 때 많이 감소한 것에 대한 기저효과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도소매업은 12만 2000명 감소했고 제조업도 3만 7000명 줄었다. 상용근로자는 51만 5000명, 임시근로자는 34만명 각각 증가했지만 일용근로자는 12만 1000명 줄었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2만 2000명 증가한 반면,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4만 8000명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 자영업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는 관측이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9.1시간으로 0.1시간 줄었다.

통계상 취업자로 분류되는 일시휴직자는 39만 5000명 감소해 39만 4000명을 기록했다.

15세 이상 전체 고용률은 61.3%로 전년 동월 대비 1.0%포인트 올랐다.

실업자 수는 1년 전보다 24만 4000명 감소한  75만 6000명으로 나타났다. 

실업률은 2.7%로 0.9%포인트 떨어졌다. 동월 기준으로 2013년(2.7%) 이후 8년 만의 최저치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68만 5000명으로 13만 2000명 줄면서 3월부터 7개월 연속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를 활동상태별로 보면 재학·수강 등이 17만 6000명 줄었고 가사도 7만 6000명 감소했다. '쉬었음' 인구는 8만 1000명이 줄었다.

정 국장은 "9월 고용동향은 비대면 디지털 업종으로의 전환과 수출 호조 등으로 취업자는 증가하고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는 감소해 고용 회복세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에 대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9월 고용동향을 '뚜렷한 회복세'라며 "취업자 수는 코로나19 고용 충격 발생 이전 고점(지난해 2월)에 한 발 더 근접(고점 대비 99.8%)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 감소가 지속되고 일용직은 감소 폭이 확대됐다"면서 "지표 개선에 안주하지 않고 취약계층의 민생 어려움을 보다 세심히 살피겠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키워드

#코로나19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