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행정연구원, 전국 성인남녀 8천명 대상 조사
정치 참여의식 높으나 시민의식 낮아
Z세대, M세대보다 사회적 우울감 커...경제력, 미래 불투명 때문

( ⓒ한국행정연구원)
▲ ( ⓒ한국행정연구원)

[폴리뉴스 한유성 기자] 20대 대선에서 각당은 MZ세대에 상당한 공을 들였다. 

역대 선거에서 부동층 성향이 강한 2030세대의 표심은 선거판세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고, 초박빙의 이번 대선에서는 쉽게 드러나지 않고 지지후보를 언제든지 바꿀 수 있는 이들 표심의 향배는 더욱더 영향을 미쳤다. 

특히 선거막판까지 표심읽기가 어려웠던 것은 현재 MZ세대는 정치성향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중도성향이 60%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MZ세대는 자신의 이념성향에 대해 58.9%가 '중도'라고 인식하고 있다.

전국 성인남녀 8천명을 대상으로 한 한국행정연구원의 '사회통합실태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 

14일 발표한 사회통합실태조사에 의하면,  MZ세대(1980년대 초∼2004년생 출생) 10명 중 5∼6명은 자신의 이념 성향을 '중도'라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MZ세대는 18세~39세로 2030세대의 다른 표현이다. M세대는 1980년~1990년 중반 출생, Z세대는 1990년 중반~2000년 초 출생을 통칭하며 2022년 대선 기준 1424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32.3%를 차지한다. 

(20대대선 연령별 선거인수 ; 18~19세 98만명(2.2%), 20대 659만명(14.9%), 30대 667만명(15.1%), 40대 815만명(18.5%), 50대 862만명(19.5%), 60대 722만명(16.4%), 70대이상 590만명(13.4%))

이념 성향은 중도적이라는 응답 비율(M세대 55.1%·Z세대 58.9%)이 기성세대(42.0%)보다 높았다. 2013년(M세대 49.0%·Z세대 53.8%)과 비교해도 자신을 중도라고 여기는 비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도층 상승율은 Z세대인 20대는 5.1%P M세대인 30대는 6.1%P 각각 증가했다. 

20대의 경우 ‘진보적’이라고 대답한 응답 비율이 약간 증가(2013년: 29.9%→2021년: 31.5%)하고, ‘보수적’이라는 응답 비율이 감소(2013년: 16.3%→2021년: 9.6%)하는 변화가 있었다. 30대는 '진보적'이라는 응답도 약간 감소했고 (2013년: 30.3%→2021년 26.9%) '보수적'이라는 응답도(2013년: 20.7%→18.1%) 감소했다.

( ⓒ한국행정연구원)
▲ ( ⓒ한국행정연구원)

MZ세대는 기성세대와 비교해 정치적 관심이 적고, 무당파와 중도적 성향 비율이 높았고 2013년의 결과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 

정치적 관심도를 1∼4점(전혀 관심이 없다∼매우 관심이 있다) 척도로 측정한 결과 MZ세대의 정치적 관심도(M세대 2.4점·Z세대 2.3점)는 기성세대(2.5점)보다 점수가 낮았다.

지지 정당이 없는 비율(M세대 67.1%·Z세대 78.6%)은 기성세대(54.5%)보다 더 높았다.

MZ, 정치 참여 의식은 높으나 시민의식은 낮아

( ⓒ한국행정연구원)
▲ ( ⓒ한국행정연구원)

정치적 관심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MZ세대는 시민적 의무와 관련하여 2013년에 비해 ‘사회·정치단체 활동’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MZ세대를 포함한 모든 연령대에서 높아졌다. (7점척도)

사회,정치단체 참여 인식과 관련, MZ세대 4.2점→4.6점, 기성세대 4.3점→4.7점(척도 1-7점)으로 전반적으로 참여의식이 높아졌다.

그러나 법을 지키는 것 등 시민의식 관련한 ‘투표참여’, ‘세금납부’, ‘법·규칙 준수’ 등의 경우, Z세대의 중요성 인식은 각각 5.4점, 5.5점, 5.6점으로 다른 세대(M세대: 각각 5.6점, 5.7점, 5.8점/기성세대: 각 5.7점 동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한편, MZ세대는 기성세대에 비해 전반적으로 우리 사회가 공정하지 못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 ⓒ한국행정연구원)
▲ ( ⓒ한국행정연구원)

사회 전반에 대한 공정성 인식을 1∼4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MZ세대의 평균 점수는 2.5점으로 기성세대(2.6점)보다 낮았다.

