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벤처 기업 경영인 출신으로 현실적, 실질적 정책 낼 것
1호 법안인 ‘중소·벤처 氣살리기 패키지 3법’ 발의해

‘ICT 전문 1호 의원’ 인 이영 의원은 21대 국회에서 ‘거창하기 보다는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부분으로 접근 할 계획’이라고 말한다. 그는 최근 1호 법안인 ‘중소·벤처 氣살리기 패키지 3법’을 대표 발의했다. <사진=송서영 기자>
▲ ‘ICT 전문 1호 의원’ 인 이영 의원은 21대 국회에서 ‘거창하기 보다는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부분으로 접근 할 계획’이라고 말한다. 그는 최근 1호 법안인 ‘중소·벤처 氣살리기 패키지 3법’을 대표 발의했다. <사진=송서영 기자>

[폴리뉴스 전규열 경제·산업 국장, 송서영 기자]21대 국회에 입성한 이영 의원에게는 ‘ICT 전문 1호 의원’ ‘20년 벤처 경영인’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이 의원은 테르텐이라는 보안 전문 회사를 설립하고 벤처 경영인으로 20여 년을 보내며 현장의 산적한 문제들을 그냥 두지 않고 중소‧벤처기업을 대변하는 목소리를 많이 냈다.

그가 목소리를 낼 수밖에 없었던 건 대변해야 할 이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 의원은 “여성 ICT 벤처 기업 경영인으로서 마이너리티 중에서도 마이너리티였다”고 표현한다. 먼저 여성은 창업계에서 소수에 속한다. 또한 정보통신기술(ICT)은 10여년 전만해도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비중이 적었다. 그 중에서도 보안이라는 특수 분야를 했다.

여성, ICT, 보안 업계를 모두 대변하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 여성가족부 청년 여성 멘토링 대표멘토, 한국여성벤처협회 회장 등을 거쳤다. 이 의원은 “뒤돌아보니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활동을 많이 했고 내 안에 공익적 DNA가 있다는 걸 새삼 느꼈다”고 말했다.

그 즈음 정치계의 부름이 있었다. 기술 베이스의 경제, 정치의 전환점이 필요한 가운데 전체 의원 중 이공계 의원은 10%도 채 되지 않는다. 이영 의원 같은 ICT 전문가이자 경영 경험이 있는 의원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이 의원은 한 번도 정치 활동을 해 본 적이 없어 고사도 몇 번 했다. 그래도 한 가지 확신 할 수 있는 건 스스로가 공익적 서비스를 제시할 때 힘 있게 말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그는 청와대나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를 만날 때면 수학과 특유의 이성적인 면을 발휘해 현안을 조목조목 짚어 내놓았다.

그의 힘 있는 목소리에 대한 신뢰가 이어져 21대 국회와도 연이 닿았다. 이 의원은 비례대표로서 일찍이 1호 법안을 내며 입법을 통한 중소‧벤처기업 살리기에 나섰다. 21대 국회에서 ‘거창하기 보다는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부분으로 접근 할 계획’이라는 그의 각오를 일문일답으로 들어본다.

벤처기업가 육성을 위해 정부가 개선되어야 할 점은

정부가 일을 너무 많이 한다고 생각한다. 벤처기업 육성에 투자를 많이 하나 과하다고 본다. 아이가 걸음마를 시작할 때 손을 잡아주는 것이 맞지만 성장하면서는 손을 놓아주어야 하듯 어느 시점에서는 기업에 자율성을 주어야 한다. 모태펀드만 해도 과도한 개입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정부가 특정 분야 활성화를 외치는 순간, 트렌드가 되어 창업이 우수수 한쪽으로 쏠렸다가, 다른 활성화 정책이 나오면 또 갈대처럼 창업 쏠림 현상이 생긴다. 벤처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자율적 생태계가 파괴된다.

이렇게 제도적으로 없을 것이 없을 만큼 정부가 붙잡고 있는 것이 많다보니 규제를 개선해야 할 것들이 너무나 많다. 정부가 길을 터주는 역할을 까지만 하면 기업의 성장 속도는 엄청 나게 된다. 정부 육성과 민간 전환이 적절히 이루어져야 한다.

벤처기업가로 활동하며 경제현장에서 느낀 제약점은?

많은 제약점이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여성 기업인으로서 눈에 보이지 않는 장벽을 극복해야 하는 어려움도 있었다. 여성 기업인이 적었던 2000년대 초반, ‘그 사람 누구냐?’라는 장벽이 컸다. 군대나 학교, 지역으로 쉽게 한 다리 건너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남성과 달리 희귀한 여성기업인, 여고 출신이 네트워크를 쌓는 일은 그 출발선이 남성들과 달랐다.

이 의원은 “경영에 있어 휴먼 네트워크는 산소와도 같은데 이를 그냥 흡입하는 사람과 산소가 부족하지만 쎈 척하고 버티는 사람과는 다른 면이 있다. 지금 젠더 이슈를 이야기 하는 것이 누군가는 세련돼 보이지 못한다고 해도 유리천장 다음이 산소라고 생각한다. 유리천장은 못 뚫어도 비난은 할 수 있는데 산소는 보이지 않아 비난도 못한다”고 말한다.

