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은 법의 지배 받아야…해야 할 일 집중”
“대통령실, 참모와 민관합동위원회 결합해 운영”
“애국심‧실력 갖춘 민간 인재들 국정 컨트럴타워로”

27일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정치 분야 공약을 발표하며 “권위만 내세우는 초법적 대통령은 이제 없어질 것이다. 대통령은 법의 지배를 받고, 틀 안으로 내려와 해야 할 일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 27일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정치 분야 공약을 발표하며 “권위만 내세우는 초법적 대통령은 이제 없어질 것이다. 대통령은 법의 지배를 받고, 틀 안으로 내려와 해야 할 일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제왕적 대통령 잔재를 청산하겠다며 대통령실을 광화문 정부종합청사에 구축, 민간부문 최고 인재들을 국정 운영에 참여시키겠다고 공약했다.

27일 윤 후보는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국민과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기 위해서는 제왕적 대통령 잔재를 철저히 청산해야 한다”며 “권위만 내세우는 초법적 대통령은 이제 없어질 것이다. 대통령은 법의 지배를 받고, 틀 안으로 내려와 해야 할 일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국정 최고 컨트럴타워인 대통령실은 대한민국 최고 공무원들과 민간 인재들이 하나로 뒤섞여 일하는 곳으로 확 바뀔 것”이라며 “정예화된 참모와 분야별 민관합동위원회가 결합된 형태로 운영될 것”이라고 구상을 밝혔다.

그는 “코로나 위기는 사회 각 분야에 불가역적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고, 이를 선진국으로 도약할 기회로 만들어가야 하는데 공무원들끼리만 모여서는 문제 해결과 대안을 만들어 가는 데 한계가 있다”면서 “민간에 있는 최고의 인재들, 해외교포도 가리지 않고 모두 모아 국정운영에 참여시키겠다. 누구라도 애국심과 실력만 있으면 국정 컨트럴타워 안으로 모시겠다”고 부연했다.

이어 “나라가 변화되면 대통령부터 변해야 한다. 대통령은 대통령만이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겠다”며 “제대로 일하기 위해 집중할 것은 집중하고 분산할 것은 분산하겠다”고 밝혔다.

윤 후보는 “새로운 대통령실은 광화문 정부종합청사에 구축, 기존 청와대 부지는 국민들께 돌려드릴 것”이라며 “국민은 늘 대통령을 만날 수 있게, 늘 소통하고 일할 것이며 다음 정부는 임기 첫날부터 새로운 방식으로 국정을 시작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 초기에도 광화문 대통령 시대를 열겠다고 했지만 결국 성사되지 않았다’는 기자의 질의에 윤 후보는 “대통령이 국정을 어떻게 끌고 나가고 운영해나갈 것인지에 대한 방향과 방식이 먼저 정해지는 것이고, 청와대가 대통령 초법적 권위를 상징하는 장소가 되긴 했지만, 이러한 상징물을 없앤다거나 대통령 근무공간은 부차적 문제”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일하는 방식을 바꾸는 것, (예를 들어) 인사청문회를 통해 장관을 뽑고 청와대나 정치권, 행정부처에서 온 공무원 등 측근만으로 일을 해선 국민의 뜻을 제대로 수용하지도 어렵다”라며 “민간 최고 지성들, 관료, 정치권 인사들, 여러 학자들, 전문가, 언론계 분들과 국가적 아젠다를 추출해내고 그것을 어떻게 추진해나갈지 관리, 이행 결과를 점검하고 민관이 합동으로 국정을 운영해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통령은 그 중심에 있는 것으로 청와대 참모들은 그 합동위원회를 지원하고 연결하는 역할만 할 것”이라며 “광화문 정부청사 집무실을 만들어 그 안에 대통령실에서 참모들과 여러 민관 합동위원회의 사무처, 지원조직, 회의실 이런 것들이 들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통령이 인사권을 갖는 직의 수가 많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지금 우리 혁신 기업들에도 인사 전문가들이 많이 있다. 이런 위원회를 구성해 정부가 혁신 행정을 펴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인사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충분한 자문과 심리를 거쳐 판단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시간이 조금 걸리더라도 의사결정의 문을 다 열어놓고 많은 분들의 귀한 말씀을 경청해 국민들께서도 다 아실 수 있도록, 책임지고 안을 선택해 추진해나가도록 하겠다”고 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