취업 기회와 성별에 따른 대우의 공정성 인식에서도 MZ세대의 평균 점수는 각각 2.5점, 2.6점으로 기성세대(각각 2.6점·2.7점)보다 낮았다. 그러나 2013년 결과(MZ세대: 각각 2.2점, 2.4점/기성세대: 각각 2.3점, 2.5점)와 비교해보면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타 집단에 대한 MZ세대의 포용성 수준은 기성세대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나와 정치적 의견이 다른 사람”에 대한 감정온도에서 MZ세대는 58.3℃, 기성세대는 57.8℃를 나타냈고, “성별이 다른 사람”에 대한 감정온도는 MZ세대 58.7℃, 기성세대 57.8℃를 보였다(0℃: 아주 차가운 느낌, 100℃: 아주 따뜻한 느낌).

Z세대, M세대 보다 사회적 우울감 강해...경제력과 미래의 불투명

( ⓒ한국행정연구원)
▲ ( ⓒ한국행정연구원)

20대에 속하는 Z세대는 걱정과 우울감을 1∼10점 척도로 측정했을 때 평균 점수가 각각 4.4점, 3.8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M세대(걱정 4.2점·우울 3.5점)와 기성세대(걱정 4.3점·우울 3.8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다.

특히 우울감의 경우 2013년의 같은 연령대와 비교해보면 평균 점수가 증가(2013년: 3.5점→2021년: 3.8점)하여 우울감 인식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Z세대는 다른 세대보다 현재와 미래의 경제력 평가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 ⓒ한국행정연구원)
▲ ( ⓒ한국행정연구원)

'노후에 대한 대비'와 '중병 발생 시 대처 가능 경제력'을 1∼4점 척도로 묻는 항목에 Z세대의 평균 점수는 각각 1.8점으로 나타났다. 

M세대(노후 2.2점·중병 2.1점)와 기성세대(노후 2.3점·중병 2.1점)보다 Z세대가 상대적으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컸다.

다만 MZ세대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은 기성세대와 2013년 20·30세대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MZ세대는 기성세대와 2013년의 같은 연령대에 비해 주관적 웰빙 수준이 높고, 사회적 고립감도 덜 느끼고 있어 주관적인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은 다른 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Z세대의 사회적 우울감의 원인은 '경제력'과 '미래의 불투명'에 있다. 

( ⓒ한국행정연구원)
▲ ( ⓒ한국행정연구원)

Z세대는 M세대나 기성세대보다 현재와 미래의 경제력 평가가 부정적이며, 실제로 식비와 집세와 같은 생활과 밀접한 부분에서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한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Z세대의 경제적 한계 상황 경험 비율은 집세 7.3%, 학비 5.2%, 공과금 3.5%, 병원비 3.2%, 식비 2.8%, 타의에 의한 실업 2.0% 순으로 나타났다. 이 비율은 2013년 데이터와 비교해보면 당시 20대의 경험(공과금 17.5%, 집세 9.8%, 타의에 의한 실업 6.6%)에 비해 경제적 한계 상황을 경험하는 비율보다는 감소했다. 

Z세대는 ‘노후에 대한 대비’와 ‘중병 발생 시 대처 가능 경제력’에 대해 각 1.8점(척도 1-4점)으로 다른 세대(M세대: 노후 2.2점, 중병 2.1점/기성세대: 노후 2.3점, 중병 2.1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불안해하고 걱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같은 Z세대의 불안감은 2013년 조사 결과와 비교해보면, 당시 20대(노후 1.7점, 중병 1.8점)의 불안감이 거의 그대로 머물러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Z세대는 현재 경제 수준 만족도와 5년 후 전망에 대해 각각 5.7점, 6.2점(척도 0-10점)으로 다른 세대(M세대: 현재 5.4점, 향후 6.0점/기성세대: 현재 5.5점, 향후 6.1점)에 비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오히려 미래에 대해서는 M세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2013년에 조사된 같은 연령대의 사람들과 비교해보면 전반적인 만족도가 상승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MZ세대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은 기성세대와 2013년 20·30세대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고 한국행정연구원은 덧붙였다.

( ⓒ한국행정연구원)
▲ ( ⓒ한국행정연구원)

본 조사는 한국행정연구원 국정데이터조사센터가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2021년) 9월~10월 전국 만19세 이상 성인남녀 약 8천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한 사회통합실태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41∼±1.58%포인트다.

「사회통합실태조사」는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약 8,000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웰빙 및 역능성(권리부여), 사회 참여, 정치 참여, 사회적 소통, 신뢰, 거버넌스, 공정성, 관용성(사회적 포용), 사회보장 등 우리 사회의 통합 수준에 관한 주관적 인식과 실태를 포괄적으로 조사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