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대선 24.1% - 2017년 28.5% 차지... 다른세대보다 가장 많아

우리나라의 경우 저출산과 평균수명 연장으로 고령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고령화는 전체인구에서 65세이상인구가 차지하는 비율로 7%이상 이면 고령화사회, 14%이상 이면 고령사회, 20%이상 이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에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으며, 2018년에는 고령사회, 2026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된다.

고령인구가 늘어나게 되면 선거에 미치는 영향은 과연 어떨까. 흔히 60세 이상의 연령층이 보이는 특징으로는 정치적 성향이 보수적이며, 투표참여율이 다른 세대보다도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60세 유권자층이 늘어난다는 것은 아무래도 정치적 보수층의 여론이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 60세 이상의 유권자 층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2007년 대선 당시 60세 이상의 유권자 수는 6백8십만여명 수준이었다.

통계청의 인구추이 자료에 따르면 다음 대선이 있는 2012년에는 60세 이상 유권자가 8백만명이 넘어 전체 유권자의 20%를 웃돌게 된다.

그 다음 대선이 있는 2017년에는 60세 이상의 유권자 수가 9백9십만명이 넘어 1천만명을 육박하게 된다. 유권자 비중 역시 24.5%를 차지하여 다른 세대보다 가장 많은 유권자층을 형성하게 된다.

투표참여율 관점에서 본다면 60세 이상의 고령 유권자 층이 더욱 위력을 발휘한다. 2007년 17대 대선 당시 연령별 투표참여율을 그대로 적용해 본다면 다음과 같다.

2007년에 60세 이상의 유권자가 차지하는 투표자 비중은 22.0%였다. 23.6%를 차지한 40대 다음으로 많았다. 2012년에 투표자 비중은 24.1%로 상승하게 되고, 2017년에는 28.5%로 다른 세대보다 월등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1987년 13대 대선 당시 인구구성비를 보면 20대가 33.6%, 30대가 24.4%, 40대가 17.7%, 50대가 12.7%, 60대가 11.6%를 차지하였다. 당시 대선 투표율은 90%가 넘기 때문에 투표자 비중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당시 20~30대 청년 유권자 층이 58%에 가깝다. 그러나 2012년 대선에서는 20~30대 유권자 층이 38.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20%정도 감소하게되고, 60대 이상은 13대 대선있는 해에 11.6%였던 유권자 비중이 2012년에는 18.9%, 2017년에는 24.5%를 차지하여 2.5배가 늘어나게 된다.

현재 60세 이상인 세대는 한국전쟁 이전에 태어난 세대들이다. 60세 이상인 세대들은 한국전쟁을 겪었거나, 전쟁의 상흔과 함께 경제후진국 상황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이들은 고도성장을 이끈 주역들이었며, 장년이 된 이후에 민주화를 경험하게 된다.

어찌보면 이들이 보수적인 정치적 성향을 강하게 갖게 된 것은 단지 나이가 들어가는 탓만이 아니라 그들이 관통해온 역사적 배경이 보수적 성격을 갖게된 데에 대한 영향을 더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소위 노인표가 선거에 영향을 주었던 대표적인 사례는 2004년 17대 총선에서 당시 열린우리당 정동영 의장의 노인폄하발언과 관련된 사건이다.

탄핵바람을 타고 신생정당인 열린우리당은 170석까지 승리를 내다보았지만 정동영 의장의 "노인의 투표장에 가지 않아도 된다"라는 발언으로 노인층의 분노를 샀고, 열린우리당은 과반수에 턱걸이 하게 되었다는 분석도 있었다.

이밖에도 대도시를 제외하고 지방의 경우에는 60세 인구가 30~50%를 넘는 선거구가 다수 있어 핵심공략층으로 노인 유권자를 대상으로 한 선거전략이 세워지고 있다.

평균수명의 연장과 함께 60세 유권자층 역시 다양한 정치적 요구를 갖게 된다. 단순한 시혜적 노인복지 정책이나 푼돈지원과 같은 초급적인 공약으로는 노인층의 마음을 잡기 어려워 지고 있다.

노인층에서도 일자리를 가장 많이 원하고 있으며, 학습에 대한 욕구도 늘고 있다.

향후 대권은 유권자 다수를 차지하는 60세 이상의 유권자층에 판단에 따라 좌지우지 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상기 그래프는 통계청 인구추이와 17대 대선 투표참여율을 적용한 추정한 자료임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