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별 빅테크·핀테크 플랫폼 자유롭게 참여 가능

국내 4대 금융그룹. 시중은행 ATM. [사진=연합]
▲ 국내 4대 금융그룹. 시중은행 ATM. [사진=연합]

 

[폴리뉴스 김서정 기자] 최근 금융당국과 시중은행들 간 진통을 겪었던 '대출 갈아타기(대환대출)' 공공 플랫폼 사업과 관련해 결국 시중은행이 독자적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카카오페이·토스 등 민간 빅테크(대형 정보기술업체)·핀테크(금융기술기업) 등이 주도하는 대환대출에 막대한 수수료, 빅테크 종속 등에 대한 우려로 참여를 꺼리던 시중은행들은 한시름 놓게 됐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지난 6월 이후 사실상 중단된 대환대출 공공 플랫폼 구축 방안 논의를 재개할 예정이다.

시중은행들은 당초 빅테크·핀테크의 대환대출 플랫폼에 은행들이 참여하는 방식을 구상했던 당국의 눈치를 보며 최근 한 달 넘게 독자적 공공 플랫폼 계획을 보류해왔다.

하지만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달 15일 금융위원회가 은행 부행장급 관계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은행권 독자적 플랫폼에 대해 공식적으로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분위기가 바뀌었다. 간담회 후 은행연합회는 최근 2주간 은행들에 다시 공공 플랫폼 참여 의사 등을 물었고, 다수의 은행이 공공 플랫폼 독자 구축을 지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들은 은행연합회가 운영하는 '금리비교·대환대출 플랫폼' 구축을 다시 추진하고 개별 은행은 이 공공 플랫폼뿐 아니라 빅테크·핀테크가 준비 중인 대환대출 플랫폼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 독자적 플랫폼도 구축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간 독자 대환대출 플랫폼 개발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

지금까지 은행들은 빅테크·핀테크가 주도하는 대환대출 플랫폼에 참여하는 데 여러 이유로 난색을 보여왔다.

'자유로운 대출 갈아타기를 통한 소비자 편익 증진'이라는 대환대출 사업 명분에는 반대하지 않지만, 민간 플랫폼에 지불해야 하는 많은 수수료가 큰 부담인데다 민간 플랫폼 참여를 계기로 금융산업 구조상 시중은행의 '빅테크·핀테크 종속'이 더 빨라질 것이라는 두려움도 있다.

앞서 논란이 고조되자 일각에선 대환대출 플랫폼 구축 필요성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며 크게 반발하기도 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폴리뉴스와의 통화에서 “특정 플랫폼이 생겨 수수료가 발생하는 것 자체가 문제다”며 “비유하자면 유통과정이 복잡해지는 것이니 만큼 그 피해는 고객들에게 돌아가게 될 것이다. 이미 시중에 여러 금융기관의 대출 금리를 한번에 비교하는 서비스가 있다. 수수료 없이 기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게 낫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