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맡던 배터리 분리막, LG화학으로 이전 검토
올해 초 스마트폰 철수 이어 두 번째 사업 구조조정
LG화학, 전기차 배터리 관련 사업 경쟁력 강화
LG전자는 ‘가전’ 기반으로 미래 성장 사업인 ‘전장’ 투자에 집중

올해 초 스마트폰 사업을 정리했던 LG가 연이어 ‘선택과 집중’에 나설 전망이다. <사진=연합뉴스>
▲ 올해 초 스마트폰 사업을 정리했던 LG가 연이어 ‘선택과 집중’에 나설 전망이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홍석희 기자] 올해 초 스마트폰 사업을 정리했던 LG가 연이어 ‘선택과 집중’에 나설 전망이다. LG전자가 맡던 배터리 분리막 부문을 LG화학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G전자는 주력인 가전과 미래 성장 사업인 전장에 집중하고, LG화학은 전기차 배터리 관련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이다. 두 차례의 ‘사업 교통정리’ 이후 미래 먹거리에 투자하려는 LG의 시도가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배터리 분리막, ‘LG전자→LG화학’ 이전 검토

LG전자가 국내외 배터리 분리막 공장을 LG화학으로 이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분리막은 전지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배터리 안정성을 유지하고 출력을 높이는 전기차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소재다. 평균적으로 배터리 원가의 약 15∼20%를 차지한다.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청주 분리막 공장을 LG화학에 매각하는 사항을 검토하고 있다. 양사는 최종조율 작업을 마친 뒤 상반기 내 인수인계를 진행할 예정이다. 매각이 성사되면 LG전자 직원들은 LG화학으로 소속이 바뀌게 된다. 

LG전자는 지난 2009년부터 충북 청주공장에서 배터리 분리막을 생산해오고 있다. LG화학이 안전성 강화 분리막(SRS) 등 분리막 특허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LG전자가 소재 생산에 강점이 있어 그동안 분리막 제조를 맡았다. 이곳에서 생산한 분리막이 LG화학 배터리 부문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에 공급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김해진 박사는 <폴리뉴스>와의 통화에서 “결국 분리막은 화학 소재이기 때문에 화학 전문 기업으로 간다는 것은 배터리 생산과 관련해서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의미일 것”이라고 말했다.

LG화학 관계자는 이번 사업구조조정과 관련해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해당 사안은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LG전자 관계자도 "분리막 생산 설비 규모는 공개하기 어렵고 매각 사실은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

LG화학, 전기차 배터리 관련 경쟁력 강화 노려

업계에서는 LG화학이 배터리 소재까지 직접 생산하는 것이 경쟁력 강화에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재는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이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다.

LG화학 입장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 분사 이후 미래 먹거리를 강화를 위해 첨단소재사업부를 강화해야 한다. LG화학 윤현석 상무는 지난달 28일 1분기 컨퍼런스콜에서 “배터리 소재 시장의 규모가 크고 향후 급격하게 성장할 것”이라며 “기존 소재 외에 추가 소재의 사업화를 적극 검토하고 있고, JV(합작법인)나 M&A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배터리 핵심소재인 분리막은 글로벌 전기차 판매가 급증하며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분리막은 전체 원가의 20%에 달할 만큼 원가에 큰 영향을 주는 소재다. 차세대 전고체 전지의 개발 및 상용화가 먼 미래의 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리튬이온 배터리의 안전성 강화의 핵심 소재인 분리막의 수요는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산업 컨설팅업체 SNE리서치는 2019년 약 28억㎡였던 전세계 분리막 수요가 2025년이면 193억㎡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분리막의 수요 예측에 대해 김해진 박사는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전고체 배터리라면 분리막이 필요 없겠지만 하루아침에 (분리막 수요가)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LG전자는 ‘가전’ 기반으로 미래 먹거리인 ‘전장’ 투자에 집중

LG전자가 스마트폰 사업 철수에 이어 배터리 분리막 사업도 LG화학으로 이전을 검토하는 것은 주력인 ‘가전’과 미래 먹거리인 ‘전장’에 집중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배터리 분리막 사업은 그 중요성에 비해 LG전자 내에서 주목 받지 못한 부문이었다. LG전자 BS(Business Solutions)본부 내 CEM(Chemical & Electronic Material)사업부가 분리막 생산을 담당하고 있는데, LG전자 내 유일한 소재·재료 사업 담당인 해당 사업부는 분리막 이외에도 LCD TV용 프리즘시트 생산 및 태양광 페인트(Solar Paste), 마우스 스캐너 등의 연구·개발을 병행하고 있다.

주력인 가전 부문은 올 1분기 LG전자가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하는 데 ‘일등공신’이었다. LG전자의 '역대급 실적'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오브제 컬렉션 등 프리미엄 가전 제품 등 TV·생활가전 사업부가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로 억눌린 소비가 터질 것으로 예상돼 2분기 및 하반기 전망도 밝다. 지난 29일 진행된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김이권 H&A경영관리담당 상무는 "코로나19가 끝나더라도 위생·건강 가전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이라며 "점차 중요성이 커지는 온라인 판매도 고객 기반 마케팅을 확대해 안정적인 수익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는 가전에서의 선전을 기반으로 미래 먹거리 사업인 ‘전장 사업’에 대한 공격적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2018년 오스트리아 전장기업 ZKW인수하며 헤드램프 생산에 뛰어든 LG전자는 올해는 글로벌 3위 전장기업 마그나와 합작사를 설립하며 전기차 파워트레인(동력전달장치) 사업에도 진출했다. 차량용 소프트웨어 강화에도 나서고 있다. 지난 3월에는 LG전자와 스위스 SW 업체 룩소프트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합작법인인 ‘알루토’를 설립했다.

전장 사업에 대한 공격적 투자가 곧 결실을 볼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지속적으로 적자에 시달리던 LG전자의 전장 사업이 흑자 전환을 앞두고 있다는 전망이다. 완성차 업체들의 셧다운이 해제되며 전장 부품 수요가 증가해 올 1분기 적자 폭을 줄였고, 2분기부터는 흑자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LG전자는 텔레매틱스(차량 무선 인터넷 서비스) 부문에서는 차량용 5G 기술 선제 대응 등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디스플레이 오디오 및 네비게이션 영역에서는 제품 차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LG화학과 LG전자의 배터리와 전장사업의 경쟁력을 키워 궁극적으로는 미래차 관련 사업을 키우겠다는 그룹 차원의 큰 구상을 실행에 옮기려는 단계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