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4차 산업혁명 과학기술 대응-방산-에너지-보건 등 협력 다변화

란드를 국빈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전(현지시간) 헬싱키 시내 총리 관저에서 안티 린네 총리를 만나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란드를 국빈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전(현지시간) 헬싱키 시내 총리 관저에서 안티 린네 총리를 만나 대화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핀란드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안띠 린네 핀란드 신임 총리와 회담을 갖고 △교역 및 투자 확대, △스타트업·중소기업·혁신 협력, △차세대 통신(6G), 보건, 에너지 등 실질협력 증진△한-EU 협력 △국제무대 협력 등에 대해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먼저 지난 6일 취임한 린네 총리의 취임을 축하하고, 그간 양국의 우호협력관계가 정치, 경제, 문화 등 제반 분야에서 지속 발전해 온 것을 평가하고, 이번 방문을 계기로 양국간 협력을 스타트업,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 협력, 방산, 에너지, 보건 등 새로운 분야로 다변화해 나가는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특히, 양측은 양국의 높은 협력 잠재력에 걸맞게 상호 교역 및 투자를 확대해 나가는 한편,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양국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양국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ICT나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분야에서 상호 진출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이를 신호탄으로 양국간 경제 협력이 더욱 활성화되기를 희망했고 린네 총리는 부산-헬싱키 직항 개설을 환영하면서, 이를 계기로 양국은 물론 유럽-아시아간 물적·인적 교류 활성화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핀란드가 유기적 산학연 연계를 기반으로 유수 글로벌 스타트업들을 육성하고 있음을 평가하고, △코리아 스타트업 센터(KSC) 설치, △스타트업, 중소기업, 혁신 MOU 체결 등을 통해 양국이 협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했고 린네 총리도 이 분야 협력이 양국 모두에 호혜적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또한, 문 대통령과 린네 총리는 양국 연구기관간 6G 관련 공동연구, 과학·혁신 클러스터 간 자매결연 등을 통해 양국 과학자 및 연구원, 기술 인력들이 서로 교류·협력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것을 환영하고 정보통신기술(ICT) 선도국가인 양국이 6G,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미래 유망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 나가자고 했다.

양측은 전날 양국 정상회담 계기 체결된 에너지 협력 MOU를 토대로 신재생, 청정에너지 분야에서도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으며, 핀란드가 강점을 보유한 디지털 보건의료, 대기오염 대응 등 분야에서도 양국간 활발한 정책 공유를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핀란드를 포함한 북유럽 국가들의 과거 대기오염 해결 경험 및 노하우를 청취하였으며, 앞으로 양국이 공기질 개선, 미세먼지 대응 등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 모색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아울러, 양국 정상은 한-EU 양자관계를 평가하고, 브렉시트, 유럽의회 선거 등 최근 유럽 지역 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문 대통령은 핀란드가 올 하반기 EU 의장국 수임을 축하하고, 핀란드 리더십 하에 EU가 브렉시트 등 당면한 어려움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통합을 진전시켜 나가기를 바란다면서 한반도 문제에 대한 협력을 희망했다.

린네 총리는 문 대통령과 한국 정부의 한반도 평화 정착 노력을 높이 평가하고, 핀란드 신정부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지속 지지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한편, 문 대통령과 린네 총리는 △기후변화, △순환경제를 통한 지속가능발전 △사이버 안보 등 지역 및 범세계적 도전 과제 대응을 위해서도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양측은 핀란드가 선도적 역할을 하는 ‘순환 경제’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 하고, 양국이 관련 경험 및 지혜를 공유하면서 협력 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순환경제’는 경제활동 전반의 자원 생산성을 제고하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품의 생산 단계부터 발생한 폐기물 등은 최대한 재활용하여 생산과정에 재투입하는 등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패러다임이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