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회복에 카드대금 5.4조↑…분기 증가 기준 역대 최고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20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을 보면 3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이 1682조1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사진=연합뉴스>
▲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20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을 보면 3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이 1682조1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강민혜 기자] 가계부채가 3분기에도 큰 폭으로 늘면서 2002년 4분기 이후 잔액 기준 사상 최대치를 찍었다. 주택매매와 전세거래량 증가로 늘어난 주택자금 수요가 가계 빛 증가를 이끌었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20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을 보면 3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이 1682조1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통계 작성(2002년 4분기) 이후 사상 최대치다. 증가폭 기준으론 직전 분기(1637조3000억 원) 대비 44조9000억 원(2.7%) 늘어나 2002년 4분기 이후 두 번째로 컸다.

가계신용은 가계부채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다. 가계가 은행이나 보험사, 저축은행, 대부업체 등 각종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과 카드사와 백화점 등의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을 합쳐 집계한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대금)을 제외한 가계대출 잔액은 1585조5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역시 사상 최대 기록이다. 또 3분기 증가액(39조5000억 원)은 2016년 4분기(41조2000억 원) 이후 역대 2위를 찍었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잔액 890조4000억 원)은 3분기에만 17조4000억 원 늘었다. 증가폭이 지난 2분기(14조8000억 원)보다 2조6000억 원 커졌고, 2016년 4분기(24조2000억 원) 이후 3년 9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잔액 672조7000억 원)도 3분기에 22조1000억 원이나 증가했다. 증가폭은 통계 작성 이후 사상 최대로, 직전 분기(9조4000억 원)의 두 배를 뛰어넘었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주택매매와 전세거래량이 2분기보다 증가해서 주택자금 수요가 있었고, 주식거래 자금수요가 있었다”며 “이에 더해 코로나19에 따른 생활자금 수요까지 늘어나 (가계 빛 증가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 <사진=한국은행 제공>


가계대출 추이를 창구별로 보면 3분기 말과 비교해 예금은행에서 26조 원, 상호저축은행이나 신용협동조합 등 은행은 아니지만 예금을 취급하는 기관에서 3조1000억 원, 보험회사 등 기타금융기관에서 10조4000억 원의 대출이 늘었다.

3분기 판매신용 잔액은 96조6000억 원으로, 신용카드사를 비롯한 여신전문회사에서 5조4000억 원 늘었다. 분기 증가액 기준 역대 최대치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온라인 구매가 늘고, 추석 연휴에 따른 결제금액 이연 등으로 판매신용 잔액이 급증했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한편 금융당국은 오는 30일부터 연 소득 8000만 원 이상 고소득자에 한해 1억 원 초과 신용대출에 대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 규제를 적용한다고 예고했다. 늘어나는 가계대출을 조이고, 특히 대출자금의 부동산 시장 유입을 막겠다는 취지다.

이에 앞서 은행권도 당국의 규제에 발맞춰 자발적 대출규제에 나섰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정부가 유예해준 대출만기 연장과 이자납입 유예 조치가 내년 3월 만료되므로, 이에 대비해 선제적 대출총량 관리에 나선 모양새다.

한 예로 국민은행은 지난 23일부터 1억 원이 넘는 신용대출과 연소득 200%를 초과하는 신용대출에 대한 심사 강도를 높였다. 국민은행은 물론 타행에서 받은 것까지 합산한 신용대출 총액이 1억 원을 넘긴 차주는 ‘DSR 40%’ 규제를 적용받는다. 당국은 연소득 8000만 원 이상 고소득자에게만 해당 규제를 적용하기로 했지만, 국민은행은 소득과 무관하게 적용할 방침이다. 또 연소득에서 200% 내에서만 신용대출을 내주기로 결정했다.

이와 관련해 은행권 한 관계자는 “당국에서 사실상 (신용대출 규제 등) 가이드라인을 내줬기 때문에 이에 맞춰서 규제를 강화하려는 것”이라며 “은행 건전성 지표가 다소 왜곡돼 있는 측면이 있어 대출 총량을 조절하려는 목적도 있다”고 전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