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에 3500억 불 시장으로 성장
차세대 전지 기술 선점이 관건
문대통령-송영길, K배터리·반도체 특별법 제정 등 지원 한 목소리

문재인 대통령이 8일 K-배터리 발전전략 보고에서 배터리 산업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이 8일 K-배터리 발전전략 보고에서 배터리 산업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조성우 인턴기자] 정부가 지난 8일 ‘K-배터리 발전전략’발표를 통해 미래 배터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차세대 전지 기술 선점에 전폭적인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세계 1위의 ‘배터리 강국’을 실현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밝혔다.

9일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사물인터넷 등 인터넷에 연결되는 게 많아지면서 배터리에 대한 수요도 많아졌다. 약 10년 뒤인 2030년에는 지금보다 8배 정도, 시장규모 3,500억 불 정도로 배터리 시장이 커질 거라고 많이들 추산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반도체는 우리나라 산업과 수출을 이끌어가는 품목이다. 배터리 산업도 중국과 세계 1위를 물량적으로는 다투고 있다. 시장이 계속해서 성장할 텐데, 그 늘어나는 시장에 맞춰 준비를 잘해 차세대 배터리 시장에서도 1위 위상을 점유한다면 반도체와 마찬가지로 우리 경제를 끌어가는 주력 산업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현재 배터리 시장은 충전을 통해 재사용할 수 있는 ‘2차 전지’를 일컫는다. 이는 휴대전화와 노트북, 전기차에 주로 사용되며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중국과 함께 물량적으로 1, 2등을 다투고 있다. 

문 장관은 이번 정부 발표에서 첫 번째로 나온 전략인 ‘차세대 전지 기술’을 묻는 말에는 “지금의 2차 전지보다 빠르게 충전하고 오래갈 수 있어 소비자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며 “화재 사고와 같은 안전성 문제에서도 보강이 된다. 또 현재 2차 전지에는 리튬이나 니켈과 같은 희소하고 무거운 소재가 많이 필요하다. 차세대 기술은 공급이 쉽고 가벼운 소재로 만들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면들을 갖춘 전지를 차세대 배터리라고 통칭한다. 구체적으로 ‘전고체 배터리’와 ‘리튬황 전지’같은 것들이 우리가 연구하고 있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이”고 설명했다.

진행자의 “반도체 산업은 예전 일본에 소재·부품·장비 수출규제를 당했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배터리 산업은 준비가 돼 있는가”라는 물음에 “2차 전지도 소재·부품·장비 산업과 해외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좀 높은 산업이기 때문에 공급망을 얼마나 안전하게 가져갈지 등을 종합해 전략을 만들었다”고 답했다. 

또 문 장관은 배터리 산업은 산학협동을 통해 연구되며 전·고체 배터리 분야에서 소재, 전해액 같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배터리 산업은 2030년까지 40조 원 대의 대규모 민간투자와 함께 정부의 세제 혜택 및 대규모 연구개발(R&D)이 진행된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8일 ‘K-배터리 발전전략’에 참석해 “배터리는 미래산업의 중심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반도체가 정보를 처리하는 두뇌라면 배터리는 제품을 구동시키는 심장이다. 배터리를 국가 전략기술로 지정하겠다. 탄소 중립의 열쇠도 배터리에 있다”고 말하며 미래 배터리 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지원을 약속했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도 지난 7일 열린 당 반도체기술특별위원회 제6차 회의에서 반도체 산업에 대해 언급하며 차세대 첨단 기술의 지원 정책에 대한 협력을 요청했다. 송 대표는 “삼성반도체가 만들어지고 IT 산업의 쌀이 만들어졌다. 반도체는 단순한 기술을 넘어서 기술 패권과 국가경쟁력을 좌우한다”며 “K반도체 벨트 조성, 세액공제와 금융지원·규제완화 등 인프라 지원 확대, 인력시장 지원, 성장기업 강화 등에 같이 협력했으면 한다”고 설명했다.

문 장관 또한 반도체 관련 핵심전략산업특별법을 구상하고 있다고 밝히며 배터리와 반도체 산업에 전폭적인 지원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