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는 사형 집행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사형 집행에 대한 찬성 응답과 사형제도를 폐지하거나 집행에 반대한다는 응답이 오차범위 내에서 서로 엇갈렸다고 17일 밝혔다.
CBS 의뢰로 실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정부가 국가인권위원회의 사형제 폐지 권고를 수용하지 않은 가운데 사형제도에 대해 물은 결과 ‘사형을 실제로 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51.7%로, ‘현재처럼 사형제도는 유지하되 집행은 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37.9%)과 ‘사형제도 자체를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7.8%)의 합(45.7%)보다 오차범위(±4.4%p) 내인 6.0%p 우세했다. ‘모름/무응답’은 2.6%.
세부적으로는 수도권과 부산·울산·경남(PK), 4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 보수층,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 지지층과 무당층에서 ‘사형 집행 찬성’이 우세한 반면, 40대, 진보층,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사형 집행 반대 및 제도 폐지’가 절반 이상 다수였다. 충청권과 호남, 대구·경북(TK), 중도층, 정의당 지지층에서는 ‘사형 집행 찬성’과 ‘사형 집행 반대 및 제도 폐지’ 양론이 팽팽했다.
한편, 약 1년 7개월 전 2017년 11월 동일한 질문과 선택지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사형 집행 찬성’ 52.8%, ‘사형 집행 반대’ 32.6%, ‘사형제도 폐지’ 9.6%로, ‘사형 집행 찬성’은 1.1%p 하락했고, ‘사형 집행 반대 및 제도 폐지’는 3.5%p 상승했다.
‘사형집행 찬성’여론은 서울(집행 찬성 52.7% vs 집행 반대 + 제도 폐지 43.9%)과 경기·인천(52.2% vs 47.0%), 부산·울산·경남(51.8% vs 42.5%), 30대(57.6% vs 42.4%)와 50대(56.4% vs 40.4%), 60대 이상(50.6% vs 45.0%), 20대(50.5% vs 45.6%), 보수층(66.5% vs 31.8%), 한국당(65.1% vs 32.0%)과 바른미래당(51.9% vs 46.3%) 지지층, 무당층(47.9% vs 42.2%)에서 절반을 상회하거나 우세했다.
‘사형 집행 반대 및 제도 폐지’여론은 40대(집행 찬성 44.3% vs 집행 반대 + 제도 폐지 54.6%), 진보층(43.7% vs 54.4%), 더불어민주당 지지층(43.8% vs 55.0%) 지지층에서 과반의 다수였다. 한편, 대전·세종·충청(50.0% vs 47.2%)과 광주·전라(49.8% vs 47.6%), 대구·경북(48.8% vs 47.8%), 중도층(50.5% vs 46.8%), 정의당 지지층(47.8% vs 50.7%)에서는 양론이 팽팽하게 엇갈렸다.
이번 조사는 지난 14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무선 전화면접(10%) 및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방법으로 실시했다. 응답률은 5.1%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p이다.
청와대를 출입하면서 여론조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청와대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정치-외교-안보-통일 등의 현안을 정확하게 보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강필수 기자] 올해 1월 1일부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마일리지 10년 초과분이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내년 1월 1일이면 2009년까지 쌓아뒀던 마일리지가 소멸됩니다. 항공사들은 항공권 구입, 좌석 승급, 제휴처 사용, 항공사 상품 구매 등 다양한 사용법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불만은 사그라들지 않는 모습입니다. 대한항공은 보너스 항공권 구입, 좌석 승급 외에 로고상품, 호텔, 렌터카, 공항리무진, 여행상품 등 제휴처를 갖고 있습니다. 여기에 제주 민속촌, 한화 아쿠아플라넷 제주, 키자니아와도 제휴에 나섰습니다. 지난 9일에는 캐나다 혼인증명서를 제출한 한국 국적의 40대 여성 부부에 대해 스카이패스 가족 등록을 해줬습니다. 마일리지 공유가 가능한 것입니다. 내년 11월부터는 모든 항공권을 구매할 때 운임의 20% 내에서 마일리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현금과 마일리지를 섞어 결제가 가능해집니다. 아시아나는 마일리지로 초과수하물 요금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전용 라운지도 이용할 수 있고 반려동물 탑승 비용 등도 공제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12일 변호사, 교수 등 106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마일리지 제도개선
[폴리뉴스 이은주 기자] 연말 똑똑한 고배당주는? 저금리 환경이 지속되면서 연말을 앞두고 '고배당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주주명부가 폐쇄되기 전에 주식을 매입하면 이익을 배당 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때문에 연말이 다가올 수록 고배당주를 찾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다음은 증권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국내 고배당주들입니다. 두산: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두산'의 올해 배당 수익률 추정치가 7.62%로 가장 높습니다. 쌍용양회:쌍용양회도 높은 배당이익을 기대 가능한 종목으로 꼽힙니다. 9월 부진했던 출하량이 10월 출하량 증가로 이어지면서 4분기 출하량이 회복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고, ESS 및 폐열발전 가동으로 원가 개선 효과도 커져 배당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효성, 기업은행,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DGB금융지주, 현대중공업지주도 연말 고배당을 기대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다만 금융주 고배당주에 대한 투자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한국의 고배당주 다수는 금리 변동에 민감한 은행 등 금융주에 쏠려 있기 때문이죠. 아무래도 저금리 환경에서 기업들은 은행에 대출하기보다 채권을 발행하는 등 자금 조달 환경을 바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