이영 의원은 ‘신뢰’로 이 문제를 극복했다. 한결같은 모습으로 ‘이영’이라는 이름만 들어도 ‘지향점이 무엇인 사람’ ‘어떠한 기업가 정신을 가진 사람’이라는 말이 나올 수 있도록했다. 이 말, 저 말에 휩쓸리지 않고 일관적인 지향점을 가지고 20여년을 나아가다 보니 정체성이 뚜렷해졌고, 신뢰를 확보할 수 있었다. 처음에는 친절하게만 대했던 업계 사람들도, 시간이 지나가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기 시작했다.

벤처 기업 현안에 대한 대화를 나누고 있는 전규열 폴리뉴스 경제‧산업국장(좌)과 이영 국회의원(우) <사진=송서영 기자>
▲ 벤처 기업 현안에 대한 대화를 나누고 있는 전규열 폴리뉴스 경제‧산업국장(좌)과 이영 국회의원(우) <사진=송서영 기자>

창업 후 3년 만에 문을 닫는 경우가 많다. 자금 회수를 이룰 수 있는 M&A, IPO 단계가 활성화 되지 않았는데, 개선점은 무엇인가

두가지를 개선하고 싶다. CVC와 M&A 활성화다. 준비하고 있는 두 번째 법안은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설립 관련 내용을 다룰 예정이다. 미국은 벤처기업이 성장하면 후배 파트너사들을 많이 찾는다. 일본도 44%가 CVC다. 중국 텐센트도 한해 12조를 투자했다. 우리나라 대기업은 투자해봐야 3조다.

우리나라는 금산분리법에 의해서 금융업으로 분류되는 CVC를 보유하지 못한다. 그런데 이건 투자다. 금융업으로 보기는 어렵다. CVC를 허용해서 투자 생태계를 다양하게 가져가야 한다. 벤처투자(VC) 대부분이 선배들이다. 그들이 쌓은 무형의 경험과 자산이 벤처기업에게 흘러 들어간다. 그렇게 더 많은 성공 플레이어를 만들어야 한다. 일감 몰아주기와 같은 부작용을 막기 위한 법안도 물론 만들어야 한다.

두 번째는 기업 인수‧합병(M&A)인데 2018년도부터 구글이 M&A에 50억불 썼다. 삼성은 2억불 썼다. 투자가 들어오면 M&A도 쉽다. 원론적으로는 M&A 시장이 활성화 돼야 한다. 벤처기업은 혁신적 아이디어를 가지고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는 것까지가 선수다. 그 다음은 전문 경영인이 붙어야 한다. 대기업의 중소기업 기술착취 등의 사례가 여러 규제를 낳았지만 규제에만 멈춰있으면 안 된다.

1호 법안인 ‘중소·벤처 氣살리기 패키지 3법’은 어떤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나

‘패키지 3법’ 개정안은 △벤처기업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원) 행사이익에 대한 비과세 한도 확대 △벤처투자조합 엔젤투자(출·투자)에 대한 소득공제와 양도소득세 비과세 특례 연장 △성과공유 중소기업 근로자 경영성과급 근로소득세 비과세 △가업승계 백년기업 육성을 위한 가업상속공제 특례제도의 대상과 한도 확대 등을 골자로 한다.

벤처기업은 인력이 전부다. 대기업처럼 큰 연봉을 줄 수 없다. 그래서 스톡옵셥을 준다. 현재 3000만원만 비과세인데 너무 작은 금액이다. 물가상승률 등을 반영했을 때 1억 까지는 상향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엔젤투자가 늘어나야 한다. 시드는 3000~5000만 원 정도 들어간다. 이 돈을 줘야 시리즈A로 가는데 이 전 단계에 투자를 안 한다. 이 돈이면 상장사에 투자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고안해 낸 것이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에 따라 도입된 성과공유중소기업이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경영성과급에 대해서는 근로소득세를 비과세하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 1세대 분들이 70~80대가 됐다. 가업승계 문제가 있다. 국내는 가업승계를 부의 세습이라고 보는데, 기업연속성 면에서 봤을 때 기업에게 조금 더 자율성을 줘야 한다고 본다. 국내의 과도한 상속세를 두고 해외에서는 ‘한국에서 기업을 영위 할 수 있냐’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이에 상속세 및 증여세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따라 가업상속공제 제도의 대상을 연 매출 3천억 원 이하 기업에서 1조원 이하 기업으로 확대하는 한편, 한도를 20년 미만 기업의 경우 200억에서 500억으로, 30년 미만 기업의 경우 500억에서 700억으로, 30년 이상 기업의 경우 500억원에서 1천억원으로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ICT전문 1호’ 의원이다. 앞으로 의정활동 계획과 각오는

거창하지 않다.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부분으로 접근 할 계획이다. 기업 경영인이 정치를 했을 때의 장점이라 하면 계량화된 대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기업인들은 어떤 사안에 대해 ‘왜 좋은데?’ ‘무엇이 남는데?’ ‘얼마나 좋아지는데?’ 등의 질문을 던진다. 국회에서 놀랐던 것이 이런 질문 없이 끝나는 토론이 몇 번 있었다는 것이다. 정책의 방향성을 계량적으로 점검해 답답했던 문제를 매년 해결하며 나아가고 싶다. 만약 빠른 시일 내에 해결되지 않을 현안이라면 진행 상황을 먼저 업계에 알리기라도 할 계획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