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현, 이언주 의원 
▲ 이정현, 이언주 의원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된 공직선거법 개정안(준연동형 비례대표제)이 본회의에 부의됐다. 12월3일 검찰개혁법안이 부의되면 이후 반대하는 자유한국당(108명)을 제외한 더불어민주당(129명)과 야당.무소속 등 제세력(58명)이 임시회를 개최해 투표로 결정하게 된다. 현재 국회의원 총수는 295석이다. 의원 숫자상 연동형비례대표제가 통과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관건은 전체 의석수 300석을 기준으로 지역구를 225(비례 75)석으로 할 것이냐 아니면 240(60)석 내지 250(50)석으로 늘릴 것이냐를 두고 여당과 소수야당이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정의당 심상정 안은 지역구 225석에 비례대표 75석이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는 득표율에 해당하는 의석의 50%를 일단 먼저 배분하고 잔여의석은 기존방식처럼 비례대표 득표(정당투표) 비율에 따라 배분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A 정당이 지역구 당선자 없이 득표율 3%를 받을 경우 ‘300(총의석수)*0.03(정당득표율)/2=4.5석’으로 반올림해 5석을 얻게 된다. 19대 총선에서 자유선진당이 정당득표율 3.23%로 두 석을 얻은 것보다 3석이 더 늘어나는 셈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21대 총선을 맞이해 신당 창당이 역대 총선의 두 배로 늘어나는 기현상이 발생했다. 중앙선관위에 등록된 신당만 34개이고 창당준비위만 11개다. 무엇보다 ‘마의 3%’만 넘으면 원내진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특정종교.직능단체.세대를 표방한 신당창당이 줄을 잇고 있다.

특히 최근 신당 창당을 선언한 허경영씨의 경우 대통령에 수차례 도전해 나름대로 인지도가 있고 고정 지지층이 있어 여야에 짜증난 무당파층이 홧김에 대거 찍을 경우 금배지를 달 수도 있다. 문제는 지역구 당선이 쉽지않은 기성 정치인들마저 부하뇌동해 금뱃지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1인 신당 창당에 나서는 것 같아 씁쓸하다. 이언주, 이정현 의원의 신당 창당이 그렇고 바른미래당내 유승민 신당도 의심을 받을 수 있다.

광명이 지역구이자 재선인 이언주 의원은 민주통합당으로 국회에 입성해 국민의당, 바른미래당을 거쳐 현재는 무소속이다. 최근에는 지역구 광명을 떠나 지역구 출마를 접은 게 아니냐는 의심마저 받고 있다.

그러나 이 의원은 반문 진영에 대표적인 여전사로 삭발까지 하면서 인지도를 꾸준하게 높여왔다. 국회의원중 고정지지층이 있는 몇 안되는 정치인이다. 이 의원의 행보를 보면 당분간 기성정당에 입당보다는 신당창당에 방점을 찍고 있는 모습이다.

‘박근혜의 남자’로 불리는 이정현 의원 역시 신당 창당에 매진하고 있다. 지역구는 전남 순천이다. 민주당 텃밭인 호남에서 새누리당 후보 재선을 했다는 점에서 ‘호남의 김부겸’으로 불릴 정도로 인지도를 쌓았다. 현재는 새누리당을 탈당해 무소속으로 이언주 의원과 마찬가지로 ‘친박’이라는 고정지지층을 갖고 있다.

이정현, 이언주 두 인사는 남다른 인지도와 고정지지층, 그리고 무소속이라는 공통점만 있는 게 아니다. 내년 총선에서 지역구 출마해 당선될 가능성이 낮다는 점도 신당창당에 나서는 또 다른 이유다.

개정된 선거법이 통과되면 당선이 불확실한 지역구 출마보다 기성 정당 대표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전국을 누벼 당 지지율을 3%까지 끌어 올려 5석을 가져가는 게 훨씬 매력적이다. 또한 총선 전후 기성정당에 입당한다고 해도 ‘당대당 통합’이라는 점에서 지분확보 차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지역구 출마가 어려워 신당 창당을 하고 비례대표 순번에 1번을 본인에게 부여하는 것은 부자연스럽다. 이언주 의원은 사시출신으로 재선이자 한때 경기도지사를 꿈꾸던 인사였다. 이정현 의원은 3선 중진이다. 박근혜 정부 때 승승장구해 홍보.정무수석을 지냈고 최고위원까지 한 인사다. 그런 두 인사가 총선을 앞두고 신당창당에 나서는 게 본인의 정치생명을 연장하기 위한 꼼수가 아니길 바란다. 물론 허경영씨도 마찬가지다. 

※ 외부 필자의 기고는 <폴리뉴스>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