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윤 갈등' '윤석열 징계 강행'과 맞물려 여권 내부 친문 ‘추미애 장관 자진 사퇴’ 목소리 이어져

16일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 의결 결과를 보고하는 자리에서 사의를 표명했다. <사진=연합뉴스>
▲ 16일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 의결 결과를 보고하는 자리에서 사의를 표명했다. <사진=연합뉴스>

16일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 의결 결과(정직 2개월)를 보고하는 자리에서 사의를 표명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추미애 장관이 여론을 의식해 사의를 표명했다는 분석이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은 추미애 장관으로부터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위 결과에 대해 70여 분 동안 보고 받았다. 추미애 장관은 이날 오후 5시에 청와대에 도착해 문 대통령과 면담을 6시 10분까지 가졌다. 이 자리에서 추미애 장관은 자진 사퇴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만호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저녁 춘추관 브리핑에서 추미애 장관 사의 표명에 대해  “(문 대통령은 추 장관에게) ‘시대가 부여한 임무를 충실히 완수해준 것에 대해 특별히 감사하다’면서, 추 장관 본인의 사의 표명과 거취 결단에 대해서도 높이 평가했다”며 “마지막까지 맡은 소임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친문 핵심 인사들, 일제히 "추미애 자진사퇴" 압박

추미애 장관이 윤 총장 징계위 결과 청와대 보고 자리에서 예정에도 없던 자신의 '사의표명'을 하자,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추 장관 자진사퇴의 배경에 ‘정권에 부담이 된다’는 여론의 압박이 있었다고 보고 있다.  

'추미애-윤석열' 갈등의 정점을 찍었던 지난 11월24일 윤 총장에 대한 직무배체, 결정, 12월1일 윤 총장 집행정지 신청 인용판결, 12월 4일 법무부 징계위 구성, 12월 10일과 15일 법무부의 윤 총장 징계 강행 추진 전후로 대통령 국정 지지도가 급속히 하락하면서 여권에서는 특히, 친문핵심들이 앞장서서 추미애 장관 자진 사퇴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불거졌다.

친문 핵심 인사들은 지난달 말부터 12월 초까지 ‘추미애 자진 사퇴론’을 연일 언급하고 나섰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지난달 30일 청와대 주례 오찬 회동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의 ‘동반 사퇴’를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친문 핵심으로 불리는 홍영표 의원은 지난 1일 한국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검찰개혁의 다음 단계로 나가는 것은 다른 사람이 할 수도 있다"고 추 장관의 교체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김두관 의원도 2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공수처가 출범한 이후 검찰개혁 2단계는 새로운 분이 법무부 수장을 맡을 수도 있지 않나"고 말했다.

민주당 5선 중진인 이상민 의원은 지난달 27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추 장관과 윤 총장의 쓰레기 악취 나는 싸움, 너무 지긋지긋하다"며 "이유나 경위 등을 따질 단계는 이미 지났다. 둘 다 동반 퇴진시켜야 한다"고 강도 높게 주장하기도 했다.

김우석 평론가 “추미애 장관 외로운 투쟁해…한시라도 빨리 빠져나가고 싶었을 것”
배종찬 소장 “秋, 국민 평가와 여론 나빠지는 상황 속 지나치게 부담 앓았을 것”

평론가들은 공수처법 처리, 윤 총장 징계로 ‘퇴장 명분’이 만들어지자 추 장관은 나빠지는 국민 여론과 여권 분위기를 의식해 ‘사퇴 불가피론'을 받아들였다는 분석이다.

17일 <폴리뉴스>와의 전화 통화에서 김우석 정치평론가는 이에 대해 “추미애 장관도 어느 순간 한시라도 빨리 빠져나가고 싶었을 것”이라며 “(나빠지는 여론 속에서) 외로운 투쟁을 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대통령 입장에서도) 활용도는 다 됐고, 득실을 봤을 때 득은 충분히 봤고, 앞으로 추미애 장관을 그대로 두는 것은 실이 더 많은 상황이었기 때문에 손절매 차원에서 고민하고 있었는데, (추 장관과 문 대통령) 둘의 의지가 맞아떨어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도 17일 <폴리뉴스>와의 통화를 통해 “추 장관이 사퇴하는 것은 두 가지 이유”라며 “대통령에게 부담을 최소화하고, 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한 추가 압박을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우선, 추 장관에 대한 여론이 너무 안 좋다. 중도층이 이탈하면서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부담이 되고 있고, 여권에서 추가 공세를 하고 싶어도 추 장관이 사퇴를 안 하는 상황에서 대통령이 윤 총장에게 공격을 가하기 힘들기 때문에 지지층과 여권의 압박도 커졌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과정에서 추 장관이 지나치게 부담을 앓았고, 국민 평가와 여론이 안 좋아지고 아무도 자신을 지지해주지 않는 것에 대한 불만이 추미애 장관을 자진사퇴 하도록 이끌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