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7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7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강민혜 기자] 정부가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 분야 등에 정책금융자금 500조 원 가량을 투입한다. 예기치 못한 리스크로 불거질 수 있는 비은행권의 외환 부문 취약성 관리를 위해 모니터링 지표 3종도 도입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를 주재하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정책금융 유동성 공급 및 관리방안’을 확정했다.

우선 정부는 올해 492조 8000억 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공급한다. 전년 계획보다 16조 원이 늘었다. 정책금융 공급 대상은 코로나19 피해 분야와 한국판 뉴딜, 산업경쟁력 강화 분야다.

구체적으로 보면, 코로나19로 피해가 큰 소상공인과 중소·중견기업에 302조 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실시한다. 뉴딜기업 육성 특별온렌딩 등 한국판 뉴딜 분야에는 17조 5000억 원 플러스 알파(α), BIG3(시스템반도체·바이오헬스·미래차) 등 산업경쟁력 강화 분야에는 101조 6000억 원을 공급하기로 했다.

홍 부총리는 “이번 코로나19 위기가 과거처럼 금융·외환위기로 전이되지 않았던 것은 완화적 통화정책과 충분한 유동성 공급, 대외부문의 건전성 강화 등 영향이 컸다”고 밝혔다.

이어 “다만 최근 실물·금융 괴리 우려와 비은행권의 외환 부문 취약성 등은 예기치 못한 리스크로 불거질 수 있다”며 “올해는 시중 유동성이 생산적인 곳에 투자되는 물길을 만들고, 리스크 관리 강화에도 역점을 둘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비은행권 금융회사 대상 외화 유동성 모니터링 지표 3종을 도입하리로 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외환 부문 건전성 정책의 사각지대였던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외화 유동성 모니터링의 실효성을 제고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금융회사들이 ‘자체 위험 관리기준’을 마련해 외환리스크 대응 역량 강화를 유도하고, 스트레스 테스트(잠재 취약성 평가) 대상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비은행권의 특성을 반영해 외화유동성 비율 규제를 개선하는 등 기존 외환 건전성 제도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유사시 외화유동성 공급체계도 현재 은행권 중심에서 증권사·보험사까지 포함될 수 있도록 다층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