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두 국회 정무위원장, ‘초고령사회대비포럼’ 3회 거쳐 진행키로
“초고령사회 대비해 다양한 측면에서 균형 있게 고령생활 준비 확산 시켜야”
“액티브 에이징 위해 개인·기업·정부·사회적 차원 과제 해결해가야”

민병두 국회 정무위원장이 4일  ‘초고령사회대비포럼, 리스타트 Korea’ 토론회를 주최했다.  ⓒ폴리뉴스
▲ 민병두 국회 정무위원장이 4일  ‘초고령사회대비포럼, 리스타트 Korea’ 토론회를 주최했다. ⓒ폴리뉴스


한국 사회가 불과 6년 뒤인 2025년, 65세 이상 인구 20% 이상인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를 어떻게 대비하고 준비해야하는 가의 문제는 개인을 비롯해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문제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민병두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동대문구을·정무위원장)은 초고령사회대비 포럼을 주최하고 3회에 걸쳐 초고령사회에 대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접근을 이야기했다.

민병두 의원은 4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초고령사회대비포럼, 리스타트 Korea’ 토론회를 주최했다. 해당 토론회는 총 3차례로 진행되며 이번 주제는 ‘초고령사회 대비, 액티브에이징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였다.

이날 토론회에는 민병두 의원을 비롯해 이인영 민주당 원내대표, 원혜영 의원, 이용득 의원 등이 자리를 함께했다.

이인영 원내대표는 축사에서 “경제역동성의 저하, 복지부담의 증가, 세대간 갈등 등의 난제들을 해결해가야만 한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나아가 국가적 차원의 관심과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고령층의 삶에 중요한 요소인 일, 돈, 관계, 건강을 다각적으로 분석해 균형있는 삶, 행복한 삶을 위한 개인과 지역사회, 국가의 역할을 생각해보는 포럼이 될 것”이라고 했다.

민병두 의원은 “이번 토론회의 목적은 다가올 초고령사회에 대비해 고령인구들의 일자리, 금융/경제, 건강, 관계의 융합적 측면을 균형있게 다룸으로서 두려움 없이 활기찬 고령생활에 대한 인식과 준비를 확산시키는 것”이라고 밝혔다.

민 의원은 “그 첫 출발을 ‘즐겁게 일하는 삶을 위한 준비’(well-retiring 웰리타이어링과 일자리문제)라는 제목으로 ‘나이 드는 것은 아름답다. 나이 드는 것은 행복하다’는 초고령사회 문화 만들기를 시작해보려 한다”고 설명했다.

민병두 국회 정무위원장이 4일  ‘초고령사회대비포럼, 리스타트 Korea’ 토론회를 주최했다.  ⓒ폴리뉴스
▲ 민병두 국회 정무위원장이 4일  ‘초고령사회대비포럼, 리스타트 Korea’ 토론회를 주최했다. ⓒ폴리뉴스

▲액티브 에이징, ‘개인·기업·정부·사회’ 차원 대비 필요
이날 토론회의 발제를 맡은 원영희 한국성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본격화로 생산연령인구에서 고령인구로 이동하는 2020년부터 생산연령인구가 급감할 것이라며 생산연령인구 감소로 인한 노동인력 부족은 경제성장을 제약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원 교수는 “급속한 인구고령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영향, 고령자의 경제 상황 등이 문제로 대두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며 “2025년 초고령사회로 진입 예정인 우리 사회가 ‘액티브 에이징’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액티브 에이징은 WHO가 한 정책틀로 나이가 들어감에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강, 참여, 안전을 위한 기회를 극대화하는 과정이다. 

액티브 에이징의 개념은 마르리드 국제고령화행동계획 방향에서 처음 발의된 것으로 인구 고령화가 경제, 사회적 부담이 아닌 미래발전 토대가 되는 것을 강조한 것으로 국가의 적극적 자세를 요청한다. 사회적 측면에서 보면 액티브 에이징은 사회비용 절감과 사회부담 완화, 생간가능 인구 감소 대응에서 필요성이 대두된다. 

원 교수는 또 액티브 에이징을 위한 과제로 개인, 기업, 국가 차원의 노력을 강조했다. 개인 차원에선 경력개발 및 평생학습을 통해 직업역량을 향상시키고 진로전환 및 생애진로 계획을 실행하는 등이다. 기업차원에선 고령친화적 근로환경을 개선하고 멘토링을 통한 지식 및 경험 전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정부, 사회 차원에선 다양한 고용기회를 제공하고 고령자 교육훈련 강화 혹은 맞춤형 고용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고령사회에 대비해야한다는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