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 백신 위탁생산 관련 "사실이 아니다"와는 대조적
완제 생산 CMO 방식 유력 거론
한미 정상회담 주요 의제, 백신 동맹

미국 제약사, 모더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국내 대량생산 윤곽이 잡히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생산을 맡는 것을 전제로 협의가 진행 중인 것으로 최근 전해진다. <사진=연합뉴스>
▲ 미국 제약사, 모더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국내 대량생산 윤곽이 잡히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생산을 맡는 것을 전제로 협의가 진행 중인 것으로 최근 전해진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현우 기자] 미국 제약사, 모더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국내 대량생산 윤곽이 잡히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생산을 맡는 것을 전제로 협의가 진행 중인 것으로 최근 전해진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모더나의 한국 지사 설립도 함께 진행 될 예정이다. 일각에서는 한국이 맡을 생산 규모에 따라 GC녹십자 등 다른 제약·바이오사들의 생산도 가능할 수 있다는 반응이 나온다. 이는 8월 백신 대량생산과 백신 글로벌 허브 도약 등 그동안 정부의 공언과도 맞물린다.

모더나 백신은 세계 최초로 개발된 mRNA 방식이다. 바이러스의 일부인 스파이크(돌기)를 만드는 유전 정보인 mRNA를 인체에 전달하는데, 그러면 몸속에서 스파이크에 결합하는 항체가 생긴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입하면 백신으로 생긴 항체가 바이러스의 스파이크에 먼저 결합해 감염을 차단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mRNA 백신 생산 공정 중 마지막 병입(甁入) 단계를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mRNA 주변을 일종의 보호막인 지질 나노 입자로 감싸고 병에 넣어 영하 70도로 냉동해서 출하한다. 원료가 되는 mRNA와 보호층인 지질 나노 입자는 수입해 써야 한다.

업계에선 백신 생산설비가 없는 삼성바이오가 모더나 백신의 제조 과정 중 완제 생산만 담당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모더나의 한국 진출 움직임은 계속 포착돼 왔다.

한국 지사를 설립하기 위해 최근 공식 홈페이지에 한국 조직 총괄매니저(GM·General Manager) 채용 공고를 냈다. 국내 품목허가 절차도 밟고 있다. 모더나 백신의 유통(물류)과 허가 대행을 맡는 GC녹십자를 통해 국내 허가신청에 들어가 식약처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 최종점검위원회만 통과하면 허가 된다.

그동안 모더나가 국내에서 어떤 사업모델을 영위할지에 관심도 많았다. 새로운 기술인 mRNA 백신을 원액(원료)부터 남에게 맡기는 게 어려울 것으로 보고, 원액을 받아 충진·포장하는 완제 생산(DP) 공정을 한국 기업에 맡길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따라서 mRNA 백신의 완제 생산이 즉각 가능한 GC녹십자가 유력하게 거론됐다.

하지만 현재 백신 설비가 없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맡더라도 완제 생산(DP)만 담당한다면 오는 8월 생산도 가능하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전문적인 원액 단계 생산설비 구축을 단기간에 이루긴 힘들다. mRNA 생산 기술이 없는 삼성에서 원액부터 담당하는 것은 아닐 것으로 보인다”며 “완제 생산을 맡게 된다면 정부에서 언급했던 ‘8월 국내 위탁생산’도 불가능한 것은 아닐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모더나 백신 생산과 호환할 기존 설비가 구축돼 있는지, 전문 인력은 있는지 등에 따라 설비 구축에 소요되는 기간이 결정될 것이다”고 말했다.

모더나가 국내 생산처를 1곳만 특정할지도 알 수 없다는 의견이 나온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1개 업체에만 위탁생산을 맡길지, 여러 곳에 물량을 나눠 맡길지는 알 수 없다”며 “예를 들어 연간 10억 도즈 생산계획을 갖고 있는데 삼성에서 1억 도즈만 생산한다면 다른 업체를 접촉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현재 모더나는 미국과 미국 외 지역으로 나눠 코로나19 백신을 생산 및 유통하고 있다. 원료의약품(DS)은 미국과 스위스 론자가, 완제의약품(DP)은 북미 및 유럽에만 생산 CMO가 존재한다. 모더나 백신은 화이자 코로나19 백신의 개발 플랫폼과 같은 mRNA 백신이다. 바이러스의 항원 유전자를 mRNA 형태로 주입해 체내에서 항원 단백질을 생성함으로써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한편 한미정상회담 개최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백신·안보·경제' 분야 등 각종 현안들이 논의되는 '역대급 회담'이 될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오는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만난다.

한미 정상 테이블에 오를 현안으로는 △백신 공급 및 한국내 위탁생산 △대중견제 △북미대화 및 북핵 조율 △북한 인권 △쿼드 '부분 참여' △한미일 공조 △한일관계 개선 △반도체 및 2차 전지 △5세대 통신(5G) 등 대중견제를 위한 기술협력 등이 손꼽힌다.

첫 대면 회담을 갖는 한미 두 정상은 우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현안을 놓고 담판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최근 이수혁 주미대사가 미국으로부터 6월 전 코로나19 백신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혀 이번 한미정상회담에 더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우리 정부는 이번 회담이 미국과의 '백신 파트너십' 구축에 큰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백신 기업들의 기술·원료를 도입하고 우리 기업들이 위탁생산하는 협력 방안이 집중 논의될 전망이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