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강민혜 기자] 검찰의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및 증거인멸 의혹’ 수사가 삼성전자 사업지원TF로 향하고 있다. 사업지원TF는 최순실·박근혜 국정농단 사태 이후 해체된 삼성 미래전략실의 후신으로 불린다.
서울중앙지법 송경호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지난 25일 삼성전자 사업지원TF 김모(54) 부사장, 삼성전자 인사팀 박모(54) 부사장에 대해 “범죄혐의가 소명되고 증거인멸의 염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각각 발부했다.
김모·박모 부사장은 앞서 삼성바이오 분식회계 관련 증거인멸 및 증거인멸교사 혐의로 구속된 삼성전자 사업지원TF 백모 상무와 보안선진화TF 서모 상무의 윗선으로 알려졌다.
백모·서모 상무는 지난해 검찰의 삼성바이오 분식회계 수사가 예상되자 삼성바이오와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의 회계자료 및 내부 보고서 등을 조직적으로 은폐·조작한 혐의를 받는다.
특히 이들은 직원 수십 명의 휴대전화·노트북 등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뜻하는 ‘JY’, ‘합병’, ‘미전실’ 등 단어를 검색해 문건 삭제를 지시한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증거인멸의 실무책임자 격인 삼성에피스 양모 상무(경영지원실장)와 이모 부장은 이미 구속수사를 받고 있다.
종합해보면 지난해 11월 시작된 검찰의 삼성바이오 분식회계 수사는 일선에서 증거를 인멸한 삼성에피스 양모 상무와 이모 부장, 이들에게 증거인멸을 지시한 삼성전자 사업지원TF 백모 상무와 보안선진화TF 서모 상무, 그리고 두 사람의 윗선으로 의심되는 삼성전자 사업지원TF 김모 부사장과 인사팀 박모 부사장까지 거슬러 올라왔다.
특히 분식회계 수사에서 핵심 키워드로 등장하는 삼성전자 사업지원TF는 최순실·박근혜 국정농단 사태 이후 해체된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의 후신으로 불린다.
과거 삼성그룹의 컨트롤타워로 불리던 미전실은 지난 2017년 2월 해체됐고, 기존 미전실 업무는 삼성전자·삼성생명·삼성물산 산하 3개 TF로 분산됐다. 다만 그룹 차원의 핵심 임무는 삼성전자 사업지원 TF가 물려받았다.
삼성 측은 삼성전자 사업지원TF가 전자계열사의 전략과 인사 업무만 담당한다고 설명하지만, 검찰은 분식회계 증거인멸에 관련된 삼성전자 사업지원TF 관계자 상당수가 옛 미전실 출신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즉 과거 삼성그룹의 지휘부 역할을 했던 미전실 인물들이 삼성바이오 분식회계 증거인멸을 지시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검찰은 정현호 삼성전자 사업지원TF 사장의 소환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정 사장은 1990년대 미국 하버드대 유학 시절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인연을 맺은 이 부회장의 최측근으로 알려졌다.
정 사장에 대한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선, 검찰의 이 부회장 소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검찰은 현재 삼성그룹 차원의 증거인멸 지시 행위가 결국 본안인 삼성바이오 분식회계와 맞닿아 있다고 판단하고 양쪽 갈래 수사를 병행 중이다.
특히 삼성바이오의 가치를 부풀린 회계처리(분식회계)가 지난 2015년 삼성물산-제일모직의 합병 및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에 유리하게 작용했는지 등도 살펴보고 있다.
삼성그룹 차원에서 삼성바이오 분식회계 관련 증거 삭제를 지시했다는 건, 삼성이 해당 사건과 이 부회장 경영권 승계작업의 연관성을 알고 미리 조치를 취한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해 그동안 정치권과 시민단체 등에선 두 회사 합병 당시 이재용 삼성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수월하게 하려고 제일모직이 최대 주주로 있는 삼성바이오가 분식회계를 저지른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돼 왔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강필수 기자] 올해 1월 1일부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마일리지 10년 초과분이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내년 1월 1일이면 2009년까지 쌓아뒀던 마일리지가 소멸됩니다. 항공사들은 항공권 구입, 좌석 승급, 제휴처 사용, 항공사 상품 구매 등 다양한 사용법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불만은 사그라들지 않는 모습입니다. 대한항공은 보너스 항공권 구입, 좌석 승급 외에 로고상품, 호텔, 렌터카, 공항리무진, 여행상품 등 제휴처를 갖고 있습니다. 여기에 제주 민속촌, 한화 아쿠아플라넷 제주, 키자니아와도 제휴에 나섰습니다. 지난 9일에는 캐나다 혼인증명서를 제출한 한국 국적의 40대 여성 부부에 대해 스카이패스 가족 등록을 해줬습니다. 마일리지 공유가 가능한 것입니다. 내년 11월부터는 모든 항공권을 구매할 때 운임의 20% 내에서 마일리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현금과 마일리지를 섞어 결제가 가능해집니다. 아시아나는 마일리지로 초과수하물 요금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전용 라운지도 이용할 수 있고 반려동물 탑승 비용 등도 공제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12일 변호사, 교수 등 106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마일리지 제도개선
[폴리뉴스 이은주 기자] 연말 똑똑한 고배당주는? 저금리 환경이 지속되면서 연말을 앞두고 '고배당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주주명부가 폐쇄되기 전에 주식을 매입하면 이익을 배당 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때문에 연말이 다가올 수록 고배당주를 찾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다음은 증권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국내 고배당주들입니다. 두산: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두산'의 올해 배당 수익률 추정치가 7.62%로 가장 높습니다. 쌍용양회:쌍용양회도 높은 배당이익을 기대 가능한 종목으로 꼽힙니다. 9월 부진했던 출하량이 10월 출하량 증가로 이어지면서 4분기 출하량이 회복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고, ESS 및 폐열발전 가동으로 원가 개선 효과도 커져 배당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효성, 기업은행,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DGB금융지주, 현대중공업지주도 연말 고배당을 기대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다만 금융주 고배당주에 대한 투자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한국의 고배당주 다수는 금리 변동에 민감한 은행 등 금융주에 쏠려 있기 때문이죠. 아무래도 저금리 환경에서 기업들은 은행에 대출하기보다 채권을 발행하는 등 자금 조달 환경을 바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