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은행, 1분기 통화정책 보고서 '대수만관 없다' 문구 2년만에 삭제
-양적완화 유동성 공급 여지 열어
-글로벌 통화 공급 과잉되면 원화절상, 수출에 악영향

현시기 중국의 양적완화가 시작되면 달러와 함께 글로벌 과잉유동성이 우려된다.<사진=연합뉴스>
▲ 현시기 중국의 양적완화가 시작되면 달러와 함께 글로벌 과잉유동성이 우려된다.<사진=연합뉴스>

[폴리뉴스 박상주 기자] 중국이 양적완화 가능성을 내비쳤다. 코로나19로 전세계가 재정확대 정책을 펴고 있는 가운데, 중국마저 양적완화에 나서게 되면 글로벌 과잉유동성이 우려된다. 이는 원화절상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가뜩이나 감소한 한국 수출에 위협이 될 수 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0일 '2020년도 1분기 통화정책 이행보고서'에서 '대수만관(大水漫灌, 양적완화)식의 정책을 하지 않겠다'는 표현을 삭제했다. 2008년 금융위기에 처음 사용한 문구로, 2018년 2분기 이후 2년만에 처음 이 표현을 삭제했다.

인민은행은 보고서에서 "1분기 코로나19 사태가 우리 경제와 사회에 유례없는 충격을 줬다"며 "통화 정책을 융통성있게 펼치고, 실물 경제 회복 발전을 가장 중요한 곳에 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인민은행은 통화정책에 있어 지난해 '탄력'을 강조한 반면, 올해부턴 '융통성'을 강조했다. 양적완화 가능성을 열어둔 것은 통화량 조절 등을 통해 경기 하강에 대응하겠단 의미로 풀이된다. 그만큼 중국이 위기를 느끼고 있단 의미다.

올해 1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은 -6.8%를 기록했다. 지난해 분기별로 6.4%(1분기), 6.2%(2분기), 6.0%(3, 4분기)를 보였던 것과 비교하면 직전분기 대비 12.8%p 급락한 수치다. 중국 정부가 과감한 통화정책이 절실해진 배경이다. 이에 따라 중국은 대출우대금리(LPR) 금리와 은행의 지급준비율 등을 추가 인하하는 정책을 꺼내들 수 있다. 

실제 중국이 과감한 양적완화 정책을 실행한다면 한국 경제엔 먹구름이 낄 수 있다. 글로벌 유동성 과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08년 금융위기를 전후해 미국은 양적완화 정책을 폈고 이 때 발행한 대규모 미국채를 중국이 상당부분 흡수했다. 중국이 대규모 달러를 공급하면서 글로벌 유동성이 평형을 이루며 미국 시장이 안정을 유지할 수 있었다.

현재 상황은 다르다. 코로나19는 전세계 경기를 얼어붙게 만들어 각국이 저마다 확대 재정정책을 펴고 있다. G2를 비롯 각국이 달러와 위안화를 시중에 공급하는 가운데, 중국 채권을 받아줄 여력이 없는 상황이다.

세계적으로 통화 공급이 급증하면 달러와 위안화, 양 통화가 가치절하되고, 또 한 번의 '환율전쟁' 양상이 펼쳐질 수 있다. 반면 원화는 가치절상돼 수출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 가뜩이나 수출량이 감소한 상태에서 수출에 악순환이 이어질 수 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