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어준의 뉴스공장<사진=연합뉴스> 
▲ 김어준의 뉴스공장<사진=연합뉴스> 

 

TBS에서 방송되는 <김어준의 뉴스공장>을 폐지해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에 대한 동의가 32만명을 넘어섰다. 이 청원은 “서울시 교통방송은 말 그대로 서울시의 교통흐름을 실시간 파악해서 혼란을 막고자 교통방송이 존재하는 것”이라며 “그러나 김어준은 대놓고 특정 정당만 지지하며 그 반대 정당이나 정당인은 대놓고 깎아 내리며 선거나 정치에 깊숙히 관여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민주당 지킴이 역할을 하는 김어준이 시민들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영방송에서 진행자를 계속하는 것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었지만 민주당은 그에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이다. 이미 4.7 재보궐선거 때 “김어준이 없는 아침이 두렵다면 오직 박영선”이라던 송영길 의원의 말이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지만, 선거 참패 후에도 김어준을 지키려는 민주당 인사들의 발언은 쏟아진다.

"그나마 진실을 이야기하는 그런 언론이다." "언론을 지켜가려는 사람을 당이 지켜주지 못하면 언론의 자유가 굉장히 후퇴한다. 잘 지켜줘야 한다. 그에 맞는 팀도 빨리 구성해 대응해야 한다." (우원식)

"기득권과 민주당이 싸우고 있는 것이고, 그 기득권과 싸움의 최전선에 있는 게 뉴스공장이다."(김용민)

“김어준 귀한 줄 알아야 한다.”(정청래)

“(김어준)앞날에 신의 은총이 함께하길 바란다.”(안민석)

“진실을 말하는 방송.”(추미애)

4.7 선거에서 분출된 민심을 확인하고서도 민주당은 벌써 그 참패의 의미를 망각해 버린 모습이다. 시사저널이 여론조사기관 시사리서치에 의뢰해 4월20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김어준의 하차 여부에 대해 “하차해야 한다”는 응답이 57.4%로 나타난 반면 “하차할 필요 없다”는 응답은 38.8%에 그쳤다. 또한 응답자의 66.7%가 김어준의 방송이 ‘편파적’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이런 민심에 아랑곳하지 않고 김어준 지키기에 올인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것도 당 대표 경선에 나선 인물들까지 말이다.

하필이면 나라를 책임진 집권여당이 고작 김어준의 음모론에 기대어 정치를 하는 모습은 참담한 일이다. 김어준은 민주당 지킴이를 하고, 다시 민주당은 김어준 지킴이를 한다. 그렇게 한 패가 되니 방송은 사유화 되고 정파의 도구로 전락하고 만다.

납득할 수 없는 것은 이 나라의 권력이란 권력은 다 장악하고 있는 절대권력이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고 있는 광경이다. 문재인 정부의 집권세력은 언제나 박해받는 피해자로 행세한다. 절대권력의 보유자인 문재인 정부의 집권세력은 왜 언제나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는 것일까? 그것은 책임 회피를 통해 자신을 정당화하려는 정치적 기제다.

독일의 심리학자 야야 헤릅스트(Jaya Herbst)는 『피해의식의 심리학』에서 ‘피해자의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과거의 상처나 절망으로 인한 정신적 결핍감에서 생긴 피해의식은 자신의 책임을 다른 사람에게 떠넘기려는 태도를 지닌다. 헤릅스트는 이를 두고 ‘피해자의 역할’이라고 정의한다. 즉, 자신의 고통과불행의 원인을 외부에서 찾음으로써 책임 회피와 보상 심리를 충족시키기 위한 일종의 역할극을 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문재인 정부의 집권 세력이 보여준 피해자 코스프레도 헤릅스트의 이야기와 다르지 않다. 피해자 코스프레는 우리는 떳떳하다는 보상 심리를 낳고, 지지자들에게 동정을 유발하며, 그들을 결집시키는 효과를 거둔다. 하지만 이러한 피해자 코스프레는 그 사회가 지켜왔던 옳고 그름의 가치를 전복시킨다. 가해자가 피해자로 행세하고, 피해자가 가해자로 모략당하는 현실에서 누가 옳고 그른지를 분간하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이되고 만다. 피해자 코스프레가 그 사회에 커다란 해악을 끼치는 이유다.

민주당은 엄연한 이 나라의 집권세력이다. 그렇다면 나라를 경영하며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줘야지, 언제나 ‘맞서 싸우자’는 식으로 나라를 몰고가는 태도는 옳지 않다. 김어준도, 민주당도, 더 이상 핍박받는 사람들이 아니다. 대체 무엇을 위해, 누구를 위해 싸우자는 것인가. 김어준을 위해? 아니면 더불어민주당을 위해? 누구를 위해 민심에 맞서 싸우자는 것인지 알 길이 없다.

※ 외부 필자의 기고는 <폴리뉴스>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