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최저임금 ‘부적정50% vs 적정44%’, 한국·바른미래 지지층 ‘수용 불가’ 다수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는 올해 대비 2.9% 오른 8,590원의 내년도 최저임금에 대해, 인상 수준은 적정하지 않다는 부정적 인식이 50% 수준에 달했지만 국민 10명 중 6명의 다수가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나타냈다고 15일 밝혔다.    

YTN <노종면의 더뉴스> 의뢰로 실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에 대해 ‘부적정하다’는 응답(부적정-수용불가 23.6%, 부적정-수용가능 26.1%)이 49.7%, ‘적정하다’는 응답(적정-수용가능 32.7%, 적정-수용불가 11.2%)은 43.9%로, ‘부적정’ 인식이 ‘적정’ 인식보다 오차범위(±4.4%p) 내에서 5.8%p 높게 집계됐다. 

하지만 내년도 최저임금의 수용성 측면에서는, ‘받아들일 수 있다’는 응답(적정-수용가능 32.7%, 부적정-수용가능 26.1%)이 58.8%,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응답(부적정-수용불가 23.6%, 적정-수용불가 11.2%)은 34.8%로, ‘수용 가능’ 태도가 ‘수용 불가’ 태도보다 24.0%p 높은 10명 중 6명에 가까운 것으로 조사됐다.
 
세부 계층별로는 자영업과 가정주부, 노동직, 20대와 60대 이상, 대구·경북(TK)과 부산·울산·경남(PK), 서울, 보수층과 중도층,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 지지층에서 ‘부적정 인식’이 다수였고, ‘적정’ 인식은 사무직, 30대, 호남, 진보층, 더불어민주당·정의당 지지층에서 ‘부적정’ 인식보다 높았다. 40대와 50대, 충청권과 경기·인천, 무당층에서는 서로 다른 두 인식이 비슷했다.

‘수용 가능’ 태도는 사무직과 자영업, 노동직, 가정주부 등 거의 대부분 직업, 모든 연령층과 지역, 진보층과 중도층, 민주당·정의당 지지층과 무당층에서 대다수이거나 ‘수용 불가’ 태도보다 높았다. ‘수용 불가’ 태도는 한국당·바른미래당 지지층에서 절반 이상이었고, 보수층에서는 상반된 두 태도가 팽팽했다.

‘부적정’ 인식은 자영업(부적정 52.0% vs 적정 42.7%)과 가정주부(49.9% vs 40.0%), 노동직(45.8% vs 40.0%), 20대(60.8% vs 36.6%)와 60대 이상(51.5% vs 35.7%), 대구·경북(60.4% vs 33.0%)과 서울(57.8% vs 38.7%), 부산·울산·경남(54.3% vs 40.7%), 보수층(54.2% vs 41.8%)과 중도층(50.3% vs 44.0%), 한국당 (66.3% vs 25.5%)과 바른미래당(62.0% vs 35.5%) 지지층에서 절반을 넘거나 다소 높았다.

‘적정’ 인식은 사무직(부적정 44.2% vs 적정 52.3%), 30대(40.5% vs 58.2%), 광주·전라(30.9% vs 52.4%), 진보층(43.4% vs 53.7%), 민주당(36.4% vs 59.9%)과 정의당(42.0% vs 49.9%) 지지층에서 절반 수준이거나 이상이었다. 한편, 40대(부적정 48.7% vs 적정 46.7%)와 50대(46.4% vs 46.3%), 대전·세종·충청(48.2% vs 44.6%)과 경기·인천(45.7% vs 48.6%), 무당층(43.1% vs 46.2%)에서는 ‘부적정’과 ‘적정’ 인식이 비슷했다.

‘수용 가능’ 태도는 사무직(수용 가능 66.1% vs 수용 불가 30.3%)과 자영업(61.2% vs 33.4%), 노동직(55.0% vs 30.8%), 가정주부(49.4% vs 40.5%), 40대(70.3% vs 25.1%)와 30대(66.6% vs 32.2%), 50대(59.9% vs 32.9%), 20대(53.0% vs 44.4%), 60대 이상(48.2% vs 39.0%), 광주·전라(66.3% vs 17.0%)와 서울(61.7% vs 34.8%), 대 구·경북(60.9% vs 32.5%), 경기·인천(59.6% vs 34.8%), 대전·세종·충청(52.6% vs 40.2%), 부산·울산·경남(50.7% vs 44.3%), 진보층(75.7% vs 21.4%)과 중도층(59.6% vs 34.8%), 민주당(82.1% vs 14.2%)과 정의당(55.3% vs 36.7%) 지지층, 무당층(56.6% vs 32.7%)에서 대다수이거나 절반 전후의 다수였다. 

‘수용 불가’ 태도는 바른미래당(수용 가능 42.0% vs 수용 불가 55.4%)과 한국당(38.1% vs 53.8%)에서 절반 이상이었고, 보수층(47.9% vs 48.1%)에서는 수용 가능과 불가 태도가 팽팽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2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무선 전화면접(10%) 및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방법으로 실시했다. 응답률은 4.2%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