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홍석희 기자] 코오롱인더스트리와 SK종합화학이 협업해 오는 3분기 ‘잘 썩는’ 플라스틱 제품인 ‘PBAT(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출시하겠다고 7일 밝혔다. 양사는 서울 종로구 소재 SK서린빌딩에서 PBAT 사업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PBAT는 산소, 열 등에 의해 빠르게 분해되는 친환경 플라스틱 제품이다. 통상 플라스틱 제품은 자연분해되는데 100년 가까이 소요되나,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매립 시 6개월 이내 자연 분해된다.
코오롱인더스트리와 SK종합화학은 플라스틱 제조 공정기술을 결합해 올해 3분기 내 고품질의 PBAT를 정식 출시하기로 했다. 양사는 올해 상반기까지 PBAT의 생분해성 인증 및 국내외 특허출원, 시제품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그동안 축적한 PBAT 생산 기술 및 설비 운영 노하우를 공유하기로 했다. SK종합화학은 국내 유일의 PBAT 주원료 생산·공급 업체다. 코오롱인더스트리가 SK종합화학으로부터 원료를 공급받아 PBAT를 만들고 이 과정에서 최적의 온도, 소재, 혼합 비율 등 SK종합화학의 노하우를 더해 고품질 PBAT를 만들기로 한 것이다.
최근 환경부가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한데 이어 세계 각국에서 플라스틱 사용 규제가 강화하고 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 시장은 계속 확대할 전망이다. 재활용이 어려운 농업용 비닐, 일회용 봉투, 어망 등의 플라스틱 제품을 PBAT로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대안으로 평가 받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장희구 대표이사는 “친환경 플라스틱 생태계 구축에 양사 간 시너지가 기대된다”라며, “코오롱인더스트리는 환경을 배려한 지속가능한 소재 개발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코오롱인더스트리와 SK종합화학은 지속적으로 PBAT 관련 데이터를 축적해나갈 계획이다. 또한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하는 리사이클링 제품 생산을 위하여 비지니스 협력 모델 또한 추진한다.
SK종합화학 나경수 사장은 “SK종합화학은 코오롱인더스트리와 공동 협력을 통해 생분해성 플라스틱 시장에서 차별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친환경 플라스틱 순환 체계를 빠르게 구축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스포티파이는 세계 1위 오디오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입니다. 2006년 23세 IT개발자 다니엘 에크가 스웨덴에서 만든 스타트업에서 시작됐는데요, 폴리뉴스에서 알아봤습니다.
[폴리뉴스 김유경 기자]스포티파이는 세계 1위 오디오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입니다. 22006년 23세 IT개발자 다니엘 에크가 스웨덴에서 만든 스타트업에서 시작됐습니다. 1999년 개인이 보유한 음악파일을 인터넷에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냅스터’가 나온 후 불법 다운로드가 기승을 부렸습니다. 2001년 애플은 아이튠즈를 통해 이용자가 CD에서 음원을 추출해 MP3플레이어 아이팟에 옮겨 담도록 했습니다. 이용자들은 다양한 음악을 골라 들을 수 있게 됐지만, 음반사들은 파산 위기에 처했습니다. 애플은 아이튠즈 스토어에서 1곡당 99센트에 구매하는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스포티파이는 이용자가 무료로 음원을 듣게 하되, 수익은 광고로 충당하며 그 수익을 아티스트와 음반사에 배분했습니다. 스포티파이의 미국 진출을 저지하려 스티브 잡스는 음반사 등 여러 경로로 압력을 가했다고 전해집니다. 결국 전세계 3억명 이용, 7000만 곡을 제공하는 최대 음원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지금도 매출의 70%를 저작권료로, 지난해까지 26조원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2월 스포티파이는 한국에 진출했지만 초반 성적은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입니다. 그 이유 중 하나로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