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자유한국당 일부 의원들의 ‘5.18 망언’으로 소란스러운 가운데 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는 11일 진실 규명이 필요한 여수순천 10.19 사건의 특별법 제정을 통한 희생자와 유족의 명예회복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하고 나섰다.
윤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앞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518 민중항쟁과 함께 또 우리가 끝까지 진실을 규명하고, 역사를 바로잡아야 하는 것이 바로 여수순천 10.19 사건”이라고 말했다.
여수순천 10.19 사건은 8.15 해방직후인 1948년 10월 19일 전남 여순시 신원동에 주둔하던 국방경비대 제 14연대 소속 군인 일부가 제주 4.3 항쟁과 관련한 부당한 진압 명령을 거부하며 항명한 사건이다.
이는 전남동부지역을 중심으로 전남일대와 전북 남부, 경남 서부지역 및 대구지역까지 확산돼 반군과 정부군의 진압 및 사후토벌과정에서 1953년까지 무고한 다수의 민간인 1만1000명의 희생과 일부 군경이 피해를 입은 사건이다.
여순사건이 발생한 지 70년이 지났지만 사건에 대한 진실이 제대로 규명되고 있지 않은 만큼 윤 원내대표는 ‘여수·순천 10·19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안’을 통해 희생자와 유족의 명예를 회복시키고자 했다.
윤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최근 518 민중항쟁을 놓고 역사를 왜곡하는 것을 넘어서서, 우리 현대사 전체를 부정하려는 망동이 일어나고 있다. 얼마 전엔 이순자가 전두환을 민주주의의 아버지라고 해서, 전 국민적 분노를 샀는데. 이제 갈수록 정도가 더 해지고 있다”며 “결코 좌시해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올해가 가기전에 반드시 특별법 제정이 이루어져, 사건에 대한 진실 규명과 1만1000 여명에 달하는 희생자와 유족의 명예회복이 이루어져야 한다”며 “현재 국회에 자유한국당을 제외하고, 저를 포함해 4개 정당 다섯분의 의원이 특별법을 발의하고 있어 올해안에 반드시 통과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윤 원내대표가 지난해 10월 대표 발의한 ‘여수·순천 10·19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안’은 여수・순천10・19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고 이 사건과 관련된 희생자와 그 유족의 명예를 회복시켜 줌으로써 인권신장과 민주주의 발전 및 국민화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민주평화당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꾸밈없는 정확한 보도를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폴리뉴스(www.poli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폴리뉴스는 인터넷신문위원회의 인터넷신문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폴리뉴스 강민혜 기자] 최근 국내 은행과 금융권에서는 핀테크랩 운영이 한창이다. 핀테크(금융에 IT 기술 접목) 스타트업에 무료 업무공간을 제공하고 투자자를 연계하는 등의 지원은 물론 디지털 금융 서비스도 함께 개발한다. 현재 금융권에는 7개의 핀테크랩이 존재한다. KB금융그룹의 ‘KB이노베이션허브’ KB금융과 스타트업이 핀테크 기술과 오픈소스를 연구하고 협업하는 공간이다. 지난해 말까지 업무제휴 79건, KB금융 계열사 투자 134억 원 연계라는 성과를 냈다.KB이노베이션허브가 육성하는 핀테크 스타트업 ‘KB스타터스’도 59개사에 달한다. KB스타터스로 선정된 간편결제 스타트업 ‘페이민트’는 최근 국민은행과 업무협약을 맺고 제로페이 사업에 참여했다. KEB하나은행의 ‘원큐애자일랩’ 지난 2015년 6월 은행권 최초로 탄생한 핀테크 스타트업 멘토링 센터다. 지난해 10월까지 54개 핀테크 기업을 발굴 및 육성했다.하나은행의 AI서비스 ‘하이뱅킹’은 원큐애자일랩 4기 ‘마인즈랩’의 인공지능(AI) 자연어 처리기술을 은행 플랫폼에 적용해 대화형 금융서비스를 구현한 사례다. 우리은행의 ‘위비핀테크랩’ 지난 2016년 8월부터 17개 혁신벤처기업을 육성했다. 외부
[폴리뉴스 김기율 기자] 지상 최대 가전·IT쇼인 CES 2019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오는 8일부터 11일까지(현지시각) 나흘간 진행됩니다. CES(Consumer Electronics Show)는 지난 1967년 미국 뉴욕에서 제1회 대회가 열린 이후 최근 가전업계뿐만 아니라 IT, 자동차 등으로 영역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번 CES에서 현대차는 미래 모빌리티 비전과 전략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또 걸어다니는 자동차 ‘엘리베이트 콘셉트카’의 축소형 모델이 실제로 움직이는 모습을 선보입니다. 기아차는 자동차와 운전자가 교감하는 ‘실시간 감정반응 차량제어(READ) 시스템’을 제시합니다. 운전자의 생체신호를 자동차가 인식해 실시간으로 실내 공간을 최적화하는 기술입니다.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소개합니다. 완전 자율주행 모드에서 탑승자가 허공에 그린 손짓을 인식하는 ‘가상공간 터치’ 기술과 유리창 디스플레이 등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탑승자의 움직임으로 특정 기능을 작동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된 ‘더 뉴 벤츠 CLA’를 세계 최초 공개합니다. 또 교통체증과 과밀 현상을 해소하는 새 모빌리티 콘셉트인 비전 어바네틱도