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전수영 기자] 상생과통일포럼과 인터넷 종합미디어 폴리뉴스가 공동으로 주최한 제 6회 경제포럼이 성황리에 끝났다.25일 서울 여의도 CCMM빌딩 12층 서울시티클럽 컨벤션홀에서 ‘뉴 노멀(New Normal) 시대, 한국경제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열린경제포럼은, 현재 한국이 처한 대내…
2016 상생과통일포럼·폴리뉴스가 25일 여의도 CCMM 빌딩에서 'New Nomal 시대, 한국경제 길을 묻다' 라는 주제의 경제포럼을 주최했다.포럼의 기조발제에 나선 김준경 KDI 원장은 ▲세계경제의 흐름 ▲한국경제의 구조적 문제 ▲혁신을 통한 저성장 탈출방안 ▲제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영향에 대…
[폴리뉴스 정현민 기자]“우리는 지금 IT기술·정보처리 능력과 기존의 산업이 융합하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고 있습니다.”김준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은 “4차 산업혁명은 기술혁신에 의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의 발전에 힘입어 그 동안 사장됐던 소비자 정보가 분석되면서 나타나…
[폴리뉴스 강준완·정현민 기자]김준경 KDI 원장은 한국경제의 구조적인 문제점에 대해 “기업 이익률은 지난 97~98년 외환위기 때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매출증가율도 하락세가 뚜렷하다”면서 좀비기업들의 증가를 우려했다.최근에는 조선업 외에도 일부 전기전자, 부실 반도체, 비메모리…
[폴리뉴스 서예온 기자] “저성장에 익숙해지고 활로를 찾아야 한다.”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CCMM 빌딩 12층 서울시티클럽 컨벤셜홀에서 ‘한국경제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열린 상생과 통일 포럼에서 김태황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이같이 말했다.김태황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한국이 뉴…
[폴리뉴스 노철중 기자] “금융부문에서 국내·외적으로 잠재적인 위험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25일 서울 여의도 CCMM빌딩 12층 서울시티클럽 컨벤션홀에서 상생과통일포럼·폴리뉴스가 공동으로 주최한‘New Normal 시대, 한국경제 길을 묻다’ 포럼에서 최훈 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 국장은…
[폴리뉴스 박재형 기자] “기업의 투자 위험을 국가와 사회가 공유해야 기업의 투자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원동진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국장은 25일 서울 여의도 CCMM빌딩 12층 서울시티클럽 컨벤션홀에서 폴리뉴스와 상생과통일포럼이 공동 주최한 제6회 경제포럼 ‘뉴 노멀 시대, 한국경제 길…
[폴리뉴스강준완·정현민 기자]“조선산업 등 구조조정,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의 출현, 노동시장 수요변화, 기업 간-국가 간 경쟁 격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규제개혁·노동개혁·교육개혁 등 전방위 구조개혁이 절박합니다.”상생과통일포럼과 폴리뉴스가 주최한 제6회…
[폴리뉴스 강준완·정현민 기자]“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8년이 지난 2016년 미국의 가계부채는 대폭 축소됐으나, 정부부채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100% 이상으로 급증했습니다.”김준경 KDI 원장은 상생과통일포럼·폴리뉴스가 25일 여의도 CCMM 빌딩에서 개최한 'New Nomal 시대, 한국경…
[폴리뉴스 전수영 기자] 인터넷종합미디어 폴리뉴스와 상생과통일포럼은 공동으로 ‘뉴 노멀(New Normal)시대, 한국경제 길을 묻다’ 경제포럼을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오는 25일 오전 8시부터 서울 여의도 CCMM빌딩 12층 서울시티클럽 컨벤션홀에서 열리는 이번 경제포럼에서 김준경 한국개…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지역상권법)’제정을 놓고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붙고 있습니다. 이 법은 지역상생구역이나 자율상권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스타벅스 같은 대기업 계열 점포의 출점을 제한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대상은 유통산업발전법(유통법)과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 등에 포함되지 않아 규제를 받지 않는 대기업입니다. 법안이 시행될 경우대기업이 운영하는 직영 점포의 신규 매장을 열기 위해서는 지역상인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임대료 상승에 따른 소상공인의 내몰림 현상(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막고자 마련됐습니다. 복합 쇼핑몰이 들어오면 주변 임대료가 뛰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유통업계는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과도한 중복 규제라고 반발에 나섰습니다. 또 재산권과 영업의 자유를 침해하는데다 대기업 프랜차이즈보다 자영업체의 고용률이 낮아질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상권의 특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법안의 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소상공인과 대기업 모두'상생'을 이룰 수 있는정책이 절실한 때입니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日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 “안전성 불확실” 최근 일본이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물탱크에 보관하고 있던 방사능 오염수 125만톤을 30년에 걸쳐 방류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방사성 물질 농도를 법정 기준치 이하로 낮추고 천천히 방류할 것이니 상관없다고 합니다. 오염수에는 유전자 변형, 생식기능 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삼중수소(트리튬)가 들어 있습니다. 삼중수소가 바다에 뿌려지면 한국 중국 등 인근 국가 수산물에 흡수돼 이를 섭취한 인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 스트론튬90은 극소량으로도 골육종이나 백혈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일본은 안하무인입니다. 한 고위관료는 “중국과 한국 따위에는 (비판을) 듣고 싶지 않다”고 발언했습니다. 미국은 “국제 안전 기준에 따른 것”이라며 일본에지지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작 후쿠시마 사고 이후 현재까지 사고 부근 농수산물 수입을 금지하고 있으면서 말입니다. 그런데 우리 정부는 지난해 10월 “일본의 ALPS장비 성능에 문제가 없고 오염수 방류가 큰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보고서를 냈다고 합니다. 안심할 수 있는 안전대책, 기대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