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의회 열린지 100년 지났지만 국민 신뢰 낮아...21대 민의 반영되는 국회 되길”
김태년 “일하지 않는 국회 계속 된다면 국회 존재할 이유 없어”

문희상 국회의장을 비롯해 20대 현역의원, 21대 당선자들이 기념촬영중이다. <사진=권규홍 기자>
▲ 문희상 국회의장을 비롯해 20대 현역의원, 21대 당선자들이 기념촬영중이다. <사진=권규홍 기자>

 

[폴리뉴스 권규홍 기자] 21대 국회의 개원을 앞두고 준비가 분주한 국회에서 ‘새로운 21대 국회를 위한 대한민국 4.0’ 포럼이 열렸다. 이 자리에 참석한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상생과 협력의 정치는 구호로만 되는 것이 아니다”고 강조하며 일하는 국회를 반드시 만들겠다고 밝혔다.

21일 국회에서 열린 ‘대한민국 4.0’ 포럼에는 문희상 국회의장을 비롯해 김태년 민주당 원내대표,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를 비롯해 각 당의 21대 초선, 중진 의원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이 자리에서 문 의장은 축사를 통해 “다음 주면 국회 개원 71주년이 되고 임시의정원 개원까지 하면 101주년이 된다”면서 “의회가 열린지 100년이 지났어도 국회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는 여전히 낮다. 20대 국회를 돌아보면 다당제로 출발했지만 결국엔 여야, 좌우, 진보와 보수등 진영논리에 각 당이 갖혀 많은 시간을 허비했다”며 “결국 국민들은 이번 총선으로 일하지 않는 국회를 심판했다. 국회의장실 역시 국민이 원하는 국회 모습을 위해 노력했지만 역부족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여론조사를 봐도 국민 대다수는 국회가 일을 해주길 바라고 있고 여야가 협치하고, 민생을 챙기고 일하는 국회가 되길 바라고 있다”며 “이에 국회의원 한분 한분은 국민의 뜻을 엄중하게 받들고 새롭게 열릴 21대 국회에서는 민의를 반영해 국민을 위해 온 힘을 쏟아주길 당부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연단에 오른 김 원내대표는 “4차 산업혁명시대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국회 개혁이 절실하다”며 “한국정치도 4.0으로 진화해 대한민국의 4.0을 이끌어 나가야 한다. 21대 국회의 핵심은 일하는 국회다. 일하지 않는 국회 계속 된다면 국회 존재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국민들이 불편함과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국민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많이 덜어드려야 한다. 국회는 일을 해야 한다. 일하는 국회를 만들어서 코로나19 대응에 앞장 서야한다”며 “상생과 협력의 정치는 구호로만 되는 것이 아니다. 국회가 일을 하지 않으면 안 되게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그 제도위에 협치가 되야 국민에게 칭찬받는 국회가 될것이다”고 말하며 다시는 4.0 포럼이 열리지 않게 되길 바란다고 희망했다.

이원재 “정치 양극화가 사회적 갈등을 가리고 있다”

신진욱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준비해야...산업구조, 노동문제 분석해야”

장덕진 “대한민국, 과학 기반의 복지국가를 미래지향점으로 삼아야”

이날 발표자로 나선 이원재 카이스트 교수는 “타락한 진영의식이 본질을 가린다. 정치 양극화가 사회적 갈등을 가린다”며 “한국 정치의 특수성은 정치 양극화가 우리 사회의 갈등을 억누른다는 데서 비롯된다. 한국 정치 양극화의 특수성은 대립 그 자체가 아니라 본질적인 갈등을 은폐하고 억누르는데 있다는 것이다. 정치 엘리트들은 이를 통해 단기적인 이익을 얻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신진욱 중앙대 교수는 “21대 총선에서 180석 거여(巨與)가 된 의미를 찾아야 한다”며 “코로나19라는 미증유의 위기에서 치른 총선에서 진보여당이 완승했다. 이번 총선은 누가 이길지 모르는 불확실성에서 국민의 요구에 응하는 정치가 승리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정치과제도 역시 제시되어야 한다”며 “단기적 방역 차원에서 민관 협력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산업구조, 노동등을 분석하고 대응해 체질을 강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연사로 나선 박명림 연세대 교수는 “이번 총선의 의미를 불비례성과 지역선거로 볼수 있다”며 “득표율과 의석의 비례성이 단절됐고 영호남에서 득표율에 대비해 단일정당의 독점이 강화됐기 때문이다. 특히 선거용 위성정당을 급조했다는 점도 이번 총선의 아픈 부분으로 진단한다. 다양한 사회의 목소리가 국회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장덕진 서울대 교수는 “대한민국이 과학 기반의 복지국가로 가는 것을 미래지향점으로 꼽아야 한다”며 “복지국가는 규모 팽창을 최소하해야 훨씬 효율적이고 유능해질수 있다. 지속가능한 복지국가를 위해서 복지지출이 곧 성장에 대한 투자로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