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9년 1월 29일 당시 진보신당 노회찬 대표를 서울 여의도 진보신당 당사에서 폴리뉴스 창간 9주년 특별기획 <한국정당실록 60년> 인터뷰 발행인인 김능구 대표가 직접 진행했다. <폴리뉴스> 창간 9주년 특별기획 <한국정당실록 60년>의 네 번째 인터뷰 인물은 진보신당…
인터뷰 중에 생각에 잠긴 김근태 전 의장폴리뉴스 창간 9주년 특별기획 한국정당실록 60년의 일곱 번 째 인터뷰 인물인 김근태 전 열린우리당 의장의 인터부 2부 순서이다. 지난 1부에서는 김 전 의장의 민주화운동 참여 계기와 재야활동, 정계입문, 수평적 정권교체 등의 내용을 담았다. 이번 2부에서는 열린…
1. 1. 먼저 의장님께서는 경기고-서울대를 나오셨는데 당시 학번이 어떻게 되십니까? 65학번입니다. 2. 65학번 당시에 민주화학생운동부터 시작해서 쭉 하셨는데 참여하게 된 계기를 당시 시대적 배경과 함께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65년도 대학교 입학했는데 그 전인 64년도부…
폴리뉴스 창간 9주년 특별기획 한국정당실록 60년을 시작하며...시대가 변하고, 국민들의 정치의식이 크게 고양되고 있음에도, 또 정권이 아무리 바뀌어도 한국의 정당은 과거의 틀과 과거의 패러다임에서 크게 변하지 않은 듯 합니다. 대의정치체로서 정당의 본질적 임무인 민의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는 것…
1. 김능구(폴리피플 대표, 이하 ‘김’) : 정치를 입문하게 된 계기가 맨 처음에 김대중 후보의 선거과정을 돕는 과정에서 함께하게 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한화갑 대표(이하 ‘한’) : 1967년 6월 국회의원 총선거 때입니다. 그때 제가 목포에서 김대중 후보의 국회의원 선거운동을 한 겁니다. 그걸 계…
지난 7월 30일 폴리뉴스 창간 9주년 기획으로 마련한 특별프로젝트 한국 정당 60년사에 한화갑 전 민주당대표를 초대하여 인터뷰를 가졌다.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 이후 소위 POST DJ시대를 이끌어 갈 정치인에 대해서 대중의 눈이 쏠리고 있다. 한 전 대표는 스스로 밝혔듯이 자신의 정치적 자산이 곧 DJ…
폴리뉴스 창간 9주년 특별기획 한국정당실록 60년을 시작하며...시대가 변하고, 국민들의 정치의식이 크게 고양되고 있음에도, 또 정권이 아무리 바뀌어도 한국의 정당은 과거의 틀과 과거의 패러다임에서 크게 변하지 않은 듯 합니다. 대의정치체로서 정당의 본질적 임무인 민의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는 것…
폴리뉴스 창간 9주년 특별기획 한국정당실록 60년의 다섯번째 인터뷰 인물 이신범 전 의원 대표 인터뷰 전문③으로 본지 발행인인 김능구 대표가 직접 인터뷰 했습니다.19. 의회민주주의의 길을 걸어왔는데 연말연시 국회 입법전쟁에 대해 한 분이 입법기관으로서 국회의원의 출입을 막는 것은 여야 어느당이…
폴리뉴스 창간 9주년 특별기획 한국정당실록 60년을 시작하며...시대가 변하고, 국민들의 정치의식이 크게 고양되고 있음에도, 또 정권이 아무리 바뀌어도 한국의 정당은 과거의 틀과 과거의 패러다임에서 크게 변하지 않은 듯 합니다. 대의정치체로서 정당의 본질적 임무인 민의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는 것…
1. 10. 3당합당때 민자당에 안들어갔는데 그때 상황을 설명해달라그렇죠. 그게 90년 1월이죠. 1월 한 19일인가 20일경으로 기억을 하는데 그 며칠전에 상도동에 제가 정책실에 17명의 전문위원을 공채를 해서 데리고서 청문회도 뒷바라지 하고 입법을 많이 했습니다. 그래서 통일민주당이 상당히 그점에서…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 네이버 라인-소프트뱅크 야후재팬 경영 통합 美‧中 패권 맞서 디지털 영토 확장하나? “네이버가 제국주의에 끝까지 버티고 저항한 회사로 남았으면 좋겠다. 저항해서 쓰러졌다는 새드엔딩이 아닌, 끝까지 살아남은 회사로 남고 싶다.” - 2019년 네이버 창립20주년 심포지엄, 이해진 창업자 - “16세에 뜻을 세워 혈혈단신 미국으로 뛰어들었다. 지금 심경을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논에서 우는 개구리가 멀리 도약한다고 할까.” - 지난 28일 트위터@masason, 손정의 소프트뱅크 창업자 - 글로벌 IT 패권은 미국과 중국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GAFA: 구글·아마존·페이스북·애플 / BAT: 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 이에 대항하고자 한국 네이버와 일본 소프트뱅크가 손을 잡아 이용자 1억5000명에 달하는 디지털 경제권을 형성했습니다. 지난 3월1일 한일 IT 대표기업인 네이버와 소프트뱅크, 각각의 자회사인 라인과 야후재팬(Z홀딩스)이 ‘A홀딩스’로 정식 통합했습니다.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와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의 포부처럼 글로벌시장에 우리 영역을 확장해나가는 중요한 발판을 마련한 것입니다. 이해진 GIO는 2000년, 2009년
[폴리뉴스 강민혜 기자] 국내 1호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 케이뱅크의 예·적금 잔액이 2월 한 달간 2조3400억 원 늘었습니다. 전체 수신 잔액(6조8400억 원)의 3분의 1이 한 달 새 불어난 건데요. 1월 말 247만 명 → 2월 말 311만 명. 같은 기간 고객 수도 무려 64만 명이 증가했습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케이뱅크는 1년 넘게 대출 영업을 중단할 만큼 자금 사정이 어려웠습니다. 대주주였던 KT가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으면서 유상증자가 늦어지는 등 악재도 겪었는데요. 그런데 불과 한 달 만에 수신 잔액과 고객 수가 급증하며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2월 중 ‘비트코인’ 1개 값 6500만 원 돌파.배경엔 연일 최고가를 경신중인 ‘암호화폐 투자 열풍’이 있습니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6월 암호화폐 거래소인 ‘업비트’와 제휴를 맺었습니다. 업비트에서 암호화폐 거래를 하려면 케이뱅크 계좌가 필요한데, 이로 인한 고객 유입 효과를 톡톡히 본 것 같습니다. 국내 양대 앱 마켓인 구글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업비트’와 ‘케이뱅크’는 나란히 인기 앱 순위 1, 2위를 차지하기도 했는데요. 케이뱅크가 이 기세를 몰아 경쟁사인 카카오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