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여야 합동 ‘4차산업혁명 포럼’ 창립
서병수 미래통합당 의원·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포럼 공동대표
“인공지능·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의 산업 적용 위한 지원 정책 꾸준히 고민할 것”

8일 국회에서 열린 4차산업혁명 포럼 창립 심포지엄에 참석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폴리뉴스> 
▲ 8일 국회에서 열린 4차산업혁명 포럼 창립 심포지엄에 참석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폴리뉴스> 

 

[폴리뉴스 이은주 기자] 8일 여야 합동으로 21대 국회의원의 초당적 연구단체인 ‘4차산업혁명포럼’이 창립됐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여야가 힘을 합쳐 데이터와 인공지능 등 핵심 기술의 발전을 촉진해 산업 생태계에 원활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제반 정책들을 꾸준히 논의하고 고민하기 위해서다.

이날 오후 국회에서는 서병수 미래통합당 의원과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동 대표로 창립한 4차 산업혁명 창립 심포지엄이 열렸다. 이날 포럼은 서병수, 이상민 의원을 중심으로 한 국회 4차 산업혁명포럼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공동주최하는 행사로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한 국회의원 30여명과 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 윤성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 이우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등이 참석했다.

서병수 의원은 포럼의 공동대표로서 “4차 산업과 관련한 여러 기술들을 개발해, 다양한 분야에 접촉시킬 수 있는 실용성 있는 투자 방안들이 정책으로 정교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포럼을 창립했다고 밝혔다. 서 의원은 “4차 산업 기술에 대한 특유의 접근성과 인지능력이 뛰어난 한국 특유의 강점을 활용해, 관련 기술이 제대로 개발되고 생활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국회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상민 의원 또한 “데이터 기술 발전으로 초연결이 일상화되는 시기다. 국회가 함께 과학기술 과 정보통신 연구·개발부터 상용화를 총체적으로 지원하는 실용성 있는 정책들을 법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와 관련해 기술의 고도화로 부딪힐 수 있는 일자리 축소, 환경 문제 등을 선제적으로 해소해나가기 위해서 서 의원과 혐업을 해서 열심히 해보고자 한다”고 포럼의 공동대표로서 국회의 역할을 강조했다.

 미래통합당 서병수 의원이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4차산업혁명포럼 창립심포지엄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폴리뉴스> 
▲  미래통합당 서병수 의원이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4차산업혁명포럼 창립심포지엄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폴리뉴스> 

 

이 날 심포지엄에 참석한 박병석 국회의장과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 등도 여야가 힘을 합쳐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는 제도 마련에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인공지능과 클라우드 컴퓨터 등 4차 산업과 관련된 기술이 제도적으로 사회 발전을 뒷받침하려면, 대학과 정부 그리고 기업의 3개 주요 주체들이 협력해야 하는데 포럼이 이러한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향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기술의 근본적인 기반이 되는 ‘반도체’ 산업의 지원을 위한 방안 고민도, 4차 산업혁명 지원책 마련에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윤성로 4차산업혁명위원장과 신성철 KAIST 총장은 기조발제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주요 기술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안 마련을 강조했다. 윤 위원장은 4차산업혁명의 관건을 인간처럼 사고가능한 컴퓨팅 ‘지능’이라고 강조하면서, 데이터와 지능으로 움직이는 4차산업혁명을 촉진하는 인공지능 기술의 현주소에 대해서 설명했다.

윤 위원장은 인류가 인공지능(AI) 트렌드에 대해 데이터를 스스로 생선하는 AI 모델을 언급하며 이에 대한 대비를 강조했다. 윤 위원장은 “중요한 기술적 진보는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이전에는 결코 생산할 수 없었던 굉장히 정교한 정보 데이터를 창출 가능해진 것”이라며 “기본 정보에서 아이덴티티만 바꾸는 데이터 생산 등이 가능해져 이를 접목하면 범용성 높은 분석틀을 가질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신성철 카이스트 총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첨예한 국가간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안 제시에 천착했다. 신 총장은 “신지식이나 실질적인 경제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선도형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한 도전에 따른 실패를 용인할 수 있는 제도적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어 인공지능 인재 육성을 위한 대학 지원과 함께, “자동차 시장보다 훨씬 큰 바이오 헬스 산업의 전문가들을 육성하기 위한 지원도 필수”라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