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진보, 야권연대로 맞섰지만 ‘박근혜’ 내세운 새누리에 패배

4.11총선 민심의 뚜껑이 열렸다. 영남권의 새누리당 결집이 승패를 가르면서 152석을 얻어 원내 과반을 넘기면서 예상 밖의 대승리를 거뒀다.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 야권연대에도 불구하고 야권은 영남 전체 67석 중 3석만 건졌을 뿐이다. 새누리당과 박근혜 선거대책위원장에 대한 영남지역 정서의 결합력을 새삼 확인했다. 또 새누리당은 영남권의 견고한 결집력을 바탕으로 강원권 9석도 석권했으며 충청권에서도 12석을 획득해 제 1당을 차지했다.

새누리당은 수도권 전체로 보면 서울에서 대패했지만 서울 강남권을 비롯한 전통강세지역에서 16석을 지켰다. 경기지역에서도 전체의석 52석 중 22석을 확보했다. 예상보다 크게 선전한 것이다. 인천지역에서도 12석 중 절반 의석을 획득했다.

새누리당은 수도권 112석 중 44석이나 얻으면서 튼튼한 방어선을 치는데 성공함으로써 영남권 결집, 충청-강원권 장악 등에 힘입어 지역구 127석, 비례대표 25석을 얻어 과반의석인 152석을 획득했다. 이에 새누리당은 19대 의회에서도 보수정당인 자유선진당 5석과 친여무소속 1명까지 포함시킬 경우 의회권력 운영을 주도할 수 있게 됐다.

반면 민주당은 예상과는 달리 지역구 106석, 비례대표 21석으로 총 127석을 얻었고 통합진보당은 지역구 7석, 비례대표 6석으로 총 13석을 얻는데 그쳤다. 양당간 야권연대에도 불구하고 과반의석 획득에 실패함으로써 총선에서 패배했다.

양당 총 의석수는 142석로 의회권력을 장악하는 데 실패했으며 다만 새누리당 주도의 의회권력을 견제할 수 있는 힘을 얻었을 뿐이다. 이는 불과 두 석달 전 야권의 승리가 예상되던 것과는 완전 정반대의 결과이다.

이러한 선거결과는 새누리당이 차기 유력 대선주자 ‘박근혜’를 전면에 내세운 것이 여권지지층의 마음을 움직인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야권은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 중심체제를 만들어내지 못한 채 총선에 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국민들의 지지를 결집하는 데 실패한 것으로 평가된다.

총선 패배가 예상된 새누리당이 과반에 근접한 원내 제1당을 차지한 이러한 선거결과는 박근혜 위원장의 지난해 12월 이후 당 쇄신과 변화노력이 국민들에게 인정받은 것으로 해석되면서 박 위원장의 지도력이 빛을 발하면서 올 12월 있을 대선가도의 첫 관문을 무난히 통과하는 쾌거를 이뤘다.

반면 민주통합당은 원내 제1당 목표 달성에 실패하면서 당은 내홍에 휩싸일 전망이다. 기대했던 부산경남 공략은 실패했다. 2010 6.2지방선거를 계기로 세력범위를 충청권과 강원권까지 확대했지만 이번 총선에서 이 지역에서 새누리당에게 여지없이 밀렸다.

특히 민주당은 수도권에서 75석 이상을 확보하는 압승을 기대했지만 경기와 인천지역 곳곳에서 예상보다 새누리당 후보에 밀리면서 대승구도가 깨지면서 원내 제1당의 꿈을 접어야 했다.

지난 1.15 전당대회에서 모바일 경선을 통해 국민적 기대를 모으며 한명숙 지도부가 들어섰지만 이후 당 쇄신과정에 실패했다는 국민적 평가를 받는 상황에 몰렸다. 이에 따라 당내에서 본격적인 책임공방이 벌어지면서 한명숙 지도부는 한 차례 내홍에 빠져들 가능성이 높아졌다.

‘박근혜’를 내세운 새누리당에 패배한 민주당은 총선 패배에 따라 대선주자 중심으로 빠르게 당의 전열을 정비해 나가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이 과정에서 ‘한명숙 지도부’의 유임 여부를 두고 당내 세력들간의 갈등이 불거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의 변화 바람, 영남 지역결집구도에 가로막혀

이번 총선구도를 지역별로 보면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과 호남제주권 vs 영남권을 중심으로 한 충청강원권이 대립하는 모양새를 연출했다. 이러한 대립구도는 ‘MB 정권심판론 vs ‘정권안정과 박근혜 미래대망론’간의 대결전 양상으로 드러났다.

결국 ‘MB정권 심판 민심’ vs ‘박근혜 중심의 보수 민심’ 이 두 개의 강력한 힘이 서로 대치전선을 형성했으나 총선 민심은 차기 대선주자 박근혜를 내세운 새누리당에게 힘이 실리는 결과를 나타냈다.

지역구도에 기반한 ‘87체제’ vs 세대구도에 기반한 ‘정치변화 욕구’간의 대결에서 기존 정치질서가 사실상 승리한 것이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새로운 변화를 지향하는 ‘세대구도’의 힘은 영남 중심의 비수도권의 지역구도와 이와 결합한 보수적 정치지형을 지키려는 힘을 넘어서지 못했다.

이는 무엇보다 충청권과 강원권 민심이 ‘변화’보다는 ‘안정’, 그리고 ‘박근혜 대망론’에 힘을 실어주면서 이러한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충청권이 박근혜 새누리당 선거대책위원장 쪽으로 쏠리면서 충청권 정당을 자부해온 자유선진당의 몰락을 가져오는 결과까지 감수했다. 차기 대선주자 박근혜의 위력을 여실히 드러내는 대목이다.

수도권에서는 민주당과 통합진보당 등 야권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서울에서는 강남3구 등 새누리당 전통강세지역을 제외하곤 대부분의 지역구에서 패배했다. 경기지역에서는 새누리당은 자신의 전통적인 강세지역 대부분을 지켜내면서 예상보다 선전했지만 전체적으로는 야권에게 크게 패배했다. 수도권은 ‘정권심판 민심’이 지배했음을 드러냈다.

새누리당은 수도권 대패가 예상됐지만 경기지역에서 만회했고 특히 인천지역에서도 전체 12석 의석 중 절반을 건졌다. 그러나 새누리당은 수도권에서 야권에게 사실상 대패함으로써 향후 대선에서 박근혜와 새누리당의 수도권 공략에 한계를 드러냈기 때문이다.

민주당과 통합진보당의 야권연대도 영남의 거대한 결집력 앞에 무기력했다. 노무현 대통령의 고향은 김해지역 두 곳의 선거구에서도 새누리당에 패배했고 영남의 진보벨트 역시 역부족이었다. ‘박근혜’와 ‘새누리당’에 대한 영남의 정서적 친밀감을 낙동강벨트 일정 깰 수 있을 것이라는 야권의 기대감이 실망으로 변했다.

호남지역 또한 민주당의 석권구도는 이어졌다. 다만 의미 있는 진전이라면 호남 전역에서 민주당에 통합진보당 후보들이 도전해 야야간의 경쟁구도가 형성된 점이다. 그 결과 전체 30석 중 통합진보당이 호남에서만 3석을 가져가는 큰 성과를 이뤘다.

이러한 4.11총선 결과는 지난 10.26서울시장 재선거에서 드러난 새정치에 대한 변화열망은 지역구도의 완고한 벽을 뚫기엔 역부족함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영남권에서 새누리당에 도전한 민주, 통합진보당 후보들이 경남과 부산지역에서 40%대에 가까운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전한 것이 향후 변화 가능성을 보인 것에 만족해야 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