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은 26일 “박근혜 정부가 김대중 대통령의 햇볕정책을 그만 적대시 했으면 한다”며 “박근혜 대통령이 북한 인권정책과 햇볕정책을 접목시킬 수 있다”고 폭탄발언을 내놨다. 하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상생과 통일포럼>과 <폴리뉴스>가 주…
<상생과 통일포럼>과 <폴리뉴스>가 주최한 ‘격동의 한반도, 통일로 가는 길’ 세미나가 26일 오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리고 있다. 시민평화포럼 이승환 공동대표 사회로 진행된 이날 세미나에는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 새정치민주연합 홍익표 의원과 조민 통일연구원 연구본부장, 김…
홍익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한반도 통일을 위한 남북 경제협력의 발전방향에 대해 “과거의 제약요소를 넘어서기 위해 남북경협을 북방경제협력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홍익표 의원은 26일 오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상생과 통일포럼>과 <폴리뉴스…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은 “김정일과 다른 김정은의 북한을 변화시키는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북한 인권에 대한 국제적인 감시와 압박을 더욱 효율적으로, 체계적이고, 강력하게 지속해 나가야 한다”면서 우리나라도 북한인권법 제정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하태경 의원은 26일 오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김근식 경남대 정치학 교수는 “김정은 체제의 북한은 과거의 북한이 아님을 직시해야 한다. 남한으로부터의 경제적 지원과 협력에 목매거나 아쉬워하지 않고 있다”며 기존의 경제협력 중심의 대북접근전략이 효과가 없음을 지적했다. 김근식 교수는 26일 오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상생과 통일…
조민 통일연구원 연구본부장은 미국과 중국이 경쟁하는 현 동북아정세를 두고 “지금이 통일의 골든타임(適期)로 놓쳐서는 안 된다. 한반도 통일은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인 선택의 문제가 아닌,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역사적 필연”이라고 강조했다. 조 본부장은 26일 오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
유호열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핵문제 해결방안으로 “6자회담 재개시 북한의 요구사항인 체제안전보장을 비롯 각종 대북제재 완화와 한반도 평화체제구축 등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논의에도 착수함으로써 새로운 북핵문제 관리구도를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유 교수는 26일 오후 국회도서관…
문정인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26일 <상생과 통일포럼>과 <폴리뉴스>가 주최한 ‘격동의 한반도, 통일로 가는 길’ 세미나 기조발제를 통해 “미국과 중국 관계를 협력적 국면으로 유도하면서 동북아에 평화와 안정을 도모하는데 핵심 변수는 남북관계”라고 말했다. 문 교수는 이날…
‘상생과통일 포럼’이 26일 ‘격동의 한반도, 통일로 가는 길’이라는 주제로 통일 세미나를 개최했다. 상생과통일 포럼은 우리 사회의 이념과 지역, 계층 간의 갈등을 넘어 상생의 기운을 드높이고, 통일을 앞당기기 위해 사회 각계에서 나라의 앞날을 고민하며 살아왔던 40~50대가 모여 함께 학습하고 소…
상생과통일 포럼(공동대표 정세균 의원, 정우택 의원, 최창섭 교수 운영위원장 김능구 폴리뉴스 대표)는 다음 주 수요일인 11월 26일 오후 2시부터 국회 도서관 대강당에서 통일세미나 개최를 개최한다. 1부 한반도 주변정세는 연세대 문정인 교수가 주제 발표를 맡았고 2부 남북관계 전망과 통일로 가는 길은…
최근 유통업계에 ‘최저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업계는 최근 급변하는 유통시장에서 생존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시장 주도권을 놓고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인데요 폴리뉴스에서 알아봤습니다.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최근유통업계에 ‘최저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업계는 최근 급변하는 유통시장에서 생존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시장 주도권을 놓고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쿠팡이 유료 회원이 아니어도 무료 로켓배송을 하겠다며 먼저 경쟁 신호탄을 쏘았습니다. 배송비 면제로 사실상 최저가 혜택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이에 이마트는 쿠팡과 롯데마트몰, 홈플러스몰보다 구매 상품이 비싸면 그 차액을 자사 포인트로 적립해준다며 응수했습니다. 롯데마트도 맞불을 놨습니다. 이마트가 최저가를 선언한 생필품 500개 품목을 동일한 가격으로 판매합니다. 포인트도 5배 더 줍니다. 마켓컬리도 과일, 채소 등 60여종의 신선식품을1년 내내 최저가에 판매한다며 전쟁에 참가했습니다. 이에 질새라 편의점까지 가세했습니다. CU와 GS25는 6종의 친환경 채소를 대형 마트보다 싸게 판매합니다. 업계는 이를 통해 마케팅은 물론오프라인 매장으로 고객유도효과도노리고 있습니다. 이마트의 보상받은 차액 ‘e머니’는 오프라인에서 쓸 수 있고, 롯데마트는 오프라인 매장에서만 포인트 적립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제 살 깎아먹기식 출혈경쟁은 결국납품업체로 부담이 전가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