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강민혜 기자] 가계부채가 4분기에도 큰 폭으로 늘면서 2003년 이후 사상 최대치를 찍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생활자금 수요가 늘고,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과 빚투(대출로 투자)로 인한 신용대출 증가세도 영향을 미쳤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20년 4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4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726조 1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3년 이래 최대치다.
증가폭 기준으론 직전 분기(1681조 8000억 원)보다 44조 2000억 원(2.6%) 늘어 2016년 4분기(46조 1000억 원), 2020년 3분기(44조 6000억 원)에 이어 세 번째로 컸다.
가계신용은 가계부채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다. 가계가 은행이나 보험사, 저축은행, 대부업체 등 각종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과 카드사와 백화점 등의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을 합쳐 집계한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대금)을 제외한 가계대출 잔액은 4분기 말 현재 1630조 2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역시 사상 최대 수준이다. 4분기 증가액(44조 5000억 원)으로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잔액 910조 6000억 원)은 4분기에만 20조 2000억 원 불어났다. 증가폭이 지난 3분기(17조 4000억 원)보다 2조 6000억 원 커졌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잔액 719조 5000억 원)도 4분기에 24조 2000억 원이나 뛰었다. 증가폭은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3년 이래 가장 컸고, 직전 분기 22조 3000억 원보다 늘어났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지난해 11월 13일 가계 신용대출에 대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추가 규제 등의 발표가 있었지만, 어느 정도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가계대출 추이를 창구별로 보면 3분기 말과 비교해 예금은행에서 28조 9000억 원, 상호저축은행이나 신용협동조합 등 은행은 아니지만 예금을 취급하는 기관에서 6조 6000억 원, 보험회사 등 기타금융기관에서 8조 9000억 원의 대출이 늘었다.
4분기 판매신용 잔액은 95조 9000억 원으로, 신용카드사를 비롯한 여신전문회사에서 3분기보다 2000억 원이 줄었다.
한편 지난해 연간으로는 모두 125조 8000억 원의 가계신용이 증가했다. 2016년(139조 4000억 원) 이후 4년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정치경제부에서 국회 정무위원회, 금융당국, 은행, 카드 등을 맡고 있습니다.
매일매일 경제와 금융을 공부하고 취재합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강민혜 기자]“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은 금융위의 ‘빅브라더 법'(2월 17일 한국은행 입장자료)”.“지나친 과장에 화나. 그렇게 따지면 한은도 빅브라더(2월 19일 은성수 금융위원장)”. 국회 통과를 앞둔 전금법 개정안을 둘러싸고, 한은과 금융위가 충돌하고 있습니다. 전금법 개정안은 국회 정무위원장인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해 11월 27일 대표 발의했습니다. 전자지급거래청산업 제도화, 빅테크 외부청산 의무화, 오픈뱅킹 제도화 등과 관련된 법안입니다. 개정안에 따르면 네이버·카카오페이 등 빅테크 기업이 제공하는 금융거래도 지급결제청산기관인 금융결제원을 거쳐야 하며, 이를 금융위가 감독할 수 있습니다. 한은은 이 부분을 두고 ‘금융위의 빅브라더 수단’이라며 강하게 비판합니다. 빅테크 기업의 모든 거래정보를 금융위가 제한 없이 수집할 수 있게 되면 개인 정보를 침해하게 된다는 주장입니다. 반면 금융위는 만약의 금융사고에 대비한 피해자 보호 차원이라는 입장입니다. 사고가 날 경우 법원의 영장을 받는 등 제한적인 경우에만 거래정보 조회가 가능하지, 매일 CCTV보듯 들여다보는 게 아니라는 겁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우리가 하는 자금이체 정보도 금
현대자동차가 전용 전기차 브랜드 아이오닉의 첫 번째 모델인 ‘아이오닉 5(IONIQ 5)’ 공개를 앞두고 있는데요, 폴리뉴스에서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