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 등 비주거용 부동산시장이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거래 감소·자산가치 하락, 금융부실 확대, 경매 증가 형태로 리스크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연합뉴스>
▲ 상가 등 비주거용 부동산시장이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거래 감소·자산가치 하락, 금융부실 확대, 경매 증가 형태로 리스크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7일 ‘코로나19 사태의 부동산 경기 파급효과 및 대응방안’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주택 거래량이 사스 발생 당시(-3.0%) 또는 외환위기·글로벌 금융위기(-19.8%) 수준으로 거래량이 줄어들 경우 민간 소비지출이 연간 0.23∼1.50%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거래량이 3.0% 감소하면 민간 소비지출의 실질 감소액이 515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부동산 산업은 생산유발효과 7400여억원, 부가가치 1조9000억원, 고용 1만6000명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거래량이 19.8% 감소하면 연간 민간 소비지출의 실질 금액이 3조2000억원 하락해 부동산 산업은 생산유발효과 4조6000억원, 부가가치 12조2000억원, 고용은 10만 명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상가 등 비주거용 부동산시장이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거래 감소·자산가치 하락, 금융부실 확대, 경매 증가 형태로 리스크가 확대될 것으로 연구원은 예상했다.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사업자금이나 생활 자금 대출 목적에 한해 한시적으로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확대하고 채무의 단기적 유예나 조정 등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사업자를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