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힌 사회와 그 비상구들' (박태준미래전략연구총서 11)
이대환, 방민호, 한 준, 김원섭, 김왕배, 배은경, 강원택 지음
비소설, 18,000원

현재 한국사회 내부의 곳곳에 가로놓인 분절과 단절을 시대적 과제로 규정하고, 그 실태의 진단과 해결 방안에 대한 각계 전문가들이 제안하는 해법을 담은 책이 발간됐다. 

박태준미래전략연구총서 제11권 '막힌 사회와 그 비상구들'은 한국사회 내부의 분절과 단절이 얼마나 심각한 사회적 중증인가를 정확히 진단하여 당대를 더불어 감당해나가는 시민들이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해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책은 더 나아가 사회 구성원으로서 개인이라는 인간에게 왜 정신과 물질에 대한 균형감각과 조화의식이 요구되는가의 문제를 존재의 근원적 시선으로 성찰하고 있다.

 

물질과 정신이 조화된 세계로의 ‘비상구’는?

세대 간 분절, 세대 내 단절, 계층이동 단절, 젠더갈등, 소득 양극화 심화, 이념 대립, 정규직과 비정규직 차별, 청년취업 절벽…. 지금도 거의 아우성 수준으로 회자되는 그 말들은 우리 사회 곳곳에 ‘벽’이 가로놓여 있다는 뜻이다.

열리고 또 열려서 아주 활짝 열린 한국사회 내부에 인간의 눈에는 드러나지 않게 가로놓인 ‘벽’, 이편과 저편을 배타적이고 이기적으로 갈라버린 ‘벽’을 ‘심각한 막힘’으로 규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 벽, 그 막힘의 이름을 이 책은 ‘막힌 사회'(blocked society)라 매긴다.  ‘벽’의 그림자는, ‘막힌 사회’의 그늘은 그 벽을, 그 막힘을 뚫고 나가려는 모든 인간의 내면에 불만과 저항의식 또는 낙담과 절망의식으로 쌓여간다.

인간이 물질과 정신의 완전한 합일로 이뤄진 존재인데다 인간들이 이뤄놓은 사회가 인간의 정신에 항시적으로 ‘비교’를 자극하니 모든 사회적 불평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적 개혁은 끊임없이 시행되어야 하고 또 그리할 수밖에 없기도 하다.

단지 그것마저 ‘돈’의 문제에 얽매일 위험이 상존한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물질의 문제에서 벗어날 수 없지만 정신적 차원의 삶, 영성적 존재로서의 삶도 추구하면서 ‘물질주의로 기울어지지 않고 욕망과 영성이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삶’을 일상의 지표로 삼을 수 있는 인간의 길-그 진정한 ‘비상구’는 어디에 어떻게 만들 것인가?

방민호 교수의 에세이 ‘물질주의에 관하여'는 물질주의의 근원을 탐구해 물질주의와 정신적 가치의 사이에 실체로 버텨선 ‘벽’을 비춰주고 있다. 한준 교수의 '한국사회의 계층 양극화', 김원섭 교수의 '한국 노동사회의 갈등: 내부자─외부자의 복지정책', 김왕배 교수의 '세대갈등과 인정 투쟁', 배은경 교수의 '한국사회의 젠더와 젠더갈등: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강원택 교수의 '더 나은 한국사회를 위한 분절문제와 해소방안: 이념갈등'은 제목 그대로 오늘의 한국사회 내부에 견고하게 가로놓인 ‘벽’들과 그것을 뚫고 밝은 미래로 나아갈 ‘비상구’를 가리키는 에세이들이다.

책을 펴낸 포스텍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의 연구·자문위원인 이대환 작가는 프롤로그 '왜 막힌 사회와 비상구들인가?'에서 기획의 시대적 의미와 수록 에세이들을 조명한 데 이어 물질과 정신의 균형·조화를 추구하는 삶을 살아가야 하는 인간 조건의 본질을 탐색하고 있다. 

더 나은 공동체로 나아가는 사회적 자산 '박태준미래전략연구총서'

'막힌 사회와 그 비상구들'은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가 ‘미래전략연구’ 시리즈로 기획한 열한 번째 단행본이다. 지난 2013년 2월 출범한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는 미래사회를 조망하고 대응전략을 탐색하는 연구에 주력하고 있으며, 그 결실들로서 ‘박태준미래전략연구총서’를 지속적으로 출간하고 있다. 총서를 펴내는 취지는 다음과 같다.

“나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어떻게 살아야 인간답게 사는 것인가? 이런 질문들은 모든 개인에게 가장 근원적인 문제다. 이 문제의 완전한 해답이 나오는 날에 인문학은 사그라질지 모른다. 더 나은 공동체로 가는 변화의 길은 무엇인가? 더 나은 공동체로 가는 시대정신과 비전은 무엇인가? 이런 질문들은 인간사회가 결코 놓아버릴 수 없는 가장 근원적인 문제다.

이 문제가 ‘현재 공동체에서 벗어날 수 없는 우리’에게 당위적 책무의 하나로서 미래전략 탐구를 강력히 요청한다. 거대담론적인 미래전략도 있어야 하고, 실사구시적인 미래전략도 있어야 한다.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는 앞으로 일정 기간 동안 후자에 집중할 계획이며, 그 결실들을 총서로 출간하여 더 나은 공동체를 향해 나아가는 사회적 자산으로 공유할 것이다.”

포스코 창업회장이며 포스텍을 설립한 고(故) 박태준 선생은 탁월한 미래전략가였다. 포스코와 포스텍은 바로 그 실증 사례라 할 수 있다. 일찍이 선생은 북한의 원산이나 청진 어디쯤에 포스코의 신인도로 포항제철·광양제철 같은 제철소를 세워주고 초기 인력들은 인민군대에서 선발해 포항과 광양으로 불러 연수시키려는 포부를 천명했다.

새해부터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는 남북관계를 포함한 동북아의 ‘평화번영비전 연구’를 수행해나갈 계획이다. 휴전의 분단체제를 상징하는 철조망과 지뢰는 가장 강고한 장벽이지만, 때마침 화해와 평화의 새로운 기운이 감돌기 시작한 데다 민족사를 좌우할 거대 과제여서 별개의 독립연구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는 취지이다.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폴리뉴스 Pol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