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대선 ‘연대 필요’ 공감, 중간층 견인 위한 보완책 마련해야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은 ‘야권연대 승부수’를 띄우며 의회권력 장악에 도전했으나 결과적으로 실패했다. 이에 따라 12월 대선국면에서 ‘야권연대’의 실질적 효용성을 둘러싼 야권 내부의 갈등은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이번 총선 ‘야권연대’가 진보진영과 기존 민주당 지지세력 등 전체 야권지지층을 결속하는 데 성공했지만 중간층 견인에는 일정 한계를 보인데 대해 민주당 내부에서 이에 대한 평가가 서로 상반되게 이뤄지고 있다.

민주당내 비주류를 중심으로 이번 총선 패배의 한 원인이 ‘야권연대’에 있다며 이에 적극적이던 한명숙 지도부 등 당내 친노무현 세력과 진보진영 우호세력에 대한 공격이 벌어지고 있다. 민주당이 진보세력에 끌려 다니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중간층의 민주당 지지 이탈현상을 빚어지면서 선거에서 패배했다고 보는 것이다.

야권연대를 통한 선거 여야 일 대 일 구도 형성은 지난 2010년 6.2지방선거에서의 야권 승리와 지난해 4.27재보선 경기 분당선거 승리, 또 지난 10월 서울시장선거 승리로 지금까지 ‘만병통치약’으로 통했지만 이번 선거를 계기로 다시 검토해야 한다는 말들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 관계자는 “통합진보당과의 야권연대로 민주당이 중심이 없는 정당으로 전락했다”며 “선거과정에서 새누리당이 이념적 공세를 펼칠 명분만 제공했다. 한미FTA와 제주 강정기지와 관련해 민주당은 통합진보당에 끌려 다닌다는 인상만 가중시켰다”고 평가했다. 그 결과 새누리당의 ‘이념공세’가 영남과 충청과 강원권에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게다가 양당간 후보단일화 경선지역 협상 등을 보면 전형적인 지분나누기였다. 국민들에게 어떠한 감동도 주지 못했다. 오히려 경선의 부작용으로 이정희 논란만 낳았다”며 “이것이 수도권에 영향을 미쳐 새누리당의 수도권 선전을 야기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지적은 야권연대로 오히려 손해봤다는 민주당내 일각의 인식을 드러낸 것이다. 이는 수도권 내에서 민주당 간판으로 충분한 승산이 있는 지역을 통합진보당에 넘겨주면서 당선이 가능한 지역에서도 새누리당에 패배하는 결과를 빚었다는 것이다.

이는 통합진보당이 수도권 4곳(서울 관악을, 서울 노원병, 경기 고양 덕양갑, 경기 성남 중원)은 민주당 후보가 출마해도 당선되는 지역이고 통합진보당 후보로 단일화됐으나 낙선한 서울 은평을, 경기 안산 단원갑, 경기 파주을, 인천 남구갑 등지도 민주당 후보가 나섰다면 이길 수 있는 곳이라는 인식을 바탕에 깔은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각의 지적에 대한 반론 또한 강하다. 야권연대를 통해 일 대 일 구도를 만들면서 18대 총선 획득 의석수 대비 50여석을 더 얻었고 총 득표수에서도 야권연대가 얻은 표가 새누리당 득표수가 많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총 유효투표수 2154만5326표 중 새누리당은 43.3%인 932만표를 얻었지만 민주당 815만표(37.9%), 통합진보당 129만표(6%)의 야권연대의 득표수는 총 944만1표로 새누리당에 앞섰다.

또 비례대표 투표에서도 새누리당(42.8%)보다 야권연대(46.8%.민주통합당 36.5%+통합진보당 10.3%)의 지지율이 더 높았다. 영남이 민간인 불법사찰 이슈로 뭉치고 ‘박근혜 효과’가 작용하면서 야권이 원내 과반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지 ‘야권연대’ 때문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또 다른 민주당 관계자는 “원내 과반을 못해 실망감이 크지만 총 득표수를 보면 야권연대의 효과를 분명히 확인할 수 있다”며 “지금 10%대의 지지율을 가진 진보진영과 연대하지 않을 경우 연말 대선 승리는 더 멀어질 수 있다”는 의견을 개진했다.

특히 그는 “이번 선거는 박근혜를 전면에 내세운 선거였고 영남 등 여권지지층이 이번 총선에서 지만 박근혜도 무너진다는 위기감을 야기한 선거였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박근혜 위원장의 강력한 힘을 다시금 확인했다. 야권은 이에 맞서기 위해서라도 야권연대는 필수적이다”고 말했다.

야권연대의 또 다른 한 축인 통합진보당의 입장은 야권연대에 긍정적이며 지속돼야 한다는 입장이 강하다. 노회찬 대변인은 13일 라디오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야권연대로)서로가 피해본 건 아니고 오히려 야권연대를 했기 때문에 서로 함께 경쟁했을 때 보다는 윈윈하는 그런 측면은 분명히 있었다”고 평가하고 연말 대선까지 이어가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12월 대선선 야권연대해야 승리 가능...이념구도 형성에 대비하는 보완책 필요

민주당이나 통합진보당은 이번 총선에서 야권연대의 효과가 자신들의 기대에 못미쳤지만 연말 대선까지 야권연대를 유지해야 그나마 승산이 있다는데 공통된 인식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당 연대에 있어 해결해야 할 과제를 이번 총선에서 드러냈기 이에 대한 시정이 필요하다는 요구도 제기되고 있다.

이는 양당 야권연대로 중간층에 대한 견인력이 약화된 부분을 복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특히 민주당 쪽에서 이러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야권연대가 대선구도를 이념구도로 만들 수 있다는 강한 우려 때문이다.

이정희 대표의 사퇴 논란에서 경선 부작용 차원이 아니라 ‘경기동부연합’과 ‘종북’이란 이념적 문제만 부각했고, ‘한미FTA 폐기’ 논란과 ‘해군기지 필요성 논란’ 또한 새누리당의 이념구도의 소재가 됐다. 민주당으로선 연말 대선을 앞두고 이러한 부분에 대한 정리가 시급하다는 인식이다.

이와 관련해 이화여대 조기숙 교수는 “이번 총선을 앞두고 민주당은 자신의 정체성을 상실할 정도로 너무 많이 좌클릭했다. 진보엘리트와 네티즌의 영향 때문”이라고 진단내리면서 “야권연대가 너무 좌로 끌려가서 시너지를 내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보수층의 위협감을 자극하는 데에는 성공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러한 지적은 연말 대선에서 통합진보당이 ‘정권교체’란 대의 속에서 ‘야권연대’에 임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는 달리 진보적 정책 실현을 위한 연대의 범위를 ‘복지’와 ‘경제민주화’, ‘남북한 평화’ 등 합의가 가능한 부분을 중심으로 진행하고 새누리당과 보수층의 이념공세가 예상되는 ‘안보’와 ‘외교’부분에 대해서는 민주당에 주도권을 줘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 경우 통합진보당은 당 내부 반발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연말 대선을 앞두고 양당은 ‘정책연대 실현’을 두고 줄다리기에 들어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