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이후 정계개편 불가피…수도권-PK 분수령…투표율 최대변수

운명의 시간이 다가왔다. 19대 국회의원을 뽑는 4.11 총선이 11일 오전 6시를 기해 전국 1만3470개 투표소에서 일제히 시작한 가운데 여야 모두 총선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선거결과에 따라서 정국이 격랑 속으로 빠져드는 ‘블랙홀’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서다.

‘여소야대냐, 여대야소냐’에 따라서, 또한 여소야대의 경우에도 새누리당이 얼마나 선전하느냐에 따라서 각각 정계개편 시나리오는 판이하게 전개될 수 밖에 없다.

총선결과에 따라 박근혜 새누리당 중앙선대위원장과 민주통합당 문재인 손학규 정동영 상임고문, 통합진보당 유시민 심상정 공동대표 등 대권잠룡들의 이해관계가 극명하게 엇갈릴 가능성이 높은 만큼 세력재편이 불가한 상황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얘기다. 여권은 재창당으로, 야권은 야권중통합에 이어 또다시 헤쳐모이는 이합집산(離合集散)이 불가피한 이유도 같은 맥락이다.

제1당, ‘새누리 vs. 민주’…여소야대 불가피, 최종 패자는?

최대 관전 포인트는 제1당의 주인공이다.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모두 과반 의석수(150석)가 어려운 만큼 여소야대 정국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다만 새누리당이 어느 정도 선전하느냐에 따라서 정국 주도권의 방향이 달라질 수밖에 없어 제1당 선점을 놓고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우선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은 135+알파를 놓고 치열한 제1당 경쟁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각 당 자체분석과 여론조사 기관 등의 분석을 종합해보면, 새누리당은 전국 90곳, 민주통합당은 82곳에서 각각 우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여야 경합지역이 전국적으로 60∼70곳에 달해 막판 부동층의 향배에 따라 제1당의 운명이 갈릴 전망이다. 통합진보당은 비례대표 포함 전국 15석 정도를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핵심은 이 지점이다. 민주통합당이 135석 안팎에서 제1당이 되더라도 새누리당이 130석 안팎으로 그 뒤를 바짝 쫓을 경우 새누리당은 ‘절반의 승리’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불과 몇 달 전까지만 해도 120석도 어렵다는 관측이 높았던 새누리당으로선 ‘박근혜 비대위 체제’ 이후 보수진영의 몰락을 최소화했다는 이유에서다.

문제는 과반의석 확보에 실패한 민주통합당이다. 15석 안팎을 얻은 통합진보당이 거대 양당 사이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경우 민주통합당은 19대 국회 초반 통합진보당에 끌려가는 모양새로 비춰질 수밖에 없다. ‘한명숙호(號)’의 정국 장악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관측도 이런 까닭이다.

정국 장악력이 떨어진 제1야당과 한명숙 대표의 허약한 리더십이 맞물려 일어날 경우 민주통합당은 조기 전대체제 등 출구전략을 모색할 가능성이 나온다. 범 민주개혁진보진영이 조기 대권경쟁 체제로 흐를 수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새누리당이 120석 정도에 그칠 경우 ‘박근혜 체제’는 직격탄을 맞게 될 전망이다. 당 내부에서는 ‘박근혜 대안론’에 불을 지치고 당 외부에선 자유선진당과 국민생각 등 범 보수진영이 새누리당을 궁지에 몰며 박 위원장과 친박계를 압박할 가능성이 높다. 총선 패배 이후 박 위원장과 친박계가 개헌론에 불을 지필 가능성이 대두되는 이유도 이와 무관치 않다. 반대로 새누리당이 130석 안팎의 의석수를 차지할 경우 ‘박근혜 체제’는 더욱 고착될 전망이다.

4.11 총선 승부는 수도권과 PK…핵심 변수는 ‘투표율’

이 때문에 수도권과 PK(부산경남) 승부가 중요하다. 수도권과 PK의 부동층 향배에 따라 제1당의 운명이 갈리기 때문이다. 수도권 112곳 중 60∼70곳이 대혼전 양상이고 PK의 야풍(野風)이 거센 만큼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모두 수도권과 PK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수도권(112곳)에선 새누리당이 24석(서울 10곳-경기 12곳-인천 2곳), 민주통합당은 46석(서울 21곳- 경기 20곳-인천 5곳)에서 각각 우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40여곳의 판세는 여전히 안개 속이다.

민주통합당이 사활을 걸고 있는 PK(67곳)의 경우 새누리당이 55곳에서 우세인 반면, 민주통합당은 2석(부산 사상구와 사하을)에서만 우세를 나타냈다.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부산 사상)이 주도한 PK 야도전략이 무위로 돌아갈 경우 문 이사장 대권가도의 상승세는 한풀 꺾일 전망이다.

특히 민주통합당 1.15 전대 이후 부활한 친노진영은 또다시 ‘심판론’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민주개혁진영 내부에서 친노 대안론이 급물살을 타며 야권의 권력 추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으로 급속히 쏠릴 것으로 보인다. 친노에 대한 심판이 ‘안철수 대망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결국 핵심은 ‘투표율’이다. 투표율이 4.11 총선 이후 정계개편과 대권잠룡들의 이해관계 등의 기상도를 결정짓는 핵심 변수라는 이유에서다. 이날 오후 2시 현재 투표율은 36.6%로, 18대 총선 같은 시간대 투표율(33.08%)을 상회하고 있다.

때문에 여야 정치권의 눈은 투표율 55% 달성에 쏠리고 있다. ‘55% 이상이면 야권에 유리, 55% 이하면 여권에 유리하다’는 분석 때문이다. 실제로 한나라당(현 새누리당)이 153석을 거머쥔 18대 총선 투표율은 46.1%였다. 반면, 탄핵정국 속에서 치러진 2004년 17대 총선 투표율은 60.6%였다. 당시 집권여당인 열린우리당은 152석을 차지했다.

박선숙 민주통합당 사무총장은 이와 관련해 “60% 투표율이 돼야 1당을 두고 (새누리당과)대등한 경쟁을 펼칠 수 있다”면서 그 이유로 “지금은 새누리당 지지층 결집이 워낙 일찍부터 이뤄졌다. 투표율 60%가 됐을 때 누가 제1당이 될지 모르는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지난 18대 총선 이후 연령층의 이동현상으로 50대 이상의 고령층의 비율이 높아진 만큼 투표율 상승이 여권에 불리하지 않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이에 따라 19대 총선은 ‘2030 vs. 50대 이상’의 세대간 투표에 의해 판가름 날 전망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