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민, 권리당원‧與지지층 상대로 김부겸 눌러
'세대융합' 바라는 민심이 만든 ‘박주민 현상’
수도권 2030‧권리당원 이상으로의 확장이 과제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당 대표 후보가 2일 오후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합동연설회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당 대표 후보가 2일 오후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합동연설회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8‧29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직에 출사표를 던진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재선, 서울 은평갑)의 돌풍이 심상치 않다. 민주당 지지층과 권리당원 사이의 여론조사에서 2위 자리를 차지한 것이다. 최근 “176석을 국민이 준 여당인데 개혁하지 못한다면 대선에서 누가 또 표를 주겠는가”라는 발언이 주목을 끌면서 박 의원이 큰 상승세를 타고 있다는 평가다.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주)윈지코리아컨설팅이 지난 29~30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 1150명을 조사(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한 결과, 민주당 지지층만을 대상으로는 박주민 의원이 18%를 기록해 17.1%를 기록한 김부겸 의원을 눌렀다. 권리당원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이낙연 51.5%, 박주민 22.7%, 김부겸 19.9% 순으로 집계됐다. 전체 유권자 상대로는 김부겸 전 의원 21.8%, 박주민 의원 15.7% 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SBS가 여론조사기관 입소스에 의뢰해 지난 24~25일 유무선 전화면접조사를 통해 실시된 여론조사에 따르면, 민주당 지지층 사이에 “다음 달 선출될 차기 당 대표에 누가 적합한가” 물었더니 이낙연 54%, 김부겸 10.7%, 박주민 9.7%가 나왔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플러스마이너스 3.1%p였다.

또한 3일 여론조사전문기관인 리서치뷰 발표에 따르면, 조사결과 당대표 적합도는 이낙연 의원이 69%의 지지를 얻었지만, 박주민 의원은 14%를 얻어 11%에 그친 김부겸 후보를 앞섰다. 

이렇게 ‘이낙연 대세론’을 상대로 좀처럼 김부겸 의원이 역전의 모멘텀을 만들어내고 있지 못한 가운데, 당초 3위로 예상됐던 박 의원이 김 의원을 일부 조사에서 역전하는 등 돌풍을 일으키는 것은 시사점을 갖게 한다.

먼저 ‘새로운 정치 주류’에 대한 유권자들의 갈구가 꼽힌다. 586세대가 사실상 독식해온 진보진영의 정치 주류에 박 의원이 들어섰다는 것이다. 박 의원은 이를 두고 23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세대교체는 적절치 않으며, 세대 융합이 필요하다“며 ”지금은 각 세대가 시루떡 쌓듯이 층층이 섞여 있지 않다. 연배가 높다고 교체되는 건 절대 반대다. 섞여야 한다. 중간인 제가 단층 간 균열을 낼 수 있다“고 밝혔다. 김용민 민주당 의원 역시 3일 ‘폴리뉴스’와의 통화에서 ”박 의원이 제시한 세대융합이라는 개념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민주당의 지지층이 많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도 “제일 발빠르게 열심히 일할 수 있는 나이다”, “전두환은 49세에 대통령 됐다”, “세 후보 중에 나의 가슴을 뜨겁게 하는 건 박주민 후보가 최상위”, “진정성으로 보면. 박주민이 넘버원” 등의 반응이 나왔다. 대체로 신세대 거물 정치인으로서의 박주민의 부상을 반기는 분위기였다.

장성철 공감과논쟁 정책센터 소장은 박 의원의 선전에 대해 “새로운 ‘친노’의 적자를 바라는 민주당 지지층들의 열망에 더해, 김어준‧주진우 등 진보진영의 큰 스피커들이 박 의원을 전폭적으로 밀어주는데 있다”며 “박 의원에 비해 이낙연 의원, 김부겸 전 의원은 다소 권리당원 등 민주당의 골수 지지층 입장에서 못미더운게 사실”이라고 분석했다.

결국 박 의원의 과제는 ‘2030’, ‘권리당원’, ‘수도권’으로 분류되는 박 의원의 기존 지지층 이상으로 확장할 수 있을까이다. 박 의원 본인이 꼽는 끌어안아야 할 새 지지층은 대의원 등 소위 ‘조직표’이다. 김용민 의원 또한 3일 ‘폴리뉴스’와의 통화에서 “조직표 측면에서 좀 약한 것이 사실이기에 그 쪽으로 확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이에 대해 23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2년 전 최고위원 선거 때 1등 했지만, 대의원 투표는 3등이었다. 대의원 투표 3등도 현장 연설로 마음 돌린 분들이 상당수여서 가능했다”며 “이번에는 대규모 유세가 없다. 조직이 없으면 불리한 선거라서 걱정이 된다. 온라인 통해 얼마나 소통하느냐가 승부처일 것 같다. 아홉 번 토론회 있는데 그때 잘 해보려고 한다”고 돌파구가 있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