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국회 신규 등록 국회의원 중 재산 신고액이 가장 많은 사람은 914억 1445만원을 신고한 기업인 출신 전봉민 미래통합당 의원이었다.
28일 국회공직자윤리위원회는 21대 국회 신규 등록 국회의원 평균 재산 신고액이 23억 500만원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는 신고총액 500억원 이상인 전봉민 의원을 제외한 수치다.
신고액이 5억원 미만인 사람은 43명(24.6%), 5억원 이상 10억원 미만은 39명(22.3%) 10억 이상 20억원 미만 40명(22.85%), 20억 이상 50억원 미만 39명(22.3%) , 50억 이상 14명(8.0%)으로 집계됐다.
재산 보유 상위권…전봉민, 한무경, 백종헌, 이상직, 김은혜
914억 1445만원을 신고한 전봉민 의원은 신규 등록 의원 중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했다. 부산 수영구를 지역구로 둔 전 의원은 (주)이진종합건설 대표이사 출신으로 재산 대부분은 대표이사로 재직했던 이진주택, 동수토건 비상장주식 각각 1만주와 5만 8300주로 현재 가액은 858억 7300만원이다. 부동산은 58억원의 부산 수영구 아파트와 배우자 명의의 아파트 분양권 등 73억여원을 보유했다. 앞서 전 의원은 지난 4월 총선을 앞두고 선거관리위원회에 보유 재산을 48억원 가량이라고 신고 한 바 있다.
2위로 이름을 올린 한무경 통합당 의원은 452억 899만원을 신고했다. 효림산업을 창업한 여성 기업인 출신인 한 의원은 한국여성경제인협회 제8대 회장을 지냈다. 효림산업 8만 6400주 총 327억원을 신고했고, 서초 반포동 빌딩 77억원 용산 한남동 전세아파트 45억원을 신고했다.
3위도 기업가 출신 통합당 의원인 백종헌 의원이다. 백산금속 대표이사를 지낸 백 의원은 총 282억원을 신고했는데 대부분 토지와 건물이었다.
4위는 이스타 항공 창업주이자 중소기업진흥공단 이사장을 지낸 이상직 민주당 의원으로 212억 6731만원을 신고했다. 이 의원은 서울 서초동에 27억 9800만원대 아파트를 본인 명의로 소유하고 있다.
미래통합당 대변인인 김은혜 의원은 210억 3262만 2000원을 신고해 5위로 이름을 올렸다. 배우자 명의인 158억 6785만 5000원 상당의 대치동 업무용 건물과 10억 8880만원 상당의 논현동 연립주택이 포함된 내용이다.
한편,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는 21대 국회 신규 등록 국회의원 175명(재등록의무자 21명 포함)과 20대 국회 퇴직 국회의원 157명의 재산신고 내역을 공직자윤리법 제10조에 따라 국회공보에 게재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최근 유통업계에 ‘최저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업계는 최근 급변하는 유통시장에서 생존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시장 주도권을 놓고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인데요 폴리뉴스에서 알아봤습니다.
[폴리뉴스 김미현 기자] 최근유통업계에 ‘최저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업계는 최근 급변하는 유통시장에서 생존 위기감이 팽배한 가운데, 시장 주도권을 놓고 출혈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 쿠팡이 유료 회원이 아니어도 무료 로켓배송을 하겠다며 먼저 경쟁 신호탄을 쏘았습니다. 배송비 면제로 사실상 최저가 혜택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이에 이마트는 쿠팡과 롯데마트몰, 홈플러스몰보다 구매 상품이 비싸면 그 차액을 자사 포인트로 적립해준다며 응수했습니다. 롯데마트도 맞불을 놨습니다. 이마트가 최저가를 선언한 생필품 500개 품목을 동일한 가격으로 판매합니다. 포인트도 5배 더 줍니다. 마켓컬리도 과일, 채소 등 60여종의 신선식품을1년 내내 최저가에 판매한다며 전쟁에 참가했습니다. 이에 질새라 편의점까지 가세했습니다. CU와 GS25는 6종의 친환경 채소를 대형 마트보다 싸게 판매합니다. 업계는 이를 통해 마케팅은 물론오프라인 매장으로 고객유도효과도노리고 있습니다. 이마트의 보상받은 차액 ‘e머니’는 오프라인에서 쓸 수 있고, 롯데마트는 오프라인 매장에서만 포인트 적립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제 살 깎아먹기식 출혈경쟁은 결국납품업체로 부담이 전